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이노베이트가 그래픽처리장치(이하 GPU)의 자원 관리와 AI 모델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통합 AI 개발 플랫폼 ‘인피디아 스튜디오(INFIDEA Studio)’를 선보였다. 인피디아 스튜디오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AI 모델 개발에 필요한 고성능 GPU를 유연하게 할당 받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개발에 필요한 주피터랩(JupyterLab) 등 다양한 작업 도구를 ‘웹 브라우저(Web UI)’기반으로 제공해 편의를 돕는다. 이 플랫폼은 AI 모델의 개발부터 배포, 그리고 추론까지의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머신러닝운영(MLOps)을 지향한다. 고객사는 인피디아 스튜디오를 이용해 고가의 GPU를 적정 수량만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운영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AI 개발 프레임워크(Framework)와 GPU 가속기 버전을 설정할 수 있어 맞춤형 개발 환경도 구성 가능하다. 인피디아 스튜디오는 엔비디아(NVIDIA)의 MIG(Multi-instance GPU) 기술을 활용해 하나의 GPU를 여러 개의 작은 단위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GPU의 사용률을 극대화하고 CPU와 RAM의 성능도 설정하는 등 다양한 컴
베스핀글로벌이 업스테이지와 AI 플랫폼 구축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양사는 AI 플랫폼 구축 사업 추진을 위한 비즈니스 기회를 공동으로 모색하며,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기술 협업과 대응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상호 협력할 계획이다. 베스핀글로벌은 비즈니스 노하우를 바탕으로 데이터 및 AI 플랫폼 사업을 위한 고객 발굴을 비롯해 AI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 관리와 수행 전반을 담당한다. 업스테이지는 자사 솔루션 ‘다큐먼트 AI(Document AI)’와 LLM ‘솔라(Solar)’ 기반의 기술 교육과 프로젝트 수행, 실무 적용 및 판매 확대에 주력할 예정이다. AI 기업 업스테이지는 자체 사전학습 거대언어모델(LLM) 솔라와 기업 문서 및 비정형 데이터 디지털화 솔루션 다큐먼트 AI를 앞세워 엔터프라이즈 AI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지난 2월 말 미국 법인을 신설하며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기업과 접점을 확대하는 한편 기업 및 산업별 특화 LLM 구축 수요를 집중 발굴하고 있다. 베스핀글로벌은 기업의 AI 도입과 개발을 돕는 클라우드 & AI 매니지드 서비스 기업이다. 각종 산업 분야에서 데이터와 AI 비즈
마키나락스가 지난 24일 서울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ATTENTION 2024' 컨퍼런스를 열고, 기업의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AI 적용을 위한 자체 신규 프로그램 및 플랫폼을 발표했다. 마키나락스의 첫 번째 자체 AI 컨퍼런스인 ATTENTION 2024는 AI가 바꿀 산업 현장의 미래와 변화를 논의하는 장으로 LG, SK텔레콤, 현대자동차그룹(KIA) 등이 참여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마키나락스는 산업 특화 AI 선도 기업으로서 복합 AI 기술과 시스템을 기반으로 기업의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AI를 활용해 지능화한 다양한 사례와 경험을 공유했다. 윤성호 마키나락스 대표는 ‘산업 현장에서 시작되는 Real-World AI의 시대’ 발표에서 “진정한 AX(인공지능 전환)를 위해서는 기업의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AI가 적용돼야 한다”며 “AI가 불러올 파급력은 사무 보조를 넘어 기업의 생산성 및 비용과 직결되는 연구개발, 생산·품질, 공급망 관리,유통·물류 등 물리적 세계에서 전례 없던 수준의 생산성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발표에서는 실제로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AI를 적용해 타이어 신제품 개발 기간을 최대 50% 단축하고
AI를 활용해 지능화한 다양한 사례와 경험 공유할 예정 마키나락스가 오는 24일 서울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첫 번째 자체 AI 컨퍼런스 'ATTENTION 2024'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는 AI가 바꿀 산업 현장에서의 미래와 변화에 대한 논의의 장으로 마련됐다. 마키나락스는 산업 특화 AI 기업으로서 복합 AI 기술과 시스템을 기반으로 산업 현장의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AI를 활용해 지능화한 다양한 사례와 경험을 공유할 예정이다. 마키나락스의 윤성호 대표가 ‘산업 현장에서 시작되는 Real-World AI의 시대’를 주제로 이번 컨퍼런스의 문을 열어 LG AI 연구원 배경훈 원장, SK텔레콤 이종민 미래R&D담당 부사장이 기조연설의 연사를 맡는다. 이외에도 마키나락스와 함께 협업을 진행하고 있는 현대자동차그룹(KIA), 메이머스트에서도 세션 발표를 통해 현장의 AI 전문가가 바라보는 업계의 AI 관련 현안과 인사이트를 공유할 예정이다. 윤성호 마키나락스 대표는 "구글의 어텐션 메커니즘이 AI 성능의 혁신을 이끌었던 것처럼, 이제는 예측 불가능한 현실 세계에서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AI 기술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한 시점
