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퀴닉스(Equinix)가 트리나솔라(Trina Solar) 국제 시스템 사업부의 일본 지역 팀인 트리나솔라 재팬 에너지와 일본 내 첫 재생에너지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하고, 30MW 용량의 재생 전력을 확보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2028년부터 20년간 유지될 예정이다. 에퀴닉스는 이번 재생에너지 투자로 현지 시장에서 새로운 재생에너지원을 추가하는데 힘쓴다는 방침이다. 이러한 노력은 일본이 목표로 하는 광범위한 탈탄소화와 같은 맥락으로 일본의 에너지 전환에 직접적으로 기여한다. 이번 계약은 현지에서 공급되는 신재생에너지 용량을 늘려 일본 내 에퀴닉스의 신재생에너지 조달 전략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오가와 쿠니코 에퀴닉스 일본 대표는 “AI와 같은 혁신이 주도하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급증하면서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며 “에퀴닉스는 이러한 에너지 문제를 가능한 한 지속가능하게 해결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 최초의 PPA를 통해 고객은 에퀴닉스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데 소비되는 에너지가 재생에너지로 충당된다는 것을 인지하고 적극적인 탈탄소화 목표를 추구할 수 있다”며 “에퀴닉스는 새로운
트리나솔라(Trina Solar)가 오는 24일부터 26일까지 사흘간 대구 엑스코에서 열리는 ‘2024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에 참가한다. 트리나솔라는 이번 엑스포에서 태양광 모듈, 트래커, 에너지 스토리지 부문 등에서 글로벌 트랜드를 주도하는 최신 기술 및 제품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을 비롯한 세계 여러 국가에서 추진 중인 지속 가능한 에너지 이니셔티브에 있어 트리나솔라의 인사이트 및 방향성에 대해 제안하고 공유한다는 계획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 조사에 의하면 한국은 2030년까지 전력 소비의 2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으며 올해 재생에너지 용량을 58.5GW까지 늘리기 위해 노력 중이다. 또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에 따르면 태양광 에너지는 한국에서 가장 큰 재생 에너지원으로 올해 총 2만7046MW를 생산하며 작년 2만4078MW 대비 약 12%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특히, 태양광 에너지는 설비 안전성, 내구성, 경제성이 뛰어나며 산지를 비롯해 개발 난도가 높은 복잡한 지형에도 대규모 스케일로 빠른 설치가 가능해 한국에 특화된 재생 에너지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실제로 한국 태양광 에너지 기업인 솔라테크에서 트리나
태양광 솔루션 전문기업 트리나솔라가 한국 유틸리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트리나솔라는 오늘 11일 미디어브리핑을 열고 기자들을 만나 이같이 밝혔다. 앤드류 길훌리(Andrew Gilhooly) 트리나솔라 아태지역 유틸리티, 커머셜 및 인더스트리얼 솔루션 부문장은 “한국은 G20 국가 중 풍력, 태양광 발전량이 낮은 국가 중 하나이고, 특히 석탄, 석유, LNG, 원자력 발전이 전체 에너지 믹스의 77%를 차지하고 있다”며, “한국은 주요 에너지 수입국으로 석탄, 석유 등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은 2020년부터 2021년부터까지 1% 가량 밖에 늘어나지 않아, 겨우 9%에 미친다“며, “풍력과 태양광 비율이 0.8%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앤드류 부문장은 “그러나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증가하고 있지 않은 것은 아니”라며, “한국 지역은 재생에너지 용량 부문에서 아태(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5위를 차지하고 있고, 2022년도 말 21기가와트(GW)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앤드류 부문장은 한국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시장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동안 태양광 에너지가 많이 늘어나지 못했던 이유 중 하
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이하 한화큐셀)이 중국 태양광 제조사 트리나솔라(Trina Solar)와 태양광 셀 기술 특허를 둘러싼 법적 분쟁을 중단하는 데 합의하고 라이선스 및 특허 양도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한화큐셀은 트리나솔라의 특허를 양도받고, 트리나솔라는 한화큐셀의 특허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할 수 있게 된다. 한화큐셀의 해당 특허는 태양광 셀에 반사막을 형성해 빛이 셀 내부에서 한 번 더 반사되도록 만들어 발전 효율을 높이는 퍼크(PERC) 기술 특허다. 퍼크 셀은 현재 전 세계에 유통되고 있는 태양광 제품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품으로, 한화큐셀은 자체 개발한 퍼크 기술을 적용해 고효율, 고품질의 태양광 모듈을 양산하고 있다. 이번 계약으로 양 사는 독일과 중국에서 진행하던 해당 특허와 관련된 법적 분쟁과 행정 절차 일체를 중단한다. 한화큐셀은 지난해 12월 독일에서 트리나솔라를 상대로 특허침해소송을 제기해 판매금지 가처분신청 인용 결정을 받았다. 이에 트리나솔라는 1월 중국에서 한화큐셀을 상대로 특허침해소송을 제기해 행정 절차가 진행되고 있었다. 양 사는 해당 특허와 관련된 모든 조치를 취하하고 원활한 제품 공급에 나선다. 한편
트리나솔라(Trinasolar)의 트래커 제조사업을 맡고 있는 트리나트래커(TrinaTracker)가 삼성물산과 함께 카타르 최대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인 산업 도시 태양광 발전 사업 개발을 위해 875MW 규모 태양광 트래커 공급 계약을 지난 22일 체결했다. 이번 사업은 카타르 메사이드 지역과 라스라판 지역 총 두 곳에 각각 417MW 및 458MW급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두 곳 모두 2024년 말 완공될 예정으로 카타르에너지(QatarEnergy)가 소유한 산업단지와 에너지 관련 시설을 포함한 카타르 국가 전반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카타르의 태양광 발전 사업은 카타르 국영 석유 기업인 카타르에너지에서 개발하고, 삼성물산이 설계, 조달 및 시공을 수행하게 된다. 트리나트래커에서는 이번 사업을 위해 대형 양면 태양광 모듈의 에너지 성능을 최적화하도록 특수 설계된 트리나 밴가드(Trina Vangaurd) 2P 태양광 트래커 1만3849개를 투입할 계획이다. 이 대규모 프로젝트는 카타르의 에너지 자원 다각화와 지속가능한 혁신 첨단 재생에너지 솔루션 확대를 위한 중요한 이정표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메사이드와 라스라판의 태양광 발전소가 운행을
트리나솔라가 600W+ 시대로 접어든 태양광 업계의 새로운 트랜드와 이에 대한 트리나솔라의 전략적 포지셔닝 및 계획에 대해 공개했다. 현재 저탄소 발전은 전 세계적인 트랜드로 국제재생에너지기구(The 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는 2050년 탄소 배출량 감소를 통해 지구 온난화를 섭씨 1.5°C로 제한한다는 가정하에 태양광 PV 캐파(생산능력)는 14,000GW 이상 확대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태양광 에너지는 화석 연료에 대한 의존도와 발전설비를 운영하는데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계산한 값인 균등화발전비용(levelized cost of energy, 이하 LCOE)을 동시에 줄일 수 있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 블룸버그NEF에 의하면 태양광 LCOE는 지난 10년 동안 약 84%가량 줄었다. 트리나솔라는 시스템적인 관점에서 LCOE에 대해 깊이 있게 접근한 태양광 기업으로 다년간의 기술 개발과 경험을 통해 고출력, 고효율, 고신뢰성, 고에너지 수율 요소가 LCOE을 줄이는 데 필수적임을 입증했다. 이에 LCOE 지향 원칙에 부합하는 R&D 및 상업화를 촉진하며 태양광
