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기 임상시험 전문 업체 헬프트라이알이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 박람회(KICEF 2025)’에 전시부스를 꾸린다. 현장에서 국내 의료기기 기업들의 성공적인 시장 진출을 돕는 임상 솔루션을 선보일 전망이다. 헬프트라이알은 의료기기 임상시험 분야에서 10년 이상 축적한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설립된 임상시험수탁기관(CRO)이다. 임상 경험이 부족한 기업들을 지원한다는 설립 이념 아래, 이들의 전문가적 노하우가 집약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의료기기 분야에 특화된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신속하고 효율적인 서비스로 구현한다. 회사가 올해 KICEF에서 공개하는 의료기기 임상시험 수탁 서비스는 국내 의료기기 분야 전체 과제의 약 70%를 수행하며 쌓은 경험을 기반으로 한다. 헬프트라이알은 특히 인공지능(AI) 의료기기와 디지털 치료기기(DTx) 임상시험 분야에서는 국내 최다 수행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이 같은 역량으로 고객에게 높은 신뢰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내 혁신 기술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한편, KICEF 2025는 한국산업단지경영자연합회(KIBA)·한국산업단지공단·(사)글로벌선도기업협회·(주)첨단이 공동 주관
현대바이오는 자사의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인 CP-COV03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긴급사용승인 신청을 위한 절차를 진행한다고 26일 밝혔다. 미국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일본내 자사의 화장품 판매 합작법인인 비타브리드 재팬의 지분 137억원어치를 매각해 미국 등 글로벌 진출 자금을 미리 확보했다고 회사 측은 말했다. 현대바이오는 미국 현지에 전담 법인을 설립해 FDA에 CP-COV03의 긴급사용승인 신청 절차를 밟는 한편 원숭이두창 치료제로 패스트 트랙을 신청하는 방안도 모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코로나 치료제 등 신약을 개발하는 바이오나 제약기업이 미국 현지에 법인을 설립할 경우 미 정부의 정책자금 지원 대상으로도 선정될 수 있다. 일부 자금은 연내 호주에서 시작할 예정인 이른바 '무고통 항암제' 폴리탁셀의 글로벌 임상 자금으로 사용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측은 FDA에 CP-COV03의 긴급사용승인 신청을 위한 사전준비 등을 위해 글로벌 CRO(임상시험수탁기관)인 I사와 컨설팅 계약을 금명간 맺기로 했다고 밝혔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구글 클라우드, 마이크로소프트서 시장 진출 전략과 반복 매출 성장 이끈 존 제스터 영입 빔 소프트웨어가 전 구글 클라우드 존 제스터(John Jester)를 최고 매출 책임자(CRO)로 임명했다고 발표했다. 제스터는 빔 소프트웨어의 시장 진출 성장 전략을 주도하고 클라우드, 가상, 물리적, 하이브리드, SaaS 및 쿠버네티스(Kubernetes)를 아우르는 차세대 데이터 보호 솔루션 1위 공급업체로서 빔의 입지를 굳힐 수 있도록 힘쓸 예정이다. 제스터는 구글 클라우드에서 고객 경험 조직을 이끌어 시장 진출 조직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준 바 있으며, 클라우드 채택과 고객을 위한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해 230억달러 이상의 연간 반복 매출(ARR)을 달성했다. 구글 클라우드 이전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주요 영업 조직에서 20년간 근무하며 고객 라이프 사이클 전반에 걸쳐 시장 진출 전략을 재구성했다. 그 외에도 제스터는 고객 성공 부문 기업 부사장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서비스 채택을 추진하는 새로운 조직을 설립했으며, 전문가 영업 부문 부사장으로 전체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서비스 제품군에서 엔터프라이즈 세일즈 전략을 주도한 바 있다. 존 제스터 빔 소프트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