상용화된 제품과 해외 시장에 적합한 서비스 운영 능력 인정받아 선정돼 베슬에이아이가 오스트리아 정부가 주관하고 연방 경제노동부가 후원하는 'GIN-Go Austria' 프로그램에 최종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해당 프로그램은 아시아와 이스라엘 기반의 혁신적 딥테크 스타트업의 유럽 시장 진출을 돕는 엑셀러레이팅 방식으로 구성됐다. 2015년부터 매년 혁신 기업을 선정해 왔으며, 베슬에이아이는 이미 상용화된 제품과 해외 시장에 적합한 서비스 운영 능력을 인정받아 선정됐다. 프로그램 관리는 오스트리아 경제 지원 기관인 aws(Austria Wirtschaftsservice)와 FFG가 맡았다. 특히, aws는 유럽투자은행(EIB), 유럽투자기금(EIF), 국제금융공사(IFC), 세계은행(WB) 등과 협력하며 국제 금융 기관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3만1000개 이상의 혁신 기업을 지원하고 있어 베슬에이아이의 유럽 진출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베슬에이아이는 클라우드 환경 통합 관리, GPU 및 컴퓨팅 자원 최적화를 통해 AI 학습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MLOps, LLMOps 플랫폼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컴퓨팅 자원과 운영 비용이 몇 배로 소요되는
라온피플이 최적화된 인공지능(AI) 개발 플랫폼 이지플래닛(EZ-PLANET)을 공개하고 ‘Start@MLOps One Process’로의 경험이라는 슬로건 아래 베타서비스를 시작했다고 16일 밝혔다. 이지플래닛은 AI 개발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MLOps(Machine Learning Operations) 플랫폼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데이터는 물론 AI알고리즘과 학습된 모델까지 손쉽게 불러와 연속성 있는 학습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복잡한 데이터 정제과정을 간소화해 모델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빠르게 준비할 수 있는 ‘데이터 정제’ 기능과 오토라벨링을 지원하는 ‘이지 라벨링’, 편리한 파이프라인 기능을 통한 ‘AI 모델링 자동화’ 그리고 다양한 환경에 AI 모델을 즉시 적용할 수 있는 ‘베포 자동화’가 핵심 기능이다. 클라우드부터 온프레미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모두 제공하며, GPU 자원을 주문형으로 불러와 메모리를 분할하거나 원하는 사이즈를 선택하여 학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수의 인공지능 학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학습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등 제조, 의료, 게임, 이커머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솔
행사 중 RAG 활용해 복잡한 추론 및 업무 대신 처리하는 'AI 에이전트' 개발 진행 베슬에이아이가 오는 11일부터 13일(현지시간)까지 실리콘밸리 팔로알토에서 AI 해커톤 'Agentic RAG-A-THON'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AI 스타트업인 라마인덱스, 파인콘과 공동으로 주최하며, 글로벌 VC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가 주관하는 샌프란시스코의 연례 IT 행사 '테크위크'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공동 주최사인 라마인덱스는 대형언어모델(LLM)의 활용을 돕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구조화된 데이터뿐 아니라 텍스트와 이미지 같은 비정형 데이터까지 처리하도록 지원한다. 파인콘은 AI 모델이 방대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활용할 수 있게 돕는 '벡터 데이터베이스'를 운영 중이다. 특히, 파인콘은 지난해 a16z 등 유수 투자자로부터 1조 원 이상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은 유니콘 스타트업으로 주목받은 바 있다. 이번 행사는 AI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에 맞춰 혁신적인 AI 기술 발전을 선도하는 수 백명 규모의 현직자가 오프라인에서 만나는 자리로 꾸며졌다. 특히 a16z, 500 글로벌, 오픈AI, 미스트랄 AI, SAP 등 글로벌 V
