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인스텍은 사업 확장 및 고객 확장 지원을 위해 지난 1월 16일 서울 양재동 소재의 화인스텍 빌딩으로 사무실을 이전했다. 화인스텍은 2009년 'The Vision For Vision'을 모토로 설립된 기업이다. 창립 이래 2차전지, 자율주행, 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팩토리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최상의 머신비전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화인스텍은 고속, 고정밀 검사에 최적화된 카메라, 렌즈, 조명, 프레임 그래버 등의 머신비전 전문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머신비전 분야의 선두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 사무실 이전에 따라 고객 중심의 1:1 맞춤 솔루션을 제공해 동반성장하겠다는 계획이다. 5GBASE-T(5GigE) 인터페이스를 갖춘 Go-X 시리즈 화인스텍은 JAI의 파트너사로 5GBASE-T(5GigE) 인터페이스를 갖춘 Go-X 시리즈를 제공하고 있다. 이 시리즈의 특징은 ▲Sony Pregius S CMOS 센서의 뛰어난 이미지 퀄리티 ▲5GigE 인터페이스로 기존 GigE Vision 인터베이스보다 5배 빠른 속도 ▲5.1 MP에서부터 24.5MP까지 다양한 센서 라인업 지원 ▲X-Scale 기능 지원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비전 시스템에서 JAI GO-X 시리즈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웨비나가 오는 3월 2일 매뉴팩처링티비에서 진행된다. 소형 카메라가 머신비전을 선점하고 있지만, 더욱 고도화되고 정밀한 결과를 요구하는 현재 소형 카메라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JAI는 차세대 산업용 카메라를 활용하는 산업 요구에 따라 GO-X 시리즈를 통해 새로운 소형 카메라 활용 방법을 제시한다. JAI GOX시리즈의 다양한 해상도,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들은 보다 자유롭게 소형 카메라를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 이번 웨비나는 소형 산업용 카메라에 요구되는 사항, GO-X 시리즈가 제공하는 기능, 작동 방식 및 테스트 드라이브를 소개할 예정이다. 비전 시스템 설계자, 비전 시스템 관리자, 광학 엔지니어, 기계 엔지니어, 시스템 엔지니어, 하드웨어 엔지니어, 최고 기술 책임자, 기술 엔지니어링, 엔지니어링 조달, 구매자들에게 용이한 웨비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웨비나는 3월 2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진행되며, 매뉴팩처링티비 홈페이지(https://manufacturingtv.co.kr/Event/191) 사전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비전 시스템에서 JAI GO-X 시리즈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웨비나가 오는 3월 2일 매뉴팩처링티비에서 진행된다. 소형 카메라가 머신비전을 선점하고 있지만, 더욱 고도화되고 정밀한 결과를 요구하는 현재 소형 카메라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JAI는 차세대 산업용 카메라를 활용하는 산업 요구에 따라 GO-X 시리즈를 통해 새로운 소형 카메라 활용 방법을 제시한다. JAI GOX시리즈의 다양한 해상도,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들은 보다 자유롭게 소형 카메라를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 이번 웨비나는 소형 산업용 카메라에 요구되는 사항, GO-X 시리즈가 제공하는 기능, 작동 방식 및 테스트 드라이브를 소개할 예정이다. 비전 시스템 설계자, 비전 시스템 관리자, 광학 엔지니어, 기계 엔지니어, 시스템 엔지니어, 하드웨어 엔지니어, 최고 기술 책임자, 기술 엔지니어링, 엔지니어링 조달, 구매자들에게 용이한 웨비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웨비나는 3월 2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진행되며, 매뉴팩처링티비 홈페이지에서 사전 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북미 최대의 머신비전 전시회인 The Vision Show가 지난 10월 11일부터 13일까지 보스턴의 하이네스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 A3가 주최하는 이번 전시회에는 바슬러, JAI, 뷰웍스와 같은 글로벌 머신비전 공급업체들이 대거 참여해 차별화된 솔루션과 제품을 전시했다. 뿐만 아니라 Applications and Technologies, Artificial Intelligence & IIoT, Vision and Robotics를 포함한 여러 트랙에 걸쳐 결합된 100개 이상의 컨퍼런스 세션도 주목을 받았다. 국제 비전 표준 부스가 마련돼 글로벌 비전 표준의 하드웨어 데모를 보여주고 참석자들에게 표준이 시스템을 어떻게 개선하는지 전문가들과 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밖에도 Certified Vision Professional Basic 프로그램은 2022년으로 업데이트되었으며 참석자들에게 현장 강좌를 제공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참관객들의 이목을 사로잡은 글로벌 머신비전 업체들의 주요 제품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정리해봤다. Allied Vision Allied Vision의 Alvium 플랫폼에는 GigE Vision 및 5GigE Vi
