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2월 글로벌 전기차의 배터리 사용량이 40%가량 늘어난 가운데 K배터리 3사의 점유율은 소폭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30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2월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총 사용량은 75.2기가와트시(GWh)로 전년 대비 39.0% 증가했다. 중국의 비야디(BYD)는 전년 대비 2배 이상 성장하며 시장 점유율 18.2%를 기록해 CATL(33.9%)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0.2% 하락한 23.7%였다. 다만 3사 모두 성장세를 보였다.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사용량(10.0GWh)은 전년 대비 51.9% 증가하며 3위(점유율 13.3%)를 기록했고, SK온(4.1GWh)과 삼성SDI(3.7GWh)의 배터리 사용량은 각각 3.8%와 57.2% 늘며 나란히 5위와 6위를 차지했다. SK온과 삼성SDI의 점유율은 각각 5.5%, 4.9%다. 이는 각사 배터리 탑재 모델들의 판매 호조가 주 요인이다.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가 탑재된 테슬라 모델3와 모델Y, 포드 머스탱 마하-E, 폭스바겐 ID.3와 ID.4 등이 판매 호조를 보였고, SK온 배터리가 탑재된
글로벌 배터리 시장의 상위 10곳 회사가 국내 3사와 일본 파나소닉을 제외하면 모두 중국 회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판도는 당분간 큰 변화가 없을 전망이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작년 전기차용 배터리 업체별 판매 실적은 690GWh, 배터리 팩 기준 시장 규모는 1천255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중 상위 10곳 배터리 업체의 비중은 매출액 기준 71%, 용량 기준으로는 93%를 기록했다. 중국 CATL의 시장 점유율은 매출액 기준 28%, 출하량 기준 39%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K-배터리의 점유율은 매출액 기준으로 LG에너지솔루션이 12%, SDI가 6%, SK온은 5%로 각각 2위, 4위, 5위에 자리했다. 테슬라를 제치고 전기차 판매 세계 1위를 기록한 BYD는 시장 점유율이 매출액 기준 10%, 출하량 기준 12%를 기록하며 3위로 올라왔으며, 당분간 강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파나소닉은 테슬라향 배터리 셀 판매 형태의 매출 구조를 갖고 있어, 출하량 기준 시장 점유율로는 7%, 4위이지만, 매출액 기준으로는 시장 점유율 4%로 6위를 기록했다. 10위권 밖의 Sunwoda, Farasis, AESC 등도 9, 10위를 차지한 EVE, SV
SNE리서치, '2022년 전기차 및 ESS 시장 배터리 업체별 판매 실적' 발표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전기차뿐만 아니라 ESS 분야에서도 중국 시장이 급성장하며, 중국 배터리 업체들이 전년 대비 대폭 성장한 양상이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작년 전기차 및 ESS 시장 배터리 판매량은 812GWh로, 전년 대비 8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시장은 1년만에 392GWh에서 690GWh로 76% 성장했고, ESS 시장은 중국 및 북미시장의 활황으로 44GWh에서 122GWh로 177%의 고성장을 이뤘다. 중국 업체들이 대부분 전년과 비교해 대폭 성장한 반면, 기존의 강자로 평가되는 LG에너지솔루션과 파나소닉의 성장율은 각 19%와 4%에 그치며, 시장 평균 성장율인 86%와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한국 3사의 주력 시장인 유럽 전기차 시장의 성장률이 둔화된 가운데, 중국 배터리 기업 및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면서 중국 외 글로벌 시장에서도 중국 업체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기차의 경우, 중국 CATL은 중국 외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2021년 14%에서 202
미시간 공장, CATL이 자본을 투입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IRA 혜택 받을 가능성 높아져 포드가 CATL과 미국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짓기로 하면서 국내 배터리 업계의 북미 시장 진출 전략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에 따른 강력한 대중 규제에도 중국 배터리 업체가 북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우회로를 마련한 것으로, 국내 배터리 업체와 중국 업체 간 점유율 경쟁이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15일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포드는 CATL과 합작회사를 설립한 뒤 디트로이트에서 160㎞ 떨어진 미시간주 마셜에 배터리 공장을 세우기로 했다. 포드의 투자 규모는 35억 달러다. 일반적 합작법인과 달리 미시간 공장은 포드가 지분 100%를 갖는 형태로 설립된다. CATL은 기술을 지원하는 식으로 공장 운영에만 참여한다. IRA를 우회하기 위해서다. IRA에 따르면 전기차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북미에서 제조·조립된 부품이 일정 비율 이상 들어간 배터리를 탑재해야 한다. IRA는 중국을 겨냥해 해외 우려 기업이 만든 배터리는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했는데, 포드의 미시간 공장은 CATL이 자본을 투입하는 방식이 아니라서 IRA의
