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플레어가 AI 에이전트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는 여러 신규 기능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를 통해 클라우드플레어는 업계 최초의 원격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odel Context Protocol, 이하 MCP) 서버 ‘워크플로우(Workflows)’의 정식 출시, ‘듀러블 오브젝트(Durable Objects)’의 무료 플랜을 제공함으로써 개발자들이 단 AI 에이전트를 쉽게 대규모로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I 에이전트는 자율적으로 행동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며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AI 기반 시스템으로, AI 기술의 미래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AI 에이전트는 비약적인 생산성 향상을 견인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지만 실제로 투자 수익을 제공하는 에이전트를 구축하는데 많은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효과적인 AI 에이전트 개발을 위해서는 ▲추론을 위한 AI 모델 ▲실행을 위한 워크플로우 ▲다양한 툴과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한 API라는 세 가지 핵심 구성 요소가 필요하다. 이를 확장 가능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공하는 플랫폼이 필수적인 이유다. 매튜 프린스 클라우드플레어 CEO 겸 공동 창업자는 “클라우드플레어는 AI 에이전트
고품질 데이터를 수집, 데이터 파이프라인 자동화 등 추진 스트라드비젼이 양산에 돌입하는 'SVNet 3D 인식 네트워크'의 알고리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 워크플로우’를 성공적으로 구축, CES 2025에서 고객에게 공개했다고 밝혔다. 스트라드비젼이 자체 구축한 데이터 관리 워크플로우는 데이터 수집부터 가공, 라벨링, 비용 정산까지 전 과정을 클라우드 인프라로 전환, 자동화 및 최적화 과정을 거쳐 데이터 품질 향상, 운영 효율 증대,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자율주행 및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기술 개발에 있어 핵심인 3D 데이터 처리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스트라드비젼은 기존의 2D 비전 중심 데이터를 LiDAR 및 다중 카메라 데이터를 포함한 3D 데이터로 확대했다. 이로 인해 방대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자동화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됐고, 데이터 라벨링 품질 개선과 비용 절감을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이 요구됐다. 이에 스트라드비젼은 데이터 관리 워크플로우를 구축해 STRADVISION Unified Recording Framework(SURF)를 통한 고품질 데이터를 수집, 데이터 파이프라인 자동화, 고사양 라벨링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대표 서범석)은 글로벌 생명공학기업 로슈(Roche)의 진단사업부인 로슈진단(Roche Diagnostics)의 '네비파이 디지털 병리(Navify Digital Pathology, 이하 네비파이)' 플랫폼에 AI 병리분석 솔루션 '루닛 스코프 PD-L1'을 통합한다고 밝혔다. 로슈가 디지털 병리분석 협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루닛의 AI 솔루션을 도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네비파이는 병리학자의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한 종합 플랫폼으로, 조직 슬라이드 디지털화부터 AI 기반 분석까지 병리학 전반의 워크플로우(Workflow)를 지원하는 제품이다. 로슈진단은 이번 통합을 통해 암 연구를 위한 바이오마커 검사를 강화하고, 정밀 의학에 따른 환자 치료의 개선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에 대해 루닛은 루닛 스코프 PD-L1을 네비파이에 통합함으로써 암 면역 치료에 중요한 바이오마커 발현도의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평가 분석 등 중요한 임상 정보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 이번 통합에 따라 루닛 AI 솔루션은 로슈진단의 광범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미국을 시작으로 향후 유럽, 한국, 일본 등으로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이를