폴리실리콘 210mm 웨이퍼N타입 모듈 등 첨단 기술 집약된 핵심 제품 생산 예정 트리나솔라(Trina Solar)가 차세대 태양광 기술로 꼽히고 있는 N-타입 PV 공장을 중국 칭하이성 시닝시에 설립하는 '뉴에너지 산업공단' 프로젝트에 착수했다고 26일 밝혔다. '뉴에너지 산업공단'은 고순도 폴리실리콘을 비롯해 210mm 및 N-타입 모듈에 이르기까지 첨단 PV 기술을 집약한 제조 라인이 들어서게 된다. 라인이 완공되면 매년 총 30만 톤의 산업용 실리콘, 15만 톤의 고순도 폴리실리콘, 35GW의 모노 실리콘, 10GW의 웨이퍼 슬라이스, 10GW의 셀, 10GW의 모듈, 15GW의 모듈 보조기가 생산될 예정이다. 프로젝트는 총 2단계로 건설이 진행된다. 먼저 2023년 말경 1단계 건설 완료 후 공장이 가동되면 총 10만 톤의 산업용 실리콘, 5만 톤의 고순도 폴리실리콘, 20GW의 모노 실리콘, 5GW의 웨이퍼 슬라이스, 5GW의 셀, 5GW의 모듈, 7.5GW의 모듈 보조기가 생산된다. 이어 2단계에서는 20만 톤의 산업용 실리콘, 10만 톤의 고순도 폴리실리콘, 15GW의 모노 실리콘, 5GW의 웨이퍼 슬라이스, 5GW의 셀, 5GW의 모듈,
트리나솔라가 태양광 모듈 누적 출하량 100GW를 달성했다고 3일 밝혔다. 트리나솔라는 총 100GW에 달하는 태양광 모듈을 전 세계 100개 이상의 국가로 출하했다. 총 1천350억kWh 규모의 청정에너지 생산에 기여했다. 트리나솔라는 지난 25년간 태양광 모듈을 통해 연간 약 1억3500만톤의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감소시켰을 뿐 아니라 석탄 소비량까지 약 5천454만톤 줄였다. 이는, 약 72억9천만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다. 트리나솔라는 글로벌 태양광 기업으로, 지난 25년 동안 실리콘 웨이퍼 지름을 125mm에서 210mm로 확대했고, 100W 미만이었던 모듈 출력은 690W로 효율을 높이는 등 태양광 기술 발전 초석을 마련했다. 전 세계적으로 청정에너지 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는 태양광 에너지를 포함한 신에너지가 주요 에너지원이자 전력 소비원이 될 것이며, 2050년까지 전 세계 태양광 설치 규모가 14,000GW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트리나솔라의 고부가가치인 ‘210mm(웨이퍼) 기술’이 적용된 모듈은 태양광밸류체인 사이클에서 성숙 단계에 이르렀으며 초고출력 모듈은 전 세계 시장에 진출해 상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트리나솔라의 차세대 버텍스 670W모듈이 적설량이 중국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입증했다. 트리나솔라는 자사의 버텍스 670W 모듈이 중국 동부 태양광 시험센터의 불균일 설하중 중국품질인증(CGC)을 통과했다고 밝혔다. 많은 눈이 내릴 경우, 모듈 표면 및 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은 균일하지 않다. 불균일 설하중 시험은 폭설 시 눈의 균일하지 않은 압력을 견딜 수 있는 태양광 모듈의 능력을 평가한다. 시험 성적에 따르면 트리나솔라의 5개 모듈 전체는 2.8m 적설량의 압력에 해당하는 최대 7000Pa의 설하중을 견뎌냈다. 이는 기존 불균일 설하중 기준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로 트리나솔라 버텍스 670W 모듈의 뛰어난 설하중 저항을 보여준다. 트리나솔라는 5개 모듈이 모두 불균일 설하중을 견뎌냈다는 사실은 제품의 품질이 일관적이며 우수함을 나타낸다고 강조했다. IEC 61215 및 IEC 62782 동적 및 정적 시험과 달리, IEC 62938: 2020 기반 불균일 설하중 시험은 태양광 모듈의 적설 하중 저항을 시뮬레이션하는 표준 시험으로, 여러 응용 상황에서의 위험을 관리한다. 표준 시험은 실제 상황을 가정한 것으로 태양광 모듈의 적설 하중 한
