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 장구형(Globoid) 웜기어 기술로 집중 관심받아 “지속 가능한 발전 지원해...유지보수 비용↓ 설비 수명↑” 이스턴기어가 ‘제58회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 현장에 출격해 장구형(Globoid) 웜기어 기술을 전파했다. CES 2025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가 매년 주관하는 글로벌 IT 박람회로, 올해는 4500개사가 참가해 혁신 솔루션을 강조했다. 이스턴기어는 이 자리에서 자체 설계 기반 웜기어를 통해 고정밀 제조 기술을 선보였다. 이스턴기어 소형 장구형 웜기어는 기존 점·선 접촉 방식의 기어 설계를 탈피한 솔루션이다. 면 접촉 설계를 채택해 접촉 효율성을 극대화한 점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설비 간 마찰로 인한 마모 최소화와 기존 대비 10% 이상 동력 전달 효율을 끌어올릴 수 있다. 특히 이 웜기어는 내구성이 강화됐고, 크기 또한 30% 줄어들었다. 이러한 설계를 통해 로봇·우주항공 등 산업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스턴기어는 맞춤화(Customization)가 가능한 대형 기어에 대한 원천기술도 보유했다. 이번 CES에서는 이를 반영한 감속기·웜기어 융합 기술이 관심받았다.
파주시 문산읍에 위치한 신도기어는 기어 설계 및 해석 분야의 기술을 바탕으로 십여 년간 기어 최적화 솔루션을 연구해 왔다. 중공업, 자동차, 항공기 및 초정밀 산업 분야에서 기어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발전시켜 왔으며 설계부터 초정밀 기어 생산이 가능한 첨단 설비 및 조립 라인을 갖추고 있다. 신도기어는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기어의 문제를 해결하는 기어 전용 패키지를 자체 개발했으며 설계에서 해석, 생산 전반에 이르는 토털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설계 및 가공상의 어려움 때문에 생산이 제한적이었던 장구형 웜기어를 생산하고 있으며, 그동안 웜기어가 갖고 있던 저효율, 저수명 등의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해 보다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고, 다양한 응용 분야로 진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웜기어란, 웜과 기어(웜휠)의 축이 90도로 교차하여 주로 10 : 1 이상의 큰 기어비가 필요할 때 사용되며, 일반 기어(스퍼, 헬리컬, 베벨 등)처럼 이빨 쌍끼리 맞닿아 회전하며 힘을 전달하는 것과 달리, 웜이 미끄러지며 회전해 기어를 구동하며 기어로는 웜을 돌릴 수 없다. 신도기어의 정밀 서보용 장구형 웜감속기인 S 시리즈는 제로 백래시(사용 내내 제로 백래시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