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용 게임기·게이밍 글래스·헤드폰·게이밍 노트북 등 게이밍 디바이스 보따리 풀어 레노버가 이달 3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고 있는 가전·IT 전시회 ‘베를린 국제가전박람회(이하 IFA 2023)’에서 게이밍 디바이스를 대거 공개했다. 레노버가 이번에 공개한 게이밍 관련 기기는 레노버 게이밍 브랜드 ‘리전(Lenovo Legion)’ 4종이다. 레노버는 휴대용 게임기 ‘레노버 리전 고', 게이밍 글래스 ’레노버 리전 글래스', 게이밍 헤드폰 '레노버 리전 E510 7.1 RGB 게이밍 인이어 헤드폰(이하 레노버 헤드폰)‘, 게이밍 노트북 ’레노버 리전 9i'를 참관객에게 소개했다. 레노버 리전 고는 AMD 라이젠 Z1 프로세서 및 Windows OS 기반 휴대용 게임기로, 8.8인치 레노버 퓨어사이트(PureSight) 게이밍 디스플레이를 적용했다. 사용자는 마이크로 OLED를 탑재한 레노버 리전 글래스와 7.1 서라운드 기술이 적용된 레노버 헤드폰을 리전 고에 장착해 새로운 게이밍 환경을 경험할 수 있다. 여기에 독립형 수냉식 냉각 시스템을 담은 16인치 게이밍 노트북 레노버 리전 9i도 게이밍 생태계를 보강할 디바이스로 평가받는다. 해당 노트북은
디지털산업 활성화 위해 12개 규제 개선 이르면 다음 달부터 플러그 연결이나 카드 태깅이 필요 없는 전기차 무선 충전 방식이 도입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인천 선광 신컨테이너터미널에서 열린 제2차 규제혁신 전략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디지털산업 활력 제고 규제혁신 과제 12개를 발표했다. 낡은 규제 때문에 치열한 글로벌 디지털 기술 경쟁에서 도태되지 않도록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 정보통신공사협회 등 업계와 지자체로부터 건의받아 선정한 과제들이다. 과기정통부는 정부 고시와 시행령 개정을 통해 부처 차원에서 할 수 있는 규제 개선은 최대한 빨리 마무리하는 한편, 국회에서 관련법 개정이 필요한 부분도 내년 중에 모두 완료할 방침이다. 먼저 충전할 때 플러그 연결이나 카드 태깅이 필요하지 않아 전기차 보급의 핵심으로 꼽히는 무선 충전 기술을 상용화한다. 무선 충전을 하려면 활성화된 주파수가 필요한 만큼 정부는 연말까지 전용 주파수(85kHz)를 공고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 스마트폰에 탑재하면 스마트 도어락 작동, 분실물 탐색 등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더 편리하게 쓸 수 있는 저전력·초정밀 초광대역 무선 기술(UWB) 휴대형
▲화웨이-TIM SD-WAN 커머셜 프랙티스 런칭 세레모니 [첨단 헬로티] 기업을 위한 선진화 네트워크 솔루션 제공키로 합의 정보 통신 기술(ICT)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 화웨이는 이탈리아 최대 통신사인 Telecom Italia Mobile(TIM)와 이탈리아 기업들의 네트워크 신뢰성과 유연성, 운영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정의 광역 네트워크(SD-WAN) 기술 기반 혁신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합의하고, 협력관계 구축을 공동 선언했다. 화웨이는 지난 8일, 9일 양일간 이탈리아 로마에서 개최된 제3회 화웨이 유럽 에코 커넥트 포럼 기간에 TIM과 협력 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를 통해, 화웨이와 TIM은 기업 고객들을 위해 지속적으로 선진화된 네트워크 솔루션을 제공하고, 클라우드 인프라와 통합을 구현하는데 주력하기로 합의했다. 특히, TIM의 새로운 서비스 모델은 기업 고객들로 하여금 TIM 국가지원센터의 기술 지원 및 전문 플랫폼을 활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화웨이의 SD-WAN 솔루션은 TIM이 제공하는 솔루션 중 컨트롤 시스템과 접목된 첫번째 솔루션이다. SD-WAN 기술을 통해 여러 기
실리콘랩스는 VoIP(voice-over-IP) 게이트웨이 시장에 적합한 최저 소비전력, 최소형 풋프린트, 최고 수준의 집적도와 프로그램 기능을 제공하는 새로운 SLIC(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제품군을 출시했다. 실리콘랩스의 싱글 및 듀얼 채널 Si32x8x ProSLIC® 제품군은 케이블 게이트웨이, xDSL 통합 액세스 디바이스, xPON 광네트워크 단말기, FTTH(fiber to the home ), FTTB(fiber to the home), 무선 고정 단말기를 포함해 다양한 범위의 VoIP 고객댁내 장치(CPE, customer premises equipment)에 적합한 동종 업계 최고 수준의 가입자 회선(subscriber line) 인터페이스 솔루션을 제공한다. 소비자들이 더 빠른 광대역 속도 및 새로운 서비스를 요구함에 따라, VoIP 시장은 새롭게 FTTH/FTTB가 구축되고 기존의 xDSL 과 케이블 게이트웨이가 업그레이드되고 있어 매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실리콘랩스의 예측에 따르면, VoIP CPE 시장은 오는 2016년에 SLIC 포트 수 1억 6,000만 개를 넘어 설 것으로 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