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A 시행으로 보류했던 공장 건설 재개…원통형 4.2조·ESS LFP 3조 투입 원통형 공장 2025년 완공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애리조나주 퀸크리크에 7조2천억원을 투자해 신규 원통형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LFP 배터리 공장을 짓는다고 24일 밝혔다. 총 생산능력은 43GWh(기가와트시)로 북미 지역 글로벌 배터리 독자 생산 공장 중 최대 규모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한때 보류했던 애리조나 원통형 배터리 독자 생산 공장 건설을 재개하고, 투자금액 및 생산규모를 각각 4조2천억원, 27GWh로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또 같은 부지 내에 3조원을 별도 투자해 총 16GWh 규모의 ESS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생산 공장도 건설하기로 했다. ESS 전용 배터리 생산 공장을 짓는 것은 글로벌 배터리 업체 중 처음이다. 앞서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3월 애리조나주에 1조7천억원을 들여 11GWh 규모의 원통형 배터리 생산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다만 그로부터 3개월 뒤 인플레이션 등에 따른 투자비 급등으로 계획을 재검토한다고 공시한 바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이 공장 건설을 재추진하게 된 배경으로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KAIST-POSTECH 연구팀, 신재생에너지 저장할 수 있는 레독스 흐름전지 개발 KAIST 화학과 변혜령, 백무현 교수 연구팀, POSTECH 화학과 서종철 교수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수계 레독스 흐름전지에 활용할 높은 용해도의 안정한 유기 활성 분자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대표적인 2차전지인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수계 레독스 흐름 전지는 낮은 원가, 낮은 발화 위험, 그리고 20년 이상의 장수명 특성을 가져 신재생 에너지와 연계한 에너지저장장치(ESS)로 활용할 수 있다. 레독스 흐름전지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활성물질은 바나듐 원소이지만, 최근 바나듐의 원가 상승으로 인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레독스 물질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연구팀은 유기 분자의 설계를 통한 수계 레독스 흐름 전지 개발 연구에 집중했다. 유기 분자는 다양한 합성 디자인을 통해 용해도, 전기화학적 레독스 전위 등을 조절할 수 있어 바나듐보다 높은 에너지 저장이 가능한 유망한 활성물질의 후보군이다. 대부분의 유기 레독스 활성 분자들은 낮은 용해도를 가지거나 레독스 반응 시 화학적 안정성이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활성 분자들의 용해도가 낮으면 에너지 저장 용량이
정부가 올해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등 에너지 신산업 기술을 융합한 시스템 구축 비용을 보조하는 ESS·EMS 융합 시스템 보급 사업에 39억원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이런 내용의 'ESS·EMS 융합시스템 보급사업' 계획을 공고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지원 대상은 피크감축·비상전원을 대체할 목적으로 ESS·EMS 융합시스템을 설치하고자 하는 공업·상업·주거시설, 발전제약 완화를 목적으로 1회 이상 출력제어가 시행된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기존 ESS설비 재사용이나 전기차 사용후배터리 등을 활용해 융합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다. 특히 올해부터는 단독주택을 포함한 소규모 ESS를 지원대상에 포함한다. 또 ESS 안전성 확보를 위해 소요되는 인증 비용, 화재안전성능기준 충족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스프링클러 등 소방시설 설치 비용도 전체 구축비에 포함해 지원한다. 지원 규모는 용도에 따라 시스템 구축 비용의 최대 70%까지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오는 5월 3일까지 사업 신청서·계획서를 한국에너지공단에 제출하면 된다. 선정 결과는 6월 중에 나올 예정이다. 아울러 산업부는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
