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빌딩, 넷제로·전력망·AI가 한꺼번에 쏟아진다 지난 2015년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채택된 이른바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은 ‘넷제로(Net Zero)’라는 새로운 글로벌 이니셔티브를 낳았다.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온실가스와 흡수·제거되는 양을 균형시켜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상태를 뜻한다. 산업·수송·건물 등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은 숲·토양 등 자연적 흡수원이나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로 상쇄해 달성한다는 의미다. 지난 2018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내로 억제해야 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전 세계가 2050년 전후 넷제로에 도달해야 한다고 경고했고, 이후 각국과 글로벌 기업들이 기후위기 대응과 ESG 경영의 최종 목표로 ‘2050 넷제로(2050 Net Zero)’를 채택하며 사실상 국제사회 공통의 생존 전략으로 자리 잡았다. 이 가운데 건물은 오늘도 전 세계 최종 에너지의 큰 몫을 소비하고, 도시 배출의 핵심 원인으로 지목된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강화된 실내공기질(IAQ)
AI, 디지털트윈, 사물인터넷, 5G, 클라우드 등 기술 활용 빌딩 제어 시스템 제품 및 서비스 출시 거점 될 것 존슨콘트롤즈가 액센츄어와 협력해 OpenBlue 이노베이션 센터를 선보이고 본격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존슨콘트롤즈의 OpenBlue는 고객의 운영기술과 통합되는 AI 지원 커넥티드 솔루션 및 서비스 제품군으로, 빌딩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에지 및 클라우드에서 머신러닝을 적용해 최적화된 AI 성능 모델과 데이터를 비교한다. 이를 통해 빌딩 성능을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소요 비용과 에너지를 절약하며 빌딩 환경 개선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디지털 솔루션이다. 존슨콘트롤즈는 이번 액센츄어와의 파트너십으로 OpenBlue 플랫폼에 최첨단 AI 기술을 도입하여 공간 활용도, 공기 중 산소-이산화탄소 분포도, 감염병 위험 및 기타 환경 정보 최적화를 구현한다. 또한, 디지털 트윈 기술로 유지·보수, 업그레이드 및 지속가능성에 대한 모델링, 분석,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물리적 시제품을 디지털 트윈으로 대체하여 리소스 사용, 탄소 배출, 비용 및 출시 시간을 감소시킨다. 5G와 IoT 기술도 적용해 연결된 장치들의 원격 관리 및 제어는 물론 더 빠르고 고용량의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