SK온·삼성SDI는 4, 5위…중국계 CATL은 2위 지난해 중국 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1위를 지켰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한국계 3사의 시장점유율은 50%를 넘겼다. 14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판매된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사용량은 219.3GWh(기가와트시)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보다 45.2% 증가한 것이다. 업체별로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사용량은 전년보다 22.9% 증가한 65.2GWh로 1위를 지켰다. LG에너지솔루션은 테슬라 모델3·모델Y, 폭스바겐 ID.3·ID.4 등의 판매량 증가로 성장세를 이어갔다. SK온의 배터리 사용량은 전년보다 65.2% 증가한 27.8GWh로 4위를 기록했다. SK온은 현대 아이오닉5·아이오닉6, 기아 EV6의 판매 호조로 고성장세를 이어갔다. 5위 삼성SDI의 배터리 사용량은 24.0GWh였다. 아우디 E-Tron 라인업, BMW iX, BMW i4, 피아트 500 등의 꾸준한 판매로 전년보다 사용량이 70.1% 증가했다. 다만 LG에너지솔루션의 점유율은 2021년 35.1%에서 지난해
미시간 배터리 공장, 주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생산할 계획 포드 자동차가 CATL과 합작으로 미국 미시간주에서 배터리를 생산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3일(현지시간) 포드가 CATL과 합작회사를 설립한 뒤 디트로이트에서 160km 떨어진 미시간주 마셜에 배터리 공장을 세우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포드는 35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포드와 손을 잡은 CATL은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3분의 1을 점유하는 기업이다. 2위인 LG에너지솔루션과의 시장점유율 격차도 20%포인트까지 벌어진 상태다. 현재 CATL은 중국 등 아시아와 유럽에 모두 13개의 공장을 운영하지만, 미국에 공장을 세우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포드의 미시간 배터리 공장은 중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생산할 계획이다. LFP배터리는 미국과 유럽에서 사용되는 니켈코발트(NMC) 배터리에 비해 성능은 떨어지지만 생산비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짐 팔리 포드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합작의 목표는 전기차 생산비를 낮추는 것"이라며 "LFP는 가장 저렴한 배터리 기술"이라고 말했다. 앞서 포드는 전기차의 가격을 낮추기 위해 올해부터 LFP배터리를 머스탱 마하-
SNE리서치 분석…CATL 1위 독주, LG엔솔·BYD 2위 경쟁 치열 지난해 글로벌 전기차 탑재 배터리 사용량에서 국내 3사(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의 시장점유율이 전년보다 6%포인트 넘게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8일 에너지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국내 3사는 성장세를 지속했으나 시장점유율은 2021년 30.2%에서 2022년 23.7%로 6.5%포인트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사용량은 59.4GWh에서 70.4GWh로 18.5% 늘었지만, 시장점유율은 19.7%에서 13.6%로 6.1%포인트 내려갔다. 연간 기준 점유율 2위는 유지했다. 시장점유율 5위 SK온과 6위 삼성SDI의 사용량도 각각 61.1%, 68.5% 늘었다. 그러나 점유율은 SK온이 5.7%에서 5.4%로, 삼성SDI가 4.8%에서 4.7%로 소폭 하락했다. 반면 중국 배터리 업체들은 대부분 세 자릿수 성장률을 달성하며 약진했다. 1위 CATL은 배터리 사용량이 99GWh에서 191.6GWh로 2배 가까이 늘며 점유율도 33.0%에서 37.0%로 뛰었다. 3위 BYD의 시장점유율은 8.7%에서 13.6%로 올라 LG에너지솔루션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자회사 광둥 방푸, 50만t 규모 배터리 재활용 기지 건설 계획 밝혀 CATL이 238억 위안을 투자해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기지를 건설할 예정이라고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이 30일 보도했다. CATL은 전날 이런 내용의 리튬 배터리 재활용 계획을 밝혔다. CATL은 64.8%의 지분을 가진 자회사 광둥 방푸가 50만t 규모의 배터리 재활용 기지를 건설하며, 여기에 4년이 소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기차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보증 기간은 통상 8년, 주행거리로는 12만㎞ 수준이다. 배터리 용량이 80% 미만이면 전기차에 적합하지 않아 재활용 또는 폐기 처리돼야 한다. 