필츠코리아가 15일부터 열린 인터배터리 2023에 참가해 안전 제어 시스템 및 안전 센서, 안전 공정 유지보수 솔루션을 소개했다. 배터리 산업을 총망라하는 국내 대표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2023은 3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462개사 1359부스가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주최 측은 이번 전시회에 약 5만여 명이 방문할 것으로 내다봤다. 필츠 안전 제어 기술은 다양한 혜택을 지원한다. 높은 플랜트 생산 효율성 및 뛰어난 경제성, EN ISO 13849-1에 따른 퍼포먼스 레벨 e, IEC 62061에 따른 SIL CL 3까지 최대 안전 보장으로 근로자의 안전 보장, 간편하고 쉬운 작업 및 직관적인 구성을 장점으로 삼는다. 이외에도 고객의 작업 환경과 요구사항에 어울리는 자동화 솔루션, 일반 안전 기능 및 다양한 자동화 기능 모니터링, 일반적인 통신 프로토콜 지원, 유연한 적용 가능성 및 모듈형 확장성 등을 기능을 갖추고 있다. 대표적으로, 필츠의 안전 센서는 위치 모니터링을 위한 안전 스위치, 안전 게이트 시스템, 영역 및 구역 모니터링용 광 센서, 심지어 안전 레이더 및 카메라 시스템에 이르기
한국요꼬가와전기(이하 요꼬가와)가 15일부터 열린 인터배터리 2023에 참가해 이차전지 에코시스템에 포진된 자사 제품 라인업을 선보였다. 배터리 산업을 총망라하는 국내 대표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2023은 3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462개사 1359부스가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주최 측은 이번 전시회에 약 5만여 명이 방문할 것으로 내다봤다. 요꼬가와는 원재료 정제 및 셀 컴포넌트, 전극 공정, 배터리 제조 공정, 배터리 활용, 배터리 재사용 및 리사이클링에 이르는 배터리 전주기를 지원하는 장비들을 소개했다. 원재료 정제 및 셀 컴포넌트 부문에서는 원재료 정제 공정의 전송기 및 질량유량·밀도계, 싱글루프 온도 컨트롤러, 원재료 정제 공정 제어 시스템, 산업용 AI 제어 플랫폼 등의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배터리 제조 공정 부문에서는 전극 공정, 조립 공정, 화성 공정에 이르는 세부 과정에 따라 장비가 구비돼 있다. 전극도공측정 시스템, 배터리 소재 온도 모니터링 솔루션, 탈탄소 지원 솔루션, 디지털 인수인계 시스템 등이 그것이다. 배터리 활용, 배터리 재사용 및 리사이클링 부문에서도 배터리 리
한국플루크가 15일부터 열린 인터배터리 2023에 참가해 자사의 계측기 라인업을 선보였다. 배터리 산업을 총망라하는 국내 대표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2023은 3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462개사 1359부스가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주최 측은 이번 전시회에 약 5만여 명이 방문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플루크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BT5300 시리즈 배터리 측정기'는 배터리 셀의 전압과 내부저항 측정을 위한 제품이다. 배터리 셀의 양산 과정에서 필수적인 검사인 ACR+DCV 측정이 가능한 벤치타입이다. 이 제품은 AC 저항 정확도 0.2%rdg, 0.1μΩ의 분해능을 제공하며, 7.5자리수의 DCV 측정 기능은 ppm 단위의 정확도를 제공한다. 또한, 최대 320 채널 지원으로 확장된 측정 작업을 지원한다. BT5300 시리즈 배터리 측정기는 스캔 모드를 통해 자동으로 채널을 전환하고 데이터를 측정 및 저장하며 테스트가 완료되면 결과를 한 번에 PC에 업로드한다. 단일 채널의 테스트 시간은 기존의 ACR 및 DCV 측정과 비교할 때 600ms~1s에서 100ms로 단축됐다. 플루크는 테스트
도요테크가 15일부터 열린 인터배터리 2023에 참가해 자사의 계측기 라인업을 선보였다. 배터리 산업을 총망라하는 국내 대표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2023은 3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462개사 1359부스가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주최 측은 이번 전시회에 약 5만여 명이 방문할 것으로 내다봤다. 도요테크의 대표적인 제품인 DC 파워 서플라이 'TMX 시리즈'는 작은 사이즈에 많은 전력을 출력시키며 다양한 보호 기능과 함께 높은 정밀도를 제공함으로써 단독으로 소스와 측정이 가능한 제품이다. 병렬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대용량 전력에 적합한 구조를 가졌으며 리플과 노이즈가 적고 빠른 응답 기능을 갖추고 있다. 지난 1992년 창립한 도요테크는 주력 제품인 시스템파워, DC전원공급기, DC전자로드, 유해전파측정기, 디지털멀티미터, 클램프미터, 등 전기, 전자분야 계측기를 생산해왔다. 이와 함께 일본 SANWA 한국 총판을 담당해 국내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도요테크는 최근 다양한 DC파워및 전자로드를 배터리 시험 설비 및 제어, 차량 및 EV 자동차 시험 설비 및 제어, PV Simulation &a