베스핀글로벌이 에이플랫폼과 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국내 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 전반의 비즈니스 기회를 공동으로 모색하고 이와 함께 기술 협력을 추진한다. 베스핀글로벌은 데이터 플랫폼이 구축되는 인프라 환경에서부터 데이터 파이프라인과 거버넌스 영역, 그리고 ML 및 LLM 환경 구축에 있어 전문성을 제공할 예정이다. 에이플랫폼은 자사가 공급하는 솔루션인 ‘싱글스토어DB’를 통해 정형, 비정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저장, 분석할 수 있는 강력한 데이터 처리 환경을 담당한다. 싱글스토어DB는 온프레미스나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등 IT 환경의 제약 없이 구축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며 성능과 가용성, 안정성 측면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은 바 있다. 이렇게 서로 강점이 있는 영역에서 기술력을 결합함으로써 기존 IT 인프라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베스핀글로벌과 에이플랫폼은 협약 체결을 계기로, 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 확대와 더불어 새로운 서비스 및 프로젝트 진행을 도모할 계획이다. 에이플랫폼은 하나의 플랫폼
코오롱베니트가 서울 금천구 가산동에 ‘AI 솔루션 센터’를 개소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했다. AI 솔루션 센터는 기업용 AI 솔루션, 특히 생성형 AI 기반 다양한 솔루션을 구성하고 시험해 볼 수 있는 통합 테스트 센터다. 코오롱베니트는 31일 가산디지털단지 지식산업센터 내 설립한 AI 솔루션 센터에서 개소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개소식에는 강이구 대표이사, 이종찬 ITD총괄 전무, 전선규 ITM/DX총괄본부장, 정상섭 DX사업본부장, 정주영 ITS본부장, 최상문 ITD본부장, 한현 R&BD본부장, 최형욱 경영지원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코오롱베니트는 기존 운영하던 가산 테크센터를 이번 AI 솔루션 센터로 이전하면서 AI·클라우드·데이터 중심의 테스트 환경을 확장 구축했다. 최근 기업용 AI 수요 확대로 함께 증가하는 AI 솔루션 테스트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다. AI 솔루션 센터는 IBM, DELL, Red Hat 등 글로벌 주요 벤더사들의 AI 솔루션 및 인프라를 기반으로 고객·파트너사에 폭넓은 AI 데모 환경을 제공한다. 먼저 생성형 AI(LLM), 머신러닝 및 딥러닝 분석, MLOps, AI 거버넌스, 데이터레이크, Vector DB 등
베스핀글로벌은 최근 AI 중심의 사업 구조 재편에 따른 조직 개편을 단행하고 AI 매니지드 서비스 전문 기업(AI MSP)으로의 전환한다고 15일 밝혔다. 베스핀글로벌이 정의하는 AI 매니지드 서비스란 ▲AI 플랫폼의 설계와 구축 ▲GPU 운영 관리 ▲데이터 분석과 처리 ▲AI 모델링 ▲모델 튜닝 ▲MLOps ▲LLMOps ▲RAGOps ▲AI 애플리케이션 구축 ▲AI 응용 서비스 활용에 이르기까지 기업의 AI 도입과 개발의 전 여정을 지원하는 AI 서비스를 의미한다. 베스핀글로벌은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 영역은 물론, AI 서비스에 대한 핵심 기술 역량을 확대하기 위해 기존 서비스 부문을 AI 중심의 본부 체제로 재편했다. 이 일환으로 내부 전문 인력을 결집해 데이터 AI 본부를 신설했다. 데이터 AI 본부는 크게 AI와 Data 전략, 컨설팅 및 모델 개발과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그리고 MLOps·LLMOps·RAGOps 구축 및 상품 개발 등의 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다. AI 개발과 활용에 특화된 자체 빅데이터 플랫폼 상품과 LLMOps 상품의 연내 출시도 준비하고 있다. AX 본부(옛 PS 본부)와 AIOps 본부(옛 MSP 본부)도 확대 개편됐다. A
주요 AI 기업과 함께 선정되며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력 입증 마키나락스가 CB인사이트가 발표한 ‘머신러닝 운영 시장 맵’의 ‘AI 개발 플랫폼’ 부문에 국내에서 유일하게 등재됐다. AI 개발 플랫폼 부문에는 데이터로봇, 데이터브릭스, 데이터이쿠, 스케일AI, 허깅페이스 등 가장 완성도 높은 AI 운영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함께 이름을 올렸다. 마키나락스는 글로벌 AI 기업과 함께 선정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기술력을 입증했다. CB인사이트는 지난달 자체 데이터 분석 및 AI 개발 플랫폼 50여 개 기업 인터뷰를 바탕으로 ‘엔터프라이즈 AI 로드맵’ 리포트를 발간하고 엔터프라이즈 AI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를 분류한 머신러닝 운영 시장 맵을 공개했다. 이 맵은 학습 데이터 선별, 데이터 라벨링, 모델 배포 및 서빙 등 머신러닝 운영의 단계 별로 특화한 11개 부문과 머신러닝 운영을 엔드투엔드로 통합 제공하는 AI 개발 플랫폼까지 총 12개 부문으로 구성됐다. CB인사이트는 AI 개발 플랫폼 시장에 속한 플레이어에 대해 “자체적으로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출시하고자 하는 엔터프라이즈를 위한 원스탑 솔루션을 보유한 공급기업으로, 이들은 데이터 준비-학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장상’ 산업 부문 대상 기업 낙점 “인공지능 확산 목표로 한 산업 발전 공헌 인정받아...제조 디지털 전환에 기여할 것” 엠아이큐브솔루션이 ‘제4회 대한민국 인공지능산업대상’에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장상 산업 부문 수상으로 혁신성과 공로를 검증받았다. 