차이신은 중국에서 2009년부터 신에너지차(전기차·하이브리드차·수소차)가 보급돼 2015년 판매량이 30만 대를 넘어선 후 급속한 확장기에 들어갔다면서, 이를 고려할 때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재활용은 전기차 배터리를 일단 분말로 만든 뒤 화학적인 방법으로 필요 성분을 추출해 재가공하는 식으로 이뤄진다. 최근 몇 년 새 주요 원료인 리튬 가격이 폭등하면서 전기차 배터리의 재활용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차이신은 전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SNE리서치, 2022년 1~11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발표 작년 1월부터 11월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된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이 BYD에 밀려 3위로 내려왔다. 자국 시장의 폭발적 성장을 바탕으로 한 중국 업체들의 도약이 이어지고 있다. 해당 기간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총 사용량은 446.0GWh로 전년 동기 대비 74.7% 상승했다. 글로벌 1위인 중국계 CATL은 두배 이상의 성장을 보여주었고 BYD 등 10위권에 안착한 중국계 업체들은 모두 세 자릿수의 고 성장세를 보였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꾸준한 성장율을 보이고 있으나 전년 동기 대비 30.5%에서 23.1%로 7.4%p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9.7% 성장한 54.8GWh로 3위에 올랐고, SK온은 72.0% 증가한 26.1GWh, 삼성SDI는 74.9% 상승한 22.1GWh를 기록했다. LG엔솔을 제치고 2위에 오른 BYD의 성장세가 무섭다. 경기 침체, 반도체 수급난 등이 우리 기업들에게 악재로 작용했고, 중국 시장의 꾸준한 성장세, 그리고 유럽향 폭스바겐, 볼보 등의 모델과 중국향 테슬
CATL, BYD 등 중국 기업이 시장 성장 이끌어...LG엔솔은 2위 수성 올해 들어 10월까지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BEV, PHEV, HEV)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2위를 유지했다. SK온과 삼성SDI는 각각 5, 6위 자리를 지켰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1월부터 10월까지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총 사용량은 390.4GWh로 전년 동기 대비 75.4% 상승했다. 2020년 3분기부터 시장 성장이 이어지고 있다. 글로벌 1위인 중국계 기업 CATL은 두 배 가까운 성장을 기록했고, BYD 등 Top 10에 오른 중국계 기업은 모두 세 자리 수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꾸준한 성장율을 보이고 있으나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31.7%에서 24.8%로 6.9%p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16.1% 증가한 53.7GWh로 2위를 지켰다. SK온은 83.2% 증가한 24.1GWh, 삼성SDI는 69.0% 상승한 18.9GWh를 기록했다. 배터리 셀 메이커들의 성장세는 각 사의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는 모델들의 판매가 주 요인이다. SK온은 현대 아이오닉5와 기아 E
한국계 3사 점유율 56.0%, 중국계 ‘급성장’ CATL 2위 등극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중국 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의 전기차(EV, PHEV, HEV)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한국의 LG에너지솔루션이 1위를 지켰다. SK온과 삼성SDI는 Top 5에 안착했고, 국내 3사의 점유율은 56.0%를 기록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1~9월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에너지 양은 145.0GWh로 전년 동기 대비 40.4% 증가했다. 업체별로는 LG에너지솔루션이 18.4% 성장한 43.7GWh로 1위 자리를 지켰다. 중국계 CATL은 非중국 시장에서도 112.4%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파나소닉을 제치고 2위에 올랐다. SK온은 21.2GWh로 전년 대비 95.8% 성장하며 점유율이 4.1%p 상승했다. 삼성SDI는 16.3GWh로 전년 대비 64.8% 증가하며 5위를 차지했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전년 대비 0.2%p 소폭 상승한 56.0%를 기록했다. 반면, 파나소닉과 PEVE, LEJ 등 일본 업체들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성장률을 보이며 LEJ를 제외한 업체들의 점유율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 이에 비해 CATL을 비
