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 액추에이터 전문기업 해성옵틱스(대표이사 조철)의 자회사 수자원기술주식회사(대표 이창윤)가 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 원장직무대행 정구봉)과 손잡고 배관검사로봇 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 이번 제휴는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상수도 관리 분야에서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강화하기 위한 협력으로 ▲신기술 공동연구 ▲시설 및 장비 공동 활용 ▲전문 인력·기술 교류 ▲신제품 사업화 협업 등을 주요 골자로 한다. 이를 통해 국내 수자원 관리 분야의 기술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자원기술은 1986년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출자회사로 설립돼 40여 년간 댐, 4대강 보시설, 광역 상수도 등 주요 국가시설의 점검·정비·유지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안정적 수질과 용수 공급에 기여해왔다. 민영화 이후에는 상수도 관리 혁신 기술 개발을 선도하며 상수관망 토탈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 ESG 경영과 국가 R&D 연구과제를 통해 지속 가능한 물 관리의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한국로봇융합연구원은 국내 유일의 로봇 전문 연구기관으로, 15년 이상 배관로봇 연구개발을 지속하며 ▲배관 내 퇴적물 청소로봇 ▲가스배관 검사로봇 ▲FRP
착용형 로봇 ‘들봇(BEULBOT), 최대 20kg 다루는 롤업(Roll-up) 방식 차용 농업 현장 인력난·고령화 대응하는 기술로 기대받아 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이 농작업 시 부담을 경감하는 웨어러블 로봇 기술을 관련 기술 업체 ‘고이버(Goiver)’에 전수했다. 해당 기술은 KIRO 농업로봇자동화연구센터 연구팀이 개발한 솔루션이다. 고하중 물체 운반·적재 작업 보조를 위한 롤업(Roll-up) 방식의 상체 보조용 웨어러블 슈트다. 이번 기술 이전을 통해 ‘들봇(DEULBOT)’의 제품명으로 사업화가 추진된다. 들봇은 고강도 와이어를 차용해, 최대 20kg의 고하중을 보조할 수 있다. 원터치 작동과 무선 리모컨 기능을 담은 가방 형태의 착용형 제품으로, 10초 이내 빠른 착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배터리 교체형 설계로 장시간 작업에도 제약 없이 활용 가능한 점도 주목 포인트다. 고이버는 현재 들봇의 제품화 핵심 과제로 규제 해소에 집중하고 있다. 들봇이 현행 농기계 분류 체계에 포함되지 않아 관련 인증을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계자에 따르면, 농기계는 통상적으로 정부 지원을 통해 유통되지만, 들봇은 이러한 인증 없이는 보조금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