대한민국 인공지능산업대상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해 국내 산업 성장에 기여한 기업 및 솔루션을 선정하는 시상식이다. 이달 20일 개막한 올해 시상식은 한국인공지능산업협회가 주최를 맡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매일경제 등이 후원했다. 올해는 스마트테크코리아 2024(STK 2024)의 부대행사로 진행됐다. 심사는 2000여 개 기업을 대상으로 이어졌고, 이 중 1·2차 심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10개 기업을 선정해 시상했다. 엠아이큐브솔루션은 스마트 제조 혁신을 위한 국산 AI 솔루션 활성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수상했다. 시상식에 이어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을 비롯한 참관단이 STK 2024 전시장에 마련된 엠아이큐브솔루션의 부스를 방문했다. 이 자리에서 AI 솔루션 도입을 통한 제조 혁신 사례를 청취하고, 노코드(No-Co
원프레딕트가 하이텍앤솔과 AI 기반 산업설비 예지보전 사업 제휴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원프레딕트는 가디원 pdx를 비롯한 산업설비 진단 및 예지보전 알고리즘을 개발해 하이텍앤솔에 공급한다. 하이텍앤솔은 CMMS(Computerized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컴퓨터 중심 유지관리 시스템) 산업설비 자산관리 솔루션과 원프레딕트 가디원 pdx 플랫폼의 연계 솔루션을 개발·공급한다. 원프레딕트 가디원 pdx는 스마트 플랜트 구축을 위한 새로운 디지털 산업 자산관리 플랫폼이다. 도메인 지식과 MLOps(머신러닝 운영)를 활용해 고품질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정과 설비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이를 활용해 제조 공정의 세밀한 데이터 분석 및 모니터링, 신속한 설비 문제 진단이 가능하다. 이는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예기치 못한 생산 중단으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줄여 품질경영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산업설비 예지보전(Predictive Maintenance, PdM)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산업 설비 상태를 파악해 이상을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설
‘산업 특화형 AI’로 A-A 등급 받은 최초 사례로 남아 마키나락스가 코스닥 혁신기술기업 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평가에서 ‘A-A’를 획득했다. 코스닥 혁신기술기업 특례상장을 위해서는 한국거래소가 지정하는 2개 평가기관에서 A-BBB 등급 이상을 받아야 한다. 그동안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많은 제조 기술기업이 기술성평가를 받았지만 ‘산업 특화형 AI’로 A-A 등급을 받은 것은 마키나락스가 최초다. 마키나락스 윤성호 대표는 “평가 기준과 과정이 엄격해진 상황에서도 평가기관으로부터 마키나락스의 선도적인 기술력과 성장성을 인정받아 기쁘다”며 “상장은 마키나락스의 비전을 실현하는 하나의 과정으로, 대한민국의 제조 경쟁력과 마키나락스의 인공지능 기술력의 결합해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AI 소프트웨어 개발사로 거듭날 것”이라고 포부를 전했다. 2017년 12월 설립된 마키나락스는 산업 특화형 AI 1세대 기업이다. 기존 시스템 통합기업과는 달리 인력 구성부터 기술 역량까지 AI의 DNA를 뿌리 깊이 지니고 있다. 제조업의 AI 도입 성공율은 평균적으로 15%에 불과하지만, 마키나락스의 성공률은 70%에 달한다. 마키나락스는 높은 성공률의 배경에 풍부한 제조 데이터
세이지(SAIGE)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스케일업 팁스(TIPS)’ 과제에 최종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스케일업 팁스(TIPS, Tech Investor Program for Scale-up)는 유망한 중소 벤처의 규모 확장 촉진을 위해 민간 운영사가 유망 기업을 발굴해 먼저 자금을 투자하면 정부가 이후 매칭투자와 출연R&D를 병행해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세이지는 3년간 총 11억4000만 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는다. 이번 지원으로 세이지는 머신비전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한 MLOps(Machine Learning+Operation) 솔루션을 개발하는데 투자한다. 세이지는 AI 머신비전 솔루션으로 SAIGE VISION을 제공하고 있다. 투자는 AI 머신비전 시스템이 활발하게 도입됨에 따라 SAIGE VISION의 AI 모델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유지하고 배포하는 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다. 구체적으로는 AI 모델 성능 모니터링 기술, 라벨링 편의성 향상 기술, 학습 데이터 추천 기술 및 연속 학습(Continual Learning) 기술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한편 제조업에 특화된 AI 솔루션을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