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고효율 전기차 개발 기대" 앞으로는 전기차에도 내연기관차처럼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이 표시된다. 전기차 에너지효율을 등급으로 매겨 공개하도록 하는 건 전세계에서 우리나라가 최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러한 내용의 '자동차의 에너지효율 및 등급표시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 고시안을 23일부터 다음달 16일까지 행정예고한다고 22일 밝혔다. 정부는 전기차 '전비'(내연기관차의 연비와 같은 개념)에 따라 1등급부터 5등급까지 에너지효율 등급 부여 기준을 마련하고, 자동차 제작사가 등급을 신고·표시하도록 의무화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전기차는 연비에 따른 '효율 등급'을 외부에 별도로 표시하는 내연기관차와 달리 전비와 1회 충전시 주행거리만 표시하고 있다. 정부는 세계 최초로 전기차 전비를 등급화해 표시·광고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차종별 에너지 효율을 쉽게 비교하게 한다는 계획이다. 전기차 전비가 1kWh(킬로와트시)당 5.9㎞ 이상이면 1등급, 5.1~5.8㎞면 2등급, 4.3~5.0㎞면 3등급, 3.5~4.2㎞면 4등급, 3.4㎞ 이하면 5등급이 부여되는 식이다. 이러한 등급 기준에 따르면 작년 말까지 인증된 전기차 중 1등급은 2.0%, 2등급은 16.9%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르노 조에가 전 세계에서 판매 중인 주요 전기차 중 실제 전비가 가장 좋은 차로 꼽혔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자동차 전문 매체 모터원과 인사이드EV가 글로벌 전기차 모델 18개를 대상으로 전비 테스트를 한 결과 르노 조에가 1위를 차지했다. 테스트는 최고 온도 31도의 하계 시즌에 이탈리아 로마에서 포를리까지 약 360㎞의 거리를 재충전 없이 주행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각 차량의 100㎞당 소모 전력을 측정해 순위를 매겼다. 순위가 높을수록 1㎾의 전력으로 더 많은 거리를 갈 수 있다는 의미다. 르노 조에는 100㎞당 11.0㎾의 전력을 소모, 테스트 참여 차량 중 1㎾로 9㎞ 이상 주행이 가능한 유일한 전기차로 나타났다. 르노 조에는 2012년 첫 출시 이후 작년까지 총 27만9331대가 판매된 유럽 전기차 시장 누적 판매 1위 모델이다. 이번 테스트에서도 르노 조에는 급속 충전시 35∼45㎾의 충전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BMW i3 REx였다. BMW i3 REx는 100km당 11.4kW의 전력을 소모하며 조에와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1㎾당 주행 가능 거리는 8.77㎞였다. 테슬라 모델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