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알엠, BLDC 모터 기술로 미 국방 시장 진출 가속화...HTI는 한국 시장 진입 본격화 공동 개발 및 글로벌 방산 프로젝트 진화 가능성 시사해 케이알엠이 호버플라이 테크놀로지스(Hoverfly Technologies Inc., 이하 HTI)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핵심 기술 역량을 결합, 한미 국방 산업에 시너지를 창출하고 상호 성장을 도모하는 장기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방침이다. HTI는 미국 육군 테더드론(Tethered Unmanned Aerial System, TeUAS) 분야 기술 업체다. 미국 국방부가 지정하는 상업용 드론 및 관련 기술 공급 업체 목록인 ‘블루 리스트(Blue List)’에 등재됐다. 또 미군이 공식적으로 개발·획득·운용하기로 결정한 후 예산을 배정받은 주요 무기체계 또는 프로그램인 ‘프로그램 오브 레코드(Program of Record, POR)’ 채택이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테더드론은 지상과 물리적인 줄(Tether)로 연결돼 전력을 공급받고 대용량 데이터를 주고받는 드론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이 기술은 사실상 무제한에 가까운 비행 시간을 제공한다. 장시간 감시
시기인더스트리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시기인더스트리는 이번 SF+AW 2022에서 자체 개발을 통해 생산하고 있는 각종 서보모터와 드라이버 제품을 전시한다. 시기인더스트리의 BS 시리즈 서보 드라이버는 공작기계, 반도체 장비, 의료기, 측정기 등 정밀 시장을 타겟으로 만들어졌다. ▲AC 전원 입력 ▲200W, 400W, 750W 서보 모터 드라이버 ▲토크, 속도, 위치 제어 ▲산쿄(일본), 리드샤인(중국), DD 모터 대응 ▲고속 통신용 엔코더 및 SC 엔코더 대응 ▲위치 이동 기능 내장 ▲8 Point 위치 등록 및 이동 기능 ▲ModbusRTU, CAN 등 표준화 통신 등 특징이 있다. BL 시리즈 BLDC는 이송, 포장, 고효율 컴프레셔 등 일반 자동화 기기 분야에 적합하다. ▲AC 전원 입력 ▲200W, 400W, 750W BLDC 모터 드라이버 ▲토크, 속도, 위치 제어 ▲국내 MTM(MD), TM Tech-I, SPG, 세우산전, GGM 등 모터 대응 ▲위치 이동 기능 내장 ▲8
[헬로티] 에너지 효율 혁신을 주도하는 온세미컨덕터가 세타 파워시스템 인터내셔널과 모터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협업을 발표했다. 이로써, 양사 고객들은 브러시리스(BLDC) 모터로 전환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고성능 반도체 솔루션과 함께 업계 선도적인 모터 제어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세타 파워시스템 인터내셔널은 수십 년간 유수의 전자장치 업체와 협력해 모터 제어 소프트웨어를 배포해온 경험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상당한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 세타 파워시스템 인터내셔널과 온세미컨덕터는 이번 협업을 통해 기존의 단상 ON/OFF 모터를 가변속 3상 BLDC EC(Electronically Commutated) 모터로 대체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모터가 전세계 전력의 약 45%를 소비하는 현 상황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해 나갈 방침이다. 세타 파워시스템 인터내셔널의 CEO인 월리 클라스는 “이번 협업으로 온세미컨덕터와 세타 파워시스템 인터내셔널은 HVAC(공기조화기술), 가전제품, 풀펌프 시장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굳건히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온세미컨덕터의 산업·오프라인 전력부문 부사장겸 총괄인 라
BLDC 드라이브의 정류 셀 분석 그림 1에서와 같은 하프 브리지 셀을 가지고 모든 FET의 스위칭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S1과 S2는 벅 구성으로 스위칭하며, S4는 계속적으로 턴온해서 리턴 전류 경로를 제공한다. S1은 능동 스위치이다. S1을 턴온하면 인덕터 전류가 상승한다. S2는 정류기 스위치로서, S1이 턴오프되고 인덕터 전류가 떨어질 때 이의 바디 다이오드가 인덕터 전류를 전도한다. 이 동작은 모터의 동작 사이클의 1/3에 일어난다. 그런 다음 그 다음 하프 브리지로 동일한 동작이 일어난다. MOSFET의 스위치 모드 동작은 높은 dv/dt와 di/dt를 발생시킨다. ▲ 그림 1. 스위칭 셀 dv/dt가 높으면 가장 큰 위험성은 슈트쓰루(shoot-through)이다. S1을 턴온하면 S2에서 결과적인 dv/dt가 게이트와 결합함으로써 전압 스파이크가 발생된다. 이 결합 스파이크가 충분히 높아서 FET의 게이트 문턱 전압에 달하면 브리지의 양쪽 FET 모두가 짧은 순간 동안 온이 됨으로써 션트 저항이나 전해 커패시터 같은 소자들로도 결함을 일으킬 수 있다. 또 다른 위험성은 게이트 발진이다. 이것은 턴온 시에 발생될 수 있다. 높은 di/dt