[헬로티=서재창 기자] 트리나솔라가 한국에너지공단으로부터 210mm 지름 태양광 전지 모듈 사용 인증을 최초로 획득했다. 향후 아시아태평양 지역 특히 한국에서의 행보를 주목해볼 만한 이유다. 이에 전자기술 6월호에서는 추준웅(Ku Jun Heong) 트리나솔라 아시아태평양 지역 영업이사와 인터뷰를 갖고, 질의를 통해 당사 비즈니스 동향과 태양광 산업 전망에 대해 들어봤다. ▲추준웅(Ku Jun Heong) 트리나솔라 아시아태평양 지역 선임 영업이사 지난해 트리나솔라에서 진행해온 사업 및 성과는? 지난 1997년에 설립된 트리나솔라는 태양광 발전 및 스마트 에너지 토탈 솔루션 업계의 글로벌 선두주자다. 2020년 6월, 트리나솔라는 상하이 증권거래소의 과학혁신보드(STAR Market)에 상장된 첫 번째 태양광 발전 업체가 되는 쾌거를 올렸다. 과학혁신보드는 신기술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를 위한 주식 시장이다. 2020년 2월에는 처음으로 최신형 버텍스 모듈을 선보인 뒤 버텍스 생산 라인에서 더욱 많은 제품을 생산했다. 버텍스 S 400W를 비롯해 버텍스 500W, 550W, 600W, 670W 제품이 출시됐고, 주거용, 상업용 및 대규모 태양광 발전
[첨단 헬로티] 트리나솔라(Trina Solar)가 3월 18일, 높은 출력에도 전압, 열 과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태양광 모듈 V 시리즈를 양산할 시범 라인을 발표했다. 트리나 솔라는 지난 2월 27일, V 시리즈를 글로벌 론칭한 후 양산할 수 있는 시범 라인까지 발표해 기대를 모았다. ▲ 500W+ V 시리즈 모듈은 변환 효율 21%, 출력 500W를 자랑한다. (사진 : 트리나솔라) 500W+ V 시리즈 모듈은 변환 효율 21%, 출력 500W를 자랑한다. 210mm 전지를 통합한 500W+ V 시리즈 모듈은 ‘Duomax V 양면 이중유리 모듈’과 ‘Tallmax V 백 시트 모듈’의 두 가지 버전으로 판매된다. 이들 모듈은 추적 솔루션을 포함해 기존 주류 광발전 시스템 설계에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트리나솔라의 다중 버스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이 모듈은 첨단 스리 피스 비파괴성 절단 및 고밀도 포장 기술을 통합하는 혁신 설계를 적용했다. 따라서 초고전력 모듈과 관련된 잠재적인 위험인 ▲미소 균열 ▲전압, 전류 및 열 과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Trina Solar 부책임자 겸 부사장 린 롱팡(Yi
[첨단 헬로티] 트리나 솔라(Trina Solar)는 지난해 전 세계에 출하한 PV 모듈이 10GW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PV InfoLink가 발표한 2019년 모듈 출하량 순위에서 Trina Solar는 상위 3위권에 들으면서, 해당 부문에서 세계 1위를 유지했다. ▲ Trina Solar가 지난해 전 세계에 출하한 PV 모듈이 10GW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사진 : Trina Solar) 2019년 Trina Solar는 다중 모선, 이중유리, 양면 및 기타 첨단 모듈 기술을 지속해서 홍보하는 한편, N형 단결정과 N형 Cast-Mono i-TOPCon 태양광 전지의 변환 효율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기술 이점 측면에서 PV 산업을 주도했다. 8월에는 업계 경향에 맞춰 210mm 실리콘 웨이퍼(210 모듈)를 설치하는 모듈 개발에 착수했다. Trina Solar는 수십 년 동안 구축한 연구개발(R&D)과 제조 경험을 바탕으로 대형 모듈을 위한 독특한 스리 피스 및 다중 모선 디자인을 도입했다. 2020년 초 Trina Solar 생산 라인에서 첫 번째 210 모듈 시제품이 생산됐는데, 이 제품은 대형 모듈의 출시 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