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세 번째 분기 누적 매출액 약 50억 원 기록해...외형 성장 달성 평가
반도체 분야 경기 회복에 힘입은 베어링 매출 증가가 성장 견인...전년 대비 48% 상승
연구개발(R&D) 및 설비 투자 확대로 영업 손실 폭은 일시적 확대
에스비비테크가 올해 3분기 별도 재무제표 기준 50억2700만 원의 누적 매출액을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9.2% 증가한 수치다.
사측은 이러한 배경에 대해 베어링 매출의 급성장을 꼽았다. 실제로 베어링 부문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48% 증가한 것이 확인됐다. 이는 회사의 베어링 부문 전방 산업인 반도체 분야 경기 회복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관계자는 이에 따라 생산 설비 가동률이 늘었고, 대만 반도체 회사를 대상으로 한 수출 증가가 성장을 이끌었다는 분석을 내놨다.
에스비비테크는 누적 기준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에 대한 지표 또한 발표했다. 각각 59억6179만 원과 61억9427만 원이다. 이러한 손실 상승세는 구동부(Actuator)·감속기(Reducer) 등 로봇 핵심 부품 분야에 사업을 확장하기 위한 전략에 따른 것이다.
회사는 이를 위해 연구개발(R&D) 시설 확대, 양산 대비 인력 확충에 따른 인건비 상승, 설비 투자 등에 투자하고 있기 때문이다. 에스비비테크 측은 미래 동력 확보를 위한 비용 지출이 확대된 점을 짚었다.
에스비비테크는 로봇 구동모듈 핵심 부품인 하모닉 감속기를 국내 최초로 개발 및 양산해 국산화에 성공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구동모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비전을 통해 최근 현대자동차그룹 로보틱스랩의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 ‘
최근에는 현대자동차그룹 로보틱스랩의 신개념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 ‘모베드(MobED)’ 안에 탑재되는 핵심 구동 기술 개발을 본격화했다. 플랫폼 내 핵심 부품인 ‘드라이브 앤 리프트(DnL)’ 모듈을 고도화하는 내용이다. 이 안에 들어가는 조향·편심 구동기를 현대자동차그룹과 함께 개발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글로벌 소형 모빌리티 시장에서도 존재감을 넓히고 있다.
다른 한편, 에스비비테크 관계자는 올해 4분기에 들어서면서 반도체 경기 회복세가 슈퍼 사이클로 돌아설 것을 전망했다. 이에 따라 자사 베어링 사업 부문을 중심으로 한 매출 증가세는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밖에 감속기 사업 부문 등에서 로봇 기업 대상 매출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에스비비테크는 내년을 액추에이터 기술 업체로 도약하는 원년으로 삼을 방침이다. 이를 위해 충남 천안시 입장면 소재 액추에이터 전용 공장을 구축하고, 감속기를 포함한 액추에이터 사업을 본격 확대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매년 급성장하는 로봇 산업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R&D 투자를 지속 확대하는 등 모터(Motor)·제어기(Controller)를 포함한 일체형 구동 모듈 기술 업체로 도약할 것”이라며 “여기에 감속기 매출 확대와 모빌리티용 액추에이터 양산을 본격화하는 내년을 도약 기반으로 간주할 계획”이라고 포부를 전했다. 그러면서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동시에 타진할 것을 공표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