MDS테크가 15일부터 열린 인터배터리 2023에 참가해 열화상 카메라 라인업을 선보였다. 배터리 산업을 총망라하는 국내 대표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2023은 3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462개사 1359부스가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주최 측은 이번 전시회에 약 5만여 명이 방문할 것으로 내다봤다. MDS테크가 전시회에서 선보인 텔레다인플리어의 자동화·연구용·OEM 열화상 카메라는 다양한 자동화, 산업 안전 및 연구개발에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상태 모니터링, 조기 화재 감지, 공정 제어 및 모니터링·품질 보증 등의 업무에 활용된다. 플리어의 고성능 열화상 솔루션은 고장 및 결함이 발생하기 전에 온도문제 감지, 막대한 비용 손실로 이어질 수 있는 생산 중단 사태 방지, 위험한 상황의 징후를 조기에 발견해 작업장의 안전도 제고 등 생산 현장에서의 여러 이점을 제공한다. MDS테크는 인텔리전트 융합 솔루션 기업을 지향한다. 'Make IT Different & Smart'이라는 슬로건을 앞세워 전문적인 기술 역량을 축적하고 폭넓은 사업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현재 다양한 산업 분야에 최적화한
바야흐로 전동화 시대. 탄소중립의 구호와 함께 자동차도, 기계도 전부 전동화의 길을 걷고 있다. 전동화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은 누가 뭐래도 배터리다. 이차전지 전문 조사 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작년 전기차 및 ESS 시장의 배터리 판매량은 812GWh, 전년과 비교해 86% 성장했다. 전기차 시장은 1년만에 392GWh에서 690GWh로 76% 성장했고, ESS 시장은 44GWh에서 122GWh로 177%의, 그야말로 고성장을 이뤘다. 이에 따라 세계의 눈이 모이고 있는 이차전지 시장. 우리나라 배터리 회사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은 글로벌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 LG에너지솔루션은 점유율 1위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작년 기준,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의점유율을 합하면, 시장 전체의 절반을 넘긴다. 국내 배터리 산업은 지난해 수출액이 전년 대비 15.2%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SNE리서치는 국내 3사의 배터리 사용량을 발표하며 우리 기업들이 성장세를 지속적으로 구현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LG에너지솔루션의 글로벌 시장 배터리 사용량은 59
462개사 1359부스가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참관객 5만여 명 예상돼 배터리 공정의 시작과 끝을 총망라하는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2023'이 15일인 오늘부터 17일까지 3일간의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다. 지난 2013년 첫 개최를 시작으로 올해 11회째인 인터배터리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코엑스·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가 공동 주관하는 행사다. 이번 전시회는 462개사 1359부스가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주최 측은 이번 전시회에 약 5만여 명이 방문할 것으로 내다봤다. A홀에는 배터리 3사를 비롯해 배터리 제조 기업, 배터리 소재 및 부품사가 위치했으며, B홀은 배터리 소재 및 부품을 비롯해 배터리 제조 장비, 공정 자동화 기업 등이 배치됐다. 3층에 위치한 D홀에는 검사 및 측정 장비, 제조 솔루션, 배터리 소재 및 부품 등의 기업이 포진돼 있다. 인터배터리는 모바일 소형전지부터 에너지, 자동차 산업 및 ESS와 EV 중대형 배터리까지 다양한 신제품 배터리 및 기술을 선보이며, 배터리 소재 및 부품, 제조기기, 검사 및 계측장비 등 배터리 제조 공정과 관련된 제품도 공개된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과 SK
LS일렉트릭은 15일부터 오는 17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2023’과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리는 ‘도쿄 스마트그리드 엑스포 2023’에 동시 참가한다고 밝혔다. LS일렉트릭은 이번 전시회에서 ‘에너지의 모든 것’을 테마로 △SST(솔리드스테이트 변압기) 기반 전기차 충전 플랫폼을 최고 공개하고 △차세대 모듈형 ESS(에너지저장장치) 솔루션 △EV릴레이 △DC 전력기기 토털 솔루션과 글로벌 스마트에너지 사업 전략 등을 선보였다. LS일렉트릭 SST는 단순히 전기를 변압하는 역할을 하는 일반 변압기와 달리, 전력반도체가 적용돼 변압과 동시에 직류(DC)-교류(AC) 변환이 가능한 변압기로 별도의 전력 변환 장치가 설치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교류를 사용하는 일반 전력 계통과는 계통과 달리 전기차 충전기, 배터리 등은 직류를 사용하고 있어 전기차 충전소에는 별도의 전력 변환 장치가 구축돼야 하는데, SST를 사용하면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LS일렉트릭 SST 기반 전기차 충전 플랫폼은 적용 사이트의 전력 사용 데이터를 측정하고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ESS 충방전, 충전기 전력 사용량 데이터 등을 분석