중국계 중심 ‘고성장’ 시장 속 LG에너지솔루션 2위 고수 2022년 1월부터 9월까지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BEV, PHEV, HEV)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CATL과 LG에너지솔루션이 1, 2위를 유지했다. SK온은 국내 3사 중 가장 높은 성장세로 5위 자리를 지켰다. SNE리서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1~9월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총 사용량은 341.3GWh로 전년 동기 대비 75.2% 상승했다. 2020년 3분기부터 시장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중국계는 CATL과 BYD를 필두로 다수의 업체들이 시장 성장을 리드했고, CALB 등 Top 10에 오른 중국계 업체들은 모두 세 자릿수의 고성장률을 보였다. 반면 파나소닉을 포함한 일본계 업체들은 대부분 시장 평균에 못 미치는 성장률을 보이며 계속해서 하락세이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32.5%에서 25.2%로 7.3%p 하락했으나 꾸준한 성장율을 보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14.1% 증가한 48.1GWh로 2위를 유지했다. SK온은 92.0% 증가한 21.2GWh, 삼성SDI는 65.1% 상승한 16.6GWh를 기록했다. 국
배터리 사용량 성장세에도 중국계 높은 성장률 탓 올해 1∼9월 전 세계에서 판매된 전기차(EV, PHEV, HEV) 탑재 배터리 사용량에서 국내 3사의 시장점유율이 작년 동기보다 7%포인트(p) 넘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에너지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9월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총 사용량은 341.3GWh(기가와트시)로 작년 동기보다 75.2% 증가했다. 특히 점유율 1위인 CATL(35.1%)과 3위인 BYD(12.8%)를 필두로 중국계 업체들이 시장 성장세를 이끌었다. 점유율 상위 10위권에 오른 중국계 업체들은 모두 세 자릿수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점유율 4위인 파나소닉(8.1%)을 포함한 일본계 업체들은 대부분 시장 평균에 못 미치는 성장률을 보였다. 국내 업체들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시장 점유율은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사용량은 작년 동기 대비 14.1% 증가한 48.1GWh로 2위를 유지했다. SNE리서치는 LG에너지솔루션이 테슬라 모델3, 모델Y의 높은 인기와 폭스바겐 ID.4, 포드 머스탱 마하-E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두 자릿수 성장률을 유지했다고 분석했다. SK온의
전장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품을 꼽는다면 단연 배터리다. 전기차 비용 가운데 약 40%가량을 차지하는 배터리는 경쟁력 있는 산업이다. 공교롭게도, 국내에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이라는 세계 수준에서 경쟁하는 배터리 기업이 있다. 배터리 3사는 성장하는 배터리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전략 방안을 수립해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3사가 넘어야 할 CATL이라는 산 2022년 상반기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59조 원 규모로 성장했다. SNE리서치 조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BEV·PHEV)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한 435만 대로 파악됐다. 올해 상반기 판매된 전기차용 배터리 매출 총액은 427억3000만 달러였다. CATL이 130억 달러로 전체 시장의 30%를 차지하며 점유율 1위를 기록했고, LG에너지솔루션은 58억4000만 달러에 14%의 점유율로 2위를 기록했다. 이어 3위 BYD(5조3000억 원·9%), 4위 삼성SDI(4조1000억 원·7%), 5위 일본 파나소닉(3조 원·5%), 6위 SK온(2조8000억 원·5%) 등의 순이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
SNE리서치, 2022년 1~8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발표 중국계 CATL, BYD 가파른 성장 속 한국계 3사 순위 유지 2022년 1~8월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BEV, PHEV, HEV)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CATL가 1위 자리를 지켰다. LG에너지솔루션은 2위를 유지했고, SK온과 삼성SDI는 두 자릿수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5, 6위에 올랐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1~8월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총 사용량은 287.6GWh로 전년 동기 대비 78.7% 상승했다. 2020년 3분기부터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계속되고 있다. Top 10에 오른 중국계 업체들은 모두 세 자릿수의 고성장률을 보이며 CATL과 BYD을 필두로 시장 성장을 이끌었다. 파나소닉을 포함한 일본계 업체들은 대부분 시장 평균에 못 미치는 성장률을 보이며 계속해서 하락세다. 국내 3사는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33.5%에서 25.0%로 8.5%p 하락했으나 각각 2, 5, 6위를 수성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10.0% 증가한 39.4GWh로 2위를 유지했다. SK-On은 2배 상승한 18.4GWh, 삼성SDI는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