지난 수십 년간 다수의 머신비전 인터페이스가 개발됐습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유지하기 위해 전 세계의 다양한 연구 그룹과 위원회가 조직됐습니다. 이 그룹은 카메라, 프레임 그래버, PC 등을 제조하는 기업의 요구 사항을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고 동시에 머신비전 시장의 애플리케이션별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Firewire(1996년 출시), Camera Link(2000년 출시), GigE Vision(2006년 출시), USB3 Vision(2013년 1월 출시), CoaXPress(2010년 출시)를 위한 IIDC 표준과 같은 비전 표준이 개발됐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임베디드 비전용 MIPI CSI 인터페이스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완전히 새로운 미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번 가이드는 머신비전에서 많이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개요와 몇 가지 주요 특장점, 과제,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JAI가 고성능 5GBASE-T(5GigE) 인터페이스를 탑재한 새로운 8.1 메가픽셀 UV 고감도 카메라, Go 시리즈 GO-8105M-5GE-UV 모델을 출시했다. 향상된 해상도(8.1 메가픽셀 vs. 5 메가픽셀)와 UVA, UVB를 넘어 UVC까지 확장된 더 높은 스펙트럼 감도를 제공하는 이 새로운 카메라는 JAI의 다른 3가지 UV(자외선) 카메라 모델보다 뛰어난 성능을 제공한다. Sony Pregius S IMX487-AAMJ CMOS 센서를 29 x 29 x 68mm의 소형 폼팩터에 탑재한 GO-8105M-5GE 모델은 5GigE 인터페이스를 통해 초당 최대 66 프레임의 풀 해상도 8.1 메가픽셀 이미지를 생성한다. 카메라 인터페이스에는 사용 가능한 대역폭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 및 호스트 PC에 맞춰 카메라의 출력을 2.5GBASE-T(2.5Gbps) 또는 1000BASE-T(1Gbps)로 조정하는 자동 협상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카메라는 Pregius S 센서의 2.74 µm 픽셀 크기를 통해 컴팩트한 2/3” C-마운트 광학 형식을 제공한다. Pregius S 센서에는 이미징 성능의 저하 없이 작은 픽셀 크기를 지원하는 후면 조명이 탑재되
PANOVOTEC, 자동차, 의료 및 기타 산업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고정밀 색상 측정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JAI 45 메가픽셀 카메라 사용 MSC 8X8 멀티 스펙트럼 카메라를 통해 PANOVOTEC은 고해상도 및 짧은 측정 시간을 가지는 광도 분석을 위한 새로운 유형의 시스템을 개발했다. 2개의 필터 휠을 사용하면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색상 필터 조합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더 많은 색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45메가픽셀 센서가 탑재된 JAI의 고해상도 카메라는 최적의 이미지 캡처를 보장한다. 많은 산업 분야에서 정확한 색상 사양을 준수하는 것은 중요한 품질 요소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예시는 자동차 산업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조업체는 차량의 운전석 및 앰비언트 조명 뿐만 아니라 제어 및 디스플레이 요소에도 상당한 가치를 부여하여 색상이 정확히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의료 기술의 경우에도 LED 수술실 조명 및 기타 많은 구성 요소는 이 산업 분야의 엄격한 요구 사항을 준수하기 위해 정확한 사양을 충족해야 한다. 패널과 같은 장식용 플라스틱 구성 요소를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에 조립하기 전에 사용 색상의 일치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이유는 단지 미적 이유 때
