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서트가 기업의 이메일 보안과 브랜드 가시성을 강화하는 일반 상표 인증서 ‘CMC’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인증서는 등록 상표가 아닌 선 사용에 의해 보호되는 로고를 보유한 기업도 이용할 수 있다. 수신자가 받은 편지함에 발신자의 로고를 표시함으로써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이메일 전달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됐다. 2010년대 들어서 사이버 침해 사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사이버 보안업계는 개인정보 유출 및 악성 링크의 클릭을 유도하는 피싱에서 브랜드 사칭을 방지하기 위해 DMARC(도메인 기반 메시지 인증·보고 및 적합성)를 지난 2012년에 도입한 바 있다. 이후 주요 이메일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DMARC 도입을 촉진하기 위해 BIMI(메시지 식별을 위한 브랜드 표시)를 지원해 발신자가 마크 인증서를 통해 로고 소유권을 확인하도록 했다. CMC는 BIMI의 접근성을 확대해 더 많은 기업이 이를 활용하도록 지원한다. 공휴일이나 공익 활동 주제로 변형된 로고처럼 등록 상표로 정식으로 보호되지 않는 로고를 보호하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또 SPF·DKIM·DMARC 등 이메일 인증 표준을 준수하며 최근 구글과 야후가 대량 이메일 발송자를 대상으로
프루프포인트는 2024 파리올림픽 공식 파트너 기업 중 66%가 도메인 사칭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 보안 정책이 미비해 이메일 사기 피해 리스크가 있다고 발표했다. 전 세계인이 올림픽 좌석 티켓을 온라인 예매하는 상황에서는 올림픽 주최 정부기관(70%), 주요 온라인 티켓 예매 플랫폼(90%), 여행 사이트(40%) 등 일반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사기성 이메일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프루프포인트는 최근 몇 년간 사이버 범죄자가 피해자 네트워크 및 기술 인프라를 직접 해킹하기보다 적법 기관으로 위장하는 전술을 사용하는 사례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에 프루프포인트는 이메일 사칭 리스크에 대비해 현재 보안 상황을 점검하기 위한 이메일 인증 프로토콜(DMARC)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DMARC는 사이버 범죄자의 도메인 오용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이메일 인증 프로토콜이다. ‘모니터(Monitor)’는 인증되지 않은 이메일이 수신자의 받은 편지함 또는 기타 폴더로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검역(Quarantine)’은 인증되지 않은 이메일을 걸러내 휴지통 또는 스팸 폴더로 보내는 수준이다. ‘거부(Reject)’는 인증되지 않은
프루프포인트는 국내 공공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메일 인증 프로토콜(DMARC) 분석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DMARC(Domain-based Message Authentication, Reporting & Conformance)는 사이버 범죄자가 이메일을 도용(스푸핑, spoofing) 하는 것을 막도록 설계된 이메일 인증 프로토콜로, 각종 기관 및 기업은 DMARC 채택을 통해 이메일이 정해진 수신자에게 전달되기 전에 발신자의 신원을 인증해 이메일 사기 위험을 줄일 수 있다. DMARC에는 3가지의 보안 수준이 있다. '모니터(Monitor)'는 인증되지 않은 이메일이 수신자의 받은 편지함 또는 기타 폴더로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수준을 의미한다. '검역(Quarantine)'은 인증되지 않은 이메일을 걸러내 휴지통 또는 스팸 폴더로 보내는 수준이다. 마지막으로 '거부(Reject)'는 인증되지 않은 이메일이 수신자에게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가장 높은 보호 수준을 의미한다. 프루프포인트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공공 종합병원의 78%가 병원 정보 보호에 필수적인 이메일 인증 프로토콜을 갖추고 있지 않아 환자, 의료진, 및 이해관계자가 이메
프루프포인트, 기자간담회서 코스피 200 기업 이메일 인증 프로토콜 채택 현황 발표 글로벌 사이버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기업인 프루프포인트는 23일 열린 '프루프포인트 2022 기자간담회'에서 코스피 200(KOSPI 200)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메일 인증 프로토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기자간담회는 프루프포인트가 올해 4월 한국에 법인을 설립한 이후 주최한 첫 간담회 자리로, 프루프포인트 에반 두마스 아시아지역 담당 부사장 및 프루프포인트 코리아 이석호 대표가 참석해 글로벌 사이버 보안 업계 이슈, 국내 DMARC(Domain-based Message Authentication, Reporting & Conformance) 분석 결과, 국내 사업 현황 등을 설명했다. 프루프포인트가 코스피 200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스피 200 기업의 대다수(88%)가 기업 정보 보호에 필수적인 이메일 인증 프로토콜을 갖추고 있지 않아 고객, 파트너사 및 내부 직원이 이메일 사기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기업 중 약 12%가 이메일 인증 프로토콜을 갖췄지만, 이메일 사기로부터의 보호 수준은 각각 상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