전 산업 영역에 걸쳐 디지털을 기반을 한 기술혁신은 그 속도가 점차 더 빨라지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제조 분야는 디지털 기술에 따른 변화로 산업 환경 자체가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국내외 제조 기업들은 클라우드 및 제조 전문 솔루션을 잇따라 도입하고 있다. 이처럼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제조 기업들의 관심의 화두에 선 클라우드는 시스템을 유연하게 구성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제조 전문 솔루션은 다양한 제조 제품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설계 효율화를 제공한다. 이러한 장점을 모두 갖춘 솔루션으로 주목받는 것이 바로 Autodesk의 올인원 제조솔루션인 Fusion 산업 클라우드다. Fusion 산업 클라우드는 CAD, CAM, CAE, PCB, 데이터 관리(PLM, PDM), MES 등 다양한 요소를 하나의 통일된 환경으로 통합하는 제조솔루션으로 고급 자동화, AI 기능 및 워크플로우 간소화를 제공해 기능, 데이터, 인력 및 프로세스를 연결한다. Autodesk는 7월을 시작으로 매월 1회씩 총 3차례 연속 기획 웨비나를 개최한다. 그 시작이 될 첫 번째 웨비나는 Fusion이 제공하는 장점들에 소개하고 모델링 부분에서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
전 산업 영역에 걸쳐 디지털을 기반을 한 기술혁신은 그 속도가 점차 더 빨라지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제조 분야는 디지털 기술에 따른 변화로 산업 환경 자체가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국내외 제조 기업들은 클라우드 및 제조 전문 솔루션을 잇따라 도입하고 있다. 이처럼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제조 기업들의 관심의 화두에 선 클라우드는 시스템을 유연하게 구성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제조 전문 솔루션은 다양한 제조 제품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설계 효율화를 제공한다. 이러한 장점을 모두 갖춘 솔루션으로 주목받는 것이 바로 Autodesk의 올인원 제조솔루션인 Fusion 산업 클라우드다. Fusion 산업 클라우드는 CAD, CAM, CAE, PCB, 데이터 관리(PLM, PDM), MES 등 다양한 요소를 하나의 통일된 환경으로 통합하는 제조솔루션으로 고급 자동화, AI 기능 및 워크플로우 간소화를 제공해 기능, 데이터, 인력 및 프로세스를 연결한다. Autodesk는 7월을 시작으로 매월 1회씩 총 3차례 연속 기획 웨비나를 개최한다. 그 시작이 될 첫 번째 웨비나는 Fusion이 제공하는 장점들에 소개하고 모델링 부분에서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
어바이어 플랫폼서 ‘줌 워크플레이스’ 지원 “양사 협력 통해 ‘지연 없는 혁신’ 협업 경험 실현 가능하게 돼” 줌과 어바이어가 커뮤니케이션 및 워크플로우 관리 간소화를 통한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해 손잡았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어바이어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 제품군에 줌의 인공지능(AI) 기반 협업 플랫폼 ‘줌 워크플레이스’를 통합하기로 했다. 이로써 어바이어 프라이빗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 고객은 어바이어 플랫폼에서 줌의 워크플레이스 솔루션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알란 마사렉(Alan Masarek) 어바이어 CEO는 “줌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고객에게 약속한 ‘지연 없는 혁신(Innovation without Disruption)’ 실현이 가능하게 됐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어바이어 아우라, 어바이어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등 어바이어 플랫폼 사용자는 기존에 구축한 사용자 설정, 사용자 지정, 워크플로우, 인프라 투자 등 요소를 기반으로 줌 워크플레이스를 활용한다. 여기에 줌 AI 컴패니언, 줌 팀챗, 줌 스케줄러, 줌 화이트보드, 줌 스페이스 등 줌의 각종 솔루션도 이용 가능하다. 에릭 위안(Eric Yuan) 줌 창업자 겸 CEO는 “이
요꼬가와는 생명과학 및 화학 분야의 연구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OpreX Connected Intelligence 라인업의 새로운 플랫폼 ‘OpreX™ Informatics Manager’를 개발했다. OpreX Informatics Manager는 문서, 프로젝트, 기술 및 일정 관리를 위한 기능을 통해 연구 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실험실 자동화를 앞당긴다. 개발 배경 연구 개발 작업을 할 때는 모든 종류의 실험과 검증 활동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문서화해야 한다. 과거에는 실험실에서 이 모든 데이터를 종이에 기록했지만, 이제는 생산 및 품질 관리와 같은 업무에 종사하는 직원이 보다 쉽게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이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유지하는 것이 선호되고 있다. 이런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기존의 실험실의 정보 시스템은 실험실 정보 관리 시스템 (Labora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LIMS), 전자연구노트(Electronic laboratory notebooks /ELN), 생산관리시스템(MES)에 연결해야만 했다. 요꼬가와는 다양한 산업군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통합업체로서 획득한
