배너
닫기
배너

LG전자, 구독·HVAC 성장에 1분기 최대 매출액 기록

URL복사

 

LG전자가 구독과 냉난방공조(HVAC) 사업 성장 등에 힘입어 1분기 매출이 처음으로 22조 원을 넘었다.

 

LG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이 22조7447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7.8%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공시했다. 1분기 매출액이 22조 원을 넘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분기 영업이익은 1조2590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5.7% 감소했다. 다만 견고한 수익 구조로 1분기 영업이익은 6년 연속 1조 원을 웃돌았다. 원자재·물류비용 안정화, 글로벌 생산지 운영의 유연성 확보 등도 수익성에 기여했다.

 

경기침체 등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이어졌지만 기존 주력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에 더해 기업간거래(B2B)와 구독, 웹(web)OS 등 비하드웨어(Non-HW), 소비자직접거래(D2C) 등으로 대표되는 ‘질적 성장’ 영역이 전사 최대 매출액 달성을 이끌었다고 LG전자는 설명했다.

 

가전 사업을 담당하는 HS사업본부(옛 H&A사업본부)의 경우 주력 제품이 프리미엄 시장에서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고 B2B 영역에 해당하는 빌트인 가전 사업과 모터, 컴프레서 등 부품의 외판 사업도 호실적에 기여한 것으로 풀이된다. 제품과 서비스를 결합한 구독 사업의 성과도 빠르게 확대되는 추세다.

 

B2B 사업의 핵심으로 육성하는 냉난방공조 사업은 올해 1분기에 전년 동기 실적(매출 2조5890억 원, 영업이익 3356억 원)을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LG전자는 앞서 지난해 말 HVAC 사업을 담당하는 ES사업본부를 별도 사업본부로 신설한 바 있다.

 

LG전자는 “수주 기반 사업인 HVAC 사업의 본질과 고객의 특성에 맞춰 독립 사업본부로서 역량을 집중하며 수익 기여도를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상업용 공조시스템 분야에서는 기후, 건축 방식, 주거 행태 등 현지 특화 설루션을 앞세워 싱가포르 등 대규모 수주 성과를 내고 있다.

 

LG전자는 올해 구독 적합형 라인업을 보강하고 케어 서비스를 강화하며 성장을 더욱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구독 사업의 해외 진입도 확대할 계획이다. 공조사업의 경우 AI 데이터센터 등 산업·발전용은 초대형 냉방기 칠러를 활용하는 사업기회 확보에 속도를 내고, 가정용 냉난방공조 사업에서는 AI 신제품을 앞세워 리더십을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전장 사업도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를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차량용 콘텐츠 플랫폼 등으로 사업모델을 다각화하며 성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