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지난달,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 주관의 저전력 인터넷 통신기술 상호운용성시험 행사에서 국제표준화기구인 IETF 워킹그룹에서 개발 중인 'NFC 기반 인터넷 통신기술'에 대한 상호운용성 시험에 통과했다고 밝혔다. ETRI 김형준 표준연구센터장은 "이번 기술시험 성과 및 국제표준 개발은 향후 사물인터넷 응용 및 서비스 영역에서 저전력 분야로의 확장 뿐만 아니라 혁신적인 미래 시장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기회가 될 것이다"고 밝혔다. '근거리무선통신(NFC) 기반의 인터넷 통신 기술'에 대한 독자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 연구진은 지난해 3월, IETF에 관련 기술을 제안해 채택된 표준권고안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ETRI 최영환 박사 및 홍용근 지능형IoE네트워크연구실장이 에디터(Editor)를 맡아 올해 말, 국제표준으로 제정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ETRI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은, 그동안 출입통제, 정보수집, 결재, 교통 등의 분야에서 활용돼 온 NFC 기반의 비접촉식 근거리무선통신기술을 일반적인 인터넷통신에도 활용토록 만든 'NFC용 인터넷 적응 계층 프로토콜'기술이다. 현재 NFC는 낮
[사물인터넷] 글로벌 기술 표준화, 플랫폼 구축으로 미래 사물인터넷 시대 주도 1 - 국제 표준화 기구의 사물인터넷 기술 표준화 [사물인터넷] 글로벌 기술 표준화, 플랫폼 구축으로 미래 사물인터넷 시대 주도 2 - 산업체 주도 연합의 사물인터넷 기술 표준화 사물인터넷(IoT) 세상을 위해서는 각종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돼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디바이스 연결성을 지원하는 플랫폼 구축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 ITU, JTC 1 등의 국제 표준화 기구는 물론이고 3GPP, IETF, IEEE 등의 사실 표준화 기구들은 저마다 사물인터넷 표준화를 추진 중에 있다. 여기서는 국내외 사물인터넷 기술 표준화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앞으로의 기술 표준화 전망을 조명해본다. 21세기 정보통신 기술의 수많은 화두 중 으뜸은 단연 사물인터넷이다. 이 기술은 주변의 모든 사물과 사물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궁극적으로 인간의 삶을 보다 유익하고 편리하게 하는 디지털 인프라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지난해 5월에 개최된 서울 디지털 포럼의 기조 발표는 아시아 인터넷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전길남 교수가 맡았다. 모든 사물의 연결은 TCP/IP 기반의 인터넷이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