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4차 산업혁명 이후, 공장 자동화 시스템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이 가운데 PC 한 대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제어 기술의 등장은 스마트 팩토리라는 카테고리 안에서 혁신 그 자체였다. 간편한 설비와 실시간 피드백을 앞세운 이 솔루션은 점차 업계에서 성능과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기술의 선두에 바로 이 기업이 있다. 모벤시스는 지난 1996년 미국 MIT 프로젝트에서 태동했다. 창립 이래 모벤시스는 로봇 및 모션 제어, 첨단 계측 제어 솔루션을 주목했으며, 미래 지향적인 산업 선두 주자가 되기 위해 달려왔다. 모벤시스의 강점은 혁신을 거듭하는 기술 집약적 기업이라는 것이다. 그런 취지로 당사는 올해 사명을 ‘소프트모션앤로보틱스’에서 현재의 ‘모벤시스’로 변경했다. ‘끊임없는 기술 혁신을 통해 사회의 변화에 기여한다’는 경영 이념을 임직원 모두가 공유하고 있다. 이를 통해 반도체부터 디스플레이, 정보 통신 장비, 물류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에서 고객에게 최적화된 자동화 솔루션과 시스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이에 모벤시스 양부호 의장을 만나 이야기 나눠봤다. 모벤시스라는 사명은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 모벤시스라는 최초로 움직임을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전장사업을 담당하는 VS사업본부는 2일 디지털 마케팅을 적극 펼치기 위해 글로벌 모빌리티 웹사이트를 오픈했다. LG전자는 이 웹사이트가 시장과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LG전자는 웹사이트에 VS사업본부의 비전인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혁신 파트너’를 기반으로 고객과 투자자에게 도움이 되는 기업 정보, 첨단기술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보여줄 계획이다. 웹사이트는 차별화된 전장 부품과 서비스는 물론 LG전자가 구상하는 미래 모빌리티를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소개한다. 웹사이트에는 콕핏 일렉트로닉스, 커넥티비티, AVS, 퓨처 이노베이션 등 4가지 주요 메뉴가 있다. 콕핏 일렉트로닉스는 자동차용 디스플레이와 운전석 제어관리 솔루션을, 커넥티비티는 텔레매틱스와 차량용 무선충전 기술을 선보인다. AVS는 전·후방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퓨처 이노베이션은 디지털 콕핏 등 LG전자의 차세대 전장기술을 소개한다. 한편, LG전자는 고객의 문의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별도의 전용 메뉴를 연내 마련하는 등 고객 편의성과 접근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앞서 LG전자는 올해 초 링크드인에 VS사업본부 브랜드 페이지를 만들어 글로
[첨단 헬로티] 지브라 테크놀로지스는 지브라의 고객 및 파트너를 대상으로 EAI(Enterprise Asset Intelligence) 및 엔터프라이즈 운영의 디지털 변형을 가속화하기 위한 기본 빌딩 블록 플랫폼인 '사바나(Savanna)'를 발표했다. 지속적인 모빌리티와 IoT의 채택으로 인해 기업 운영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이러한 전례없는 증가하는 연결성은 프로세스 및 자산에 대한 방대한 양의 실행 가능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워크플로우를 변환하여 비즈니스 성과 및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지브라에 따르면, 사바나(Savanna)는 지브라, 파트너 및 고객에게 이 에지 데이터를 거의 실시간으로 사용하여 새로운 수준의 서비스, 생산성 및 수익성을 제공하는 통찰력과 작업을 동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사바나(Savanna)는 IoT 엔드 포인트 연결, 구성 관리, 데이터 전송, 데이터 저장, 분석 및 기계 학습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강화된 보안 장치 연결을 통해 사바나는 조직이 운영의 최일선에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여 적시에 적절한 사람들에게 올바른 데이터를 제공하고 최상의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