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관절용 초경량 하모닉 타입 구동부(Actuator) 공개 프레임리스 모터(Motor), 하모닉 타입 감속기(Reducer) 등 내재화 설계 최적화 기반 기존 방식 대비 경량화·고응답 구동 담당한다 뉴로메카가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관절 구동에 최적화된 초경량 하모닉 타입 구동부(Actuator)를 자체 기술로 개발했다. 이 신제품은 뉴로메카가 직접 설계한 프레임리스 모터(Frameless Motor)와 하모닉(Harmotic) 타입 감속기(Reducer)를 일체형으로 통합한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모터·감속기를 모두 자체 개발 및 내재화함으로써 부품 간의 설계 최적화를 극대화했다. 이를 통해 높은 출력 밀도와 정밀 제어 성능을 구현했다. 아울러 사측은 기존 준직접구동(Quasi Direct Drive, QDD) 방식 대비 경량화·고응답성을 동시에 잡았은 액추에이터라고 밝혔다. 기술적으로 이 액추에이터는 ▲하모닉 감속기 효율을 극대화한 최적 설계 구조 ▲전용 구동 알고리즘 ▲고분해능 센서 인터페이스 ▲열 관리 및 진동 억제 설계 등을 이식해 연속 출력의 안정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모든
시속 12km 주행, 문워크(Moonwalk), 오리걸음, 험지 보행 등 구현 구동기·모터·감속기 등 핵심 부품, 강화학습 기반 AI 제어기 등 독자 기술 이식돼 연내 상체 포함 완전체 로봇 완성 목표...MIT 등 글로벌 협력 기반 현장 투입 및 상용화 박차 예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진이 독자 기술로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하체가 인간 고유의 복잡한 움직임을 소화하며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KAIST 기계공학과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HUBO Lab)의 박해원 교수 연구팀은 최근 이러한 혁신적인 성능을 갖춘 휴머노이드 로봇의 하체 플랫폼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로봇 하체는 키 165cm, 몸무게 75kg의 성인 체형을 염두에 두고 인간 중심 환경에 맞춰 설계된 하체 플랫폼이다. 실제 산업 현장 투입을 목표로, 휴머노이드 로봇 몸체 전체가 개발 중이다. 이 로봇은 평지에서 최대 시속 12km로 달리고, 30cm 이상의 높은 턱이나 계단을 오르내리는 단차 극복 능력을 갖췄다. 특히 주목받는 부분은 인간의 동작을 구현하는 고난도 시연이다. 연구팀은 ‘팝의 황제’로 인식되는 미국 가수 마이클 잭슨(Michael Joseph Jackson) 특유의 춤
헬로티 이동재 기자 드림텍LMS(대표 이중무)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드림텍LMS는 SF+AW 2021에서 FSL40 리니어 모듈, 리니어 스테핑 모터 등 제품을 전시한다. FSL40 리니어 모듈은 FSL40 시리즈 리니어 모듈 제품이다. 개방형, 밀폐형, 반밀폐형 모듈로 구성돼 행정길이 1000mm까지 제작 가능하다. 정밀, 고성능, 체계적인 모듈시스템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작동이 가능하다. FSL40은 비용 대비 효율적인 스크류 선형 모듈이다. 개방형 구조로 가이드 레일 1개와 슬라이더 1개가 장착되어 있으며 스크류 로드의 양단은 베어링으로 고정되어 안정성을 높였다. 중간 및 저부하 및 중간 속도 요구 사항에 적합하며 사용 환경이 안정적이다. (모듈은 방진 및 방수없이 개방된다.) 리니어 스테핑 모터는 정밀, 고성능, 체계적인 모듈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1.8° 스텝각, 스텝 당 0.0006"(0.0015mm)에서 0.00157"(0.04mm)까지 다양한 범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