[첨단 헬로티] NXP 반도체가 초소형 8비트 S08 마이크로컨트롤러(MCU)인 MC9S08PA4AVDC를 발표했다. 이 제품은 크기가 3x3x0.9mm로 BOM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PCB 공간 축소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기 때문에 미래 기술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초소형 MCU를 필요로하는 산업용 제어, BLDC 모터 제어 및 IoT 제어 등과 같이 크기가 제한적인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도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MC9S08PA4AVDC MCU는 고성능, 저비용의 NXP 8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 HSC08 제품군에 속한다. 향상된 HSC08 중앙 프로세서(central processor)를 활용하며 다양한 주변 장치, 메모리 크기 및 유형을 사용할 수 있고, 8비트 S08 코어를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운영 온도 범위에 걸쳐 2.7V~5.5V에서 20MHz bus까지 도달하며, 혹독한 사업(harsh industrial)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서도 보다 뛰어난 내구성과 유연성, 안정성을 제공한다. 또한 최대 5KB 플래시, 128바이트 EEPROM 및 512 바이트 RAM을 소형 패키지에 통합했다. 신규 MCU가 포함된 NXP의 S08 마이크로컨트롤
“소형 모터의 애플리케이션은 무궁무진하며, 특히 하이엔드 제품은 중저가와 경쟁하며 지속 성장할 것이다.” 포르테스캡(Portescap) 최형섭 부장은 국내 산업용 모터 시장을 이같이 전망하고, 최근 저렴한 하이엔드 모델들이 출시되면서 중저가 코어리스(coreless) 모터와도 경쟁하는 상황에 와 있다고 말한다. 국내 소형 모터 시장의 최근 이슈와 포르테스캡의 영업 전략을 최형섭 부장에게 들었다. ▲ 포르테스캡 최형섭 부장 [헬로티] Q. 최근 소형 모터 관련 가장 큰 이슈는 A. 저가형 모터를 사용하던 이·미용 분야에서 최근 코즈메틱 핸드툴 애플리케이션에 안정적인 성능과 높은 품질이 보장되는 고가의 모터가 고려되기 시작했다. 예전에는 저가형 모터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품질 문제 등이 크게 부각되지 않았지만, 이·미용 시장이 커지고 수요가 많아지면서 고객들은 값비싸더라도 AS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고품질의 모터를 찾게 되었다. 소형 모터 업체들은 경제 상황 변화에 비교적 덜 민감한 의료 및 이·미용 분야에 좀 더 관심을 기울이고 집중할 필요가 있다. Q. 시장 변화와 관련 두드러진 점이 있다면 A. 하
온세미컨덕터는 LV8907UW를 출시해 기존의 모터 컨트롤러의 포트폴리오를 확대했다. 구동 전력 범위 5.5에서 20볼트 (4.5에서 40의 과도 전압)를 지원하는 이 고성능 및 다기능 소자는 3상 브러시리스 모터를 효율적으로 작동시키는 최신 솔루션이다. 이번에 출시된 LV8907UW는 100% 듀티 사이클 동작을 위한 2단 충전 펌프와 6개의 N-채널 MOSFET의 게이트 드라이버를 집적했다. 최저 비용을 위한 설계 구성을 자랑하는 이 집적 회로는 외부 마이크로 컨트롤러 없이도 작동이 가능하다. 스타트업이나 속도 셋팅과 같은 주요 변수나 기능 등이 SPI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 가능하며 내장된 비휘발성 (OTP) 메모리로 저장되는 이 소자는 별도의 프로그래밍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개방 루프와 폐쇄 루프 속도 조절도 가능하다. LV8907UW는 또한 더 복잡하고 정교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리니어 레귤레이터(3.3V 혹은 5V, 50mA)를 집적한 소형 마이크로컨트롤러, 자동차 커넥티비티를 위한 LIN 트렌시버 및 워치독 타이머를 지원한다. AEC-Q100규격을 준수하는 LV8907UW는 최대 175℃의 동작 온도를 가지며 가혹한 자동차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티엠테크아이는 산업용 대용량 BLDC 모터, BLDC 드라이버, 전자브레이크 및 특주형 AC 인덕션모터 등을 생산하는 모터 전문 업체이다. 티엠테크아이는 자체 개발 및 양산 기술로 대용량 BLDC 모터인 POWER TM을 생산, 공급하고 있다. POWER TM BLDC 모터는 강력한 네오디늄 자석을 적용한 고효율, 고토크 모터로 정속 및 부하 대응 특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소형 콤팩트한 구조와 정역변환, 속도제어 등의 제어 기능은 관련 적용 제품의 품질 향상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이 회사가 주력 생산 중인 ‘Power TM 시리즈’는 4극 네오디윰 자석 적용 외주부 공극형 회전자로서, 고정자는 3상 24슬롯 분산 권선형, 제어기는 마이컴 비례제어와 IGBT 파워모듈을 채용했다. 이 제품은 80~95%의 고효율화를 실현했으며 회전수 변화에 따른 토크 변화가 적다. 또한 300rpm 이상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임근난 기자 (fa@hellot.net)
BLDC 모터는 안정적인 속도 제어용 시스템과 소형·고토크를 요구하는 장비에 사용됐다. 최근 들어 장비의 사이즈가 더 작아지고 저비용에 대한 수요가 증가 하면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제품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런 요구를 반영하여 오리엔탈모터는 더 작은 사이즈, 더 낮은 소비전력, 사용의 편리성을 추가하여 차세대 BLDC 모터를 개발했다. 기본적인 BLDC 모터의 특징과 차세대 BLDC 모터인 BMU 시리즈(일명 : NexBL)의 기술적 특징을 소개한다. 브러실리스 모터(BRUSHLESS MOTOR)는 소형, 고효율, 고출력 모터로서 다양한 장치나 기기의 구동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장치의 소형화, 고출력화, 에너지 절약화의 요구와 함께 모터에도 비슷한 성능이 추가되길 기대하는 한편, 쉽게 설치·접속·조작할 수 있길 바라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소형화·경량화·고효율화를 실현한 NexBL 모터와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드라이버를 조합한 제품이 NexBL BMU 시리즈이다(그림 1참조). 그림 1. NexBL BMU 시리즈 여기에서는 BLDC 모터의 기본적인 특징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