한국요꼬가와전기는 배터리 산업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3’에 참가해 원재료 정제와 셀(Cell) 컴포넌트 공정, 리싸이클링에 이르는 전 서플라이 체인에서 사용 가능한 요꼬가와의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올해 11회를 맞는 인터배터리 전시회는 ‘혁신 배터리 기술로 지속 가능한 미래 삶을 제시하는 글로벌 리더’라는 주제로 3월 15일부터 17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전시회 기간 중 최대 배터리 수요처인 전기차 관련 전시회 ‘EV 트렌드 코리아’가 100개사, 500개 부스 규모로 함께 열릴 예정이다. 요꼬가와 부스에서는 △에너지저장장치(ESS)의 배터리 에너지관리시스템 ‘PXiSE Solution’ △전기차(EV) 폐배터리 진단 및 재사용 솔루션 △이산화탄소 배출량 모니터링 솔루션 ‘DAS(Decarbonization Assistance Solution)’ 등 새롭게 선보이는 솔루션을 포함해 최신 기술을 반영한 제품 라인업을 직접 만나볼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공급망에서 한국요꼬가와전기가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설명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위한 탄소절감 방안에 대해서도 접할 수 있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마이다스아이티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ESS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마이다스아이티는 2000년 9월에 창사 이후 17년 동안 공학 기술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보급 그리고 구조 분야 엔지니어링 서비스와 웹 비즈니스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한민국의 공학 IT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했다. 컴퓨터 그래픽 기반의 시뮬레이션 기술과, 첨단 해석 및 최적화 설계분야에서 세계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기술을 인정받아 110여 개국에 공학기술용 소프트웨어를 수출하였다. 마이다스아이티가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한 제품은 ESS이다. ESS는 연결부 상세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마이다스아이티는 ESS의 A파형 응답 결과와 B파형 응답 결과를 제시했고, 동시에 쉘프 모델
SNE리서치, '2022년 전기차 및 ESS 시장 배터리 업체별 판매 실적' 발표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전기차뿐만 아니라 ESS 분야에서도 중국 시장이 급성장하며, 중국 배터리 업체들이 전년 대비 대폭 성장한 양상이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작년 전기차 및 ESS 시장 배터리 판매량은 812GWh로, 전년 대비 8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시장은 1년만에 392GWh에서 690GWh로 76% 성장했고, ESS 시장은 중국 및 북미시장의 활황으로 44GWh에서 122GWh로 177%의 고성장을 이뤘다. 중국 업체들이 대부분 전년과 비교해 대폭 성장한 반면, 기존의 강자로 평가되는 LG에너지솔루션과 파나소닉의 성장율은 각 19%와 4%에 그치며, 시장 평균 성장율인 86%와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한국 3사의 주력 시장인 유럽 전기차 시장의 성장률이 둔화된 가운데, 중국 배터리 기업 및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면서 중국 외 글로벌 시장에서도 중국 업체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기차의 경우, 중국 CATL은 중국 외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2021년 14%에서 202
고부가 디스플레이 소재 중심으로 매출 증가 및 수익성 강화 삼성SDI가 배터리 시장 호황 등에 힘입어 작년 매출 20조 원을 처음으로 넘어서는 실적을 거뒀다. 삼성SDI는 연결 기준 작년 영업이익이 1조8080억 원으로 전년 대비 69.4% 증가했다고 30일 공시했다. 작년 매출액은 20조1240억 원으로 48.5% 증가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다. 작년 4분기의 경우 영업이익은 4908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84.7% 늘었다. 4분기 매출은 56.3% 증가한 5조9659억 원으로, 분기 매출 기준 사상 최대 기록을 썼다. 순이익은 6292억 원이다. 4분기 실적을 사업부별로 보면 에너지 부문 매출이 5조341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591억 원으로 198.8% 증가했다. 중대형 전지는 수요둔화 우려에도 전 분기와 비교해 매출이 확대됐다. 자동차 전지는 P5(Gen.5)를 중심으로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했고, ESS 전지는 전력용 프로젝트에 공급돼 매출이 크게 늘었다. 영업이익은 일회성 비용 제외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고 삼성SDI는 전했다. 원형 전지 등 소형 전지 매출도 전 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