사용자를 시각화하고 통합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은 무엇인가? 머신비전 산업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VDMA 시장 조사에 따르면 2021년 유럽 머신비전 산업의 매출은 17% 증가했다. 그러나 카메라 제조업체가 특히 반도체 부품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공급망 혼란이 이러한 성장에 제동을 걸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VDMA는 독일 머신비전 산업이 2022년에 5% 성장하고 32억 유로의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예측했다. 속도에 대한 니즈 센서와 프로세서가 빨라짐에 따라 카메라의 속도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많은 카메라 공급업체가 5Gb/s 데이터 전송속도로 GigE Vision을 확장한 GigE Vision 5GBase-T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모델을 출시하고 있다. JAI는 올해 말 Sony Pregius S 센서가 탑재된 Go-X 시리즈 카메라를 5GBase-T 인터페이스가 있는 추가 모델 12개로 확장할 예정이다. 이번 추가로 Go-X 제품군은 230만~2450만 화소 범위의 해상도를 가진 60개 모델이 된다. 모든 새로운 모델은 컴팩트한 센서 크기와 작은 광학 이미지 서클의 2.74µm 후면 조명 픽셀을 특징으로 하므로 모든 카메라 모델이 저렴한
컬러 및 멀티 스펙트럼 이미징을 위한 프리즘 기반 라인 스캔 카메라와 싱글 센서 멀티 라인 카메라 비교 카메라 기술은 주로 머신 비전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에 따라 결정됩니다. 라인 스캔 카메라는 전통적으로 고속, 즉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의 이미지를 캡처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고속 산업 생산에서 컬러 또는 멀티 스펙트럼 이미징이 필요한 품질 관리 프로세스가 점점 더 많아짐에 따라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적절한 기능을 갖춘 라인 스캔 기술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한 가지 접근 방식은 멀티 라인이 있는 싱글 센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싱글 센서 카메라 중 일부는 최적화되지 않은 조명 조건에서 감도를 증가시키는 비닝 또는 통합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각 정보 채널에서 멀티 라인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다른 라인 스캔 접근 방식은 멀티 센서를 사용하는 것과 이색성(dichroic) 프리즘을 사용해 입사광을 필요한 파장대로 분리하는 것입니다. 해당 모델은 비닝을 통해 더 뛰어난 감도를 제공하기 위해 멀티 라인이 있는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두 접근 방식 모두 고속 이미징이 가능하지만(최신 CMOS 프리즘 기반 카메라 포함) 이미지 품질은 크게
오늘날 머신 비전 산업에서 사용되는 카메라의 컬러 출력은 주로 Bayer 패턴 또는 3라인 센서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이미징의 경우, 기존의 컬러 수준을 훨씬 뛰어넘어 표준 RGB로는 검사 작업을 수행하기 어렵다.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기존과 다른 RGB 파장 대역이 필요하고, 또 다른 경우에는 가시 스펙트럼 파장대가 아닌 UV, NIR, SWIR과 같은 비가시 파장만 필요할 수도 있다. 머신 비전 산업은 복잡한 계측 및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빠른 검사 처리 속도를 지원하면서 더 많은 수의 스펙트럼 채널을 제공하거나 애플리케이션별 스펙트럼 필터링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요구하고 있다. 이번 JAI 백서에서는 ▲멀티 스펙트럼 이미징 ▲멀티 스펙트럼 이미징 애플리케이션 ▲멀티 스펙트럼 카메라 기술 ▲멀티 스펙트럼 이미징을 위한 카메라 기술 선택 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하이퍼 스펙트럼 및 멀티 스펙트럼 이미징의 미래에 대해 설명한다. 본 기술 가이드를 통해 멀티 스펙트럼 이미징 솔루션 및 애플리케이션 요건에 따른 다양한 카메라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헬로티] 글로벌 머신비전 전문업체인 JAI가 Michael Lisby Jensen을 새로운 CEO로 임명했다. Jorgen Andersen은 이사회 의장직을 맡게 됐다. JAL에 다르면, Michael Lisby Jensen의 임명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Machine Vision 시장의 엄청난 기회와 반세기 이상 축적된 JAI의 고유한 역량을 중심으로 JAI의 성장 전략에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이라는 평가다. Michael은 엔지니어링 학사 및 경영 MBA를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KLA Inc.에서 CAPRES 및 MicroSense의 CEO/GM으로 활동하고 있는 몇몇 세계적인 기술 회사로부터 다년간의 풍부한 경험을 쌓았다. 특히, Michael은 전 세계적으로 심층적인 기술 조직 전반에 걸쳐 상업적 성장과 우수성을 추진하는 데 주력해 왔기 때문에 이번 JAL의 합류가 상당한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사진. (좌)새롭게 선임된 JAI CEO Michael Lisby Jensen (우)Jorgen Andersen 이사회 신임 의장 Michael Lisby Jensen는 "머신비전 시장은 엄청난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