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상황 감지뿐 아니라 맥락과 의미 이해로 자연어 설명 가능해 인텔리빅스가 세계 최대 보안 전시회 중 하나인 ‘ISC West 2025’에서 세계 최초의 VLM(비전언어모델) 기반 생성형 AI 영상관제 시스템인 ‘Gen AMS’를 공개하며 주목을 받았다. 인텔리빅스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이번 전시회에서 영상보안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기술적 진보를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고 밝혔다. Gen AMS는 기존 CCTV 중심의 영상관제가 갖고 있던 인간의 피로와 오탐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이다. 영상 속 상황을 AI가 단순 감지하는 것을 넘어, 그 맥락과 의미를 자연어로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자동화 관제 시스템과 차별화한다. 실제 시연에서는 스마트폰 화면 속 불꽃을 AI가 '화재가 아님'으로 판단하고, 손을 머리 위로 올리는 동작을 '구조 요청'으로 실시간 인식하며 관람객의 박수와 호응을 이끌어냈다.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된 버전은 VLM을 기반으로 관제일지를 자동 생성하는 기능까지 갖춘 상용화 모델이다. 이처럼 영상 의미를 실시간으로 해석하고 문서화까지 가능한 시스템은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상용화된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인텔리빅스는 C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법무부는 최근 증가하는 전자감독 대상자의 효율적 관리와 재범 방지의 선제적 개입 역량을 높이기 위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전자감독시스템을 구축했다. 전자감독제도는 ’08년 성폭력범죄에 처음 시행된 후 ’09년 미성년자유괴범죄, ’10년 살인범죄, ’14년 강도범죄, ’20년 가석방되는 모든 사범으로 확대되고 전자보석제도까지 도입되어, 연중 집행사건이 ’08년 205건에서 ’21년 5월 7,373건으로 33배 이상 증가되었다. 한편 고위험 성범죄자 1:1전담보호관찰제 도입, 야간 미귀가 지도 등 늘어나는 업무에 비해 전담직원 인력의 부족한 상황은 계속되고 있어, 전자감독 업무의 효율적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인공지능․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첨단기술을 도입하였다. 법무부 벤처형조직 범죄예방데이터담당관실에서 올해 초 인공지능(AI)관제 및 인공지능(AI)보호관찰서비스, 빅데이터 분석플랫폼을 핵심으로 하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전자감독서비스를 구축하였다. AI관제는 경보별로 처리에 필요한 맞춤정보를 제공하고 경보의 상황 복원여부, 위험정도, 관제직원의 이전 처리결과 등을 분석하여 단순경보를 자동으로 처리해준다. 단순반복 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