2023년도 IDC 마켓스페이프 벤더 평가에서 '러기드 모바일 디바이스' 부문 리더 선정 지브라 테크놀로지스가 ‘IDC 마켓스케이프: 전 세계 러기드 모바일 디바이스 2023년도 벤더 평가(IDC MarketScape)에서 리더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해당 보고서는 “지브라 테크놀로지스는 엔터프라이즈 사용 사례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러기드 디바이스와 폼 팩터를 가장 광범위하게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이 보고서에서는 "지브라 테크놀로지스는 다양한 엔터프라이즈 지원 기능 및 서비스 외에도 자체 개발한 종합 솔루션 에코시스템을 제공한다. 리테일, 물류창고, 제조, 헬스케어, 운송 및 물류, 정부 및 현장 작업 등 다양한 사용 사례를 처리하는 러기드 모바일 디바이스를 구축하려는 기업 조직은 지브라 테크놀로지스를 공급업체로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덧붙여 "지브라의 모바일 하드웨어 제품의 핵심은 대용량 스캔 및 자산 관리 모바일 사용 사례에 적합하다. 지브라의 디바이스 포트폴리오는 기능별로 나뉘어져 있으며, 다양한 엔터프라이즈 사용 사례를 충족시킬 수 있을 만큼 다양하다”고 리더 선정 이유에 대해 밝혔다. 러기드 디바이스 제조업체 중에서 지브라 테크놀로지스는
지멘스 워크플로우 소프트웨어와 SPIL IC 패키징 기술 협력 지멘스 패키지 플래닝 및 팬아웃 솔루션과 SPIL 팬아웃웨이퍼레벨패키지(FOWLP)의 기술적 협력이 새로운 반도체 조립 공정을 탄생시켰다. 산업 발전에 따른 기술 고도화 요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지금, 반도체 산업에서도 소형화·경량화·효율화 바람이 불고 있다. 이에 지멘스와 SPIL이 기술 협력을 통해 IC 패키지 어셈블리 플래닝 최신화 및 3D LVS(Layout versus Schematic) 어셈블리 워크플로우 개발 및 상용화 준비를 마쳤다. A.J. 인코르바이아(A.J. Incorvaia) 지멘스 EBS(Electronic Board Systems) 부문 부사장은 “지멘스는 SPIL과 협력해 SPIL 첨단 패키징 기술에 적용될 워크플로우 및 기술을 제공하게 됐다”며 “SPIL 고객이 복잡한 설계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첨단 워크플로우를 제공할 준비를 갖추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번에 양사가 협력해 개발한 워크플로우에는 지멘스 Xpedition Substrate Integrator·Calibre 3DSTACK 등 소프트웨어와 SPIL 팬아웃웨어퍼레벨패키지(FOWLP) 등 기술이 활용됐다. 새
FORTINET ACCELERATE 2023 KOREA 내 기자간담회 개최 보안 트렌드 분석·보안 분야 솔루션 제시 코로나19 팬데믹은 기업 보안 측면에서 커다란 변혁의 계기를 만들었다. 그 중심에는 시간·공간에 제약을 두지 않는 근무 형태인 하이브리드 워크가 있다. 하이브리드 워크는 비즈니스 미래로 평가받고 있어, 기업은 하나 둘 해당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포티넷이 이달 23일 FORTINET ACCELERATE 2023 KOREA를 통해 보안 운영 측면에서 보안 트렌드를 분석하고, 해당 배경에서의 솔루션을 제시했다. 포티넷과 IDC가 아태지역 9개 국가 사이버 보안 리더를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국내 응답자 74%가 하이브리드 및 완전 원격 근무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 44%는 절반 이상의 직원이 하이브리드 워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포티넷은 해당 트렌드가 보안 침해 위험성과 복잡성을 증대시켜 보안 강화 방안이 강구돼야 하며, 이는 각 기업 IT 보안팀에 업무 부담을 가중시킬 것이라 우려했다. 기업 보안 측면에서 업무 시 미관리 상태의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상황을 꼬집은 것으로 보인다. 미관리 디바이스는
오정훈 매니저 “TeSys Island는 디지털화를 염두해 개발한 솔루션“ 강조 모터는 산업 내 설비 운용 시 필수로 활용되는 ‘산업의 심장’이다. 오정훈 슈나이더 일렉트릭 사업부 오퍼 마케팅 매니저는 전 세계 산업용 모터 개수를 약 3억 개로 추산하면서, 산업 설비 모터에 활용되는 모터 관리 시스템을 강조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테시스 아일랜드(TeSys Island)는 모터 통합 관리 솔루션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이달 16일 서울 마곡동 소재 사무실에서 모터 관리 솔루션 테시스 아일랜드를 선보였다. 이 자리에 오정훈 매니저와 도현태 매니저가 참여해, 테시스 아일랜드 제품 소개 발표 및 제품 시연 등을 진행했다. 오 매니저는 ”최근 설비 모터 시장에서 스마트 모터 관리 솔루션이 뜨거운 감자“라며 ”스마트 모터 관리 솔루션은 통신 기반으로, 작업자가 모터 데이터를 손쉽게 취득해 모터를 관리하는 기술“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최근 산업은 수요 증가와 노동력 부족 이슈가 맞물려 설비 운용 효율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으며, 모터 관리 시스템을 활용하는 현장이 70%에 육박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해당 배경에서 테시스 아일랜드가 설비 운용 및 공정 효율화 달성에
아시아 최대의 자동화 전시회이자, 국내 최고의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전시회인 ‘오토메이션월드 2023(AW 2023)’ 전시회가 지난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코엑스 A, B, C, D홀에서 개최했습니다.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건 이번 전시회는 스마트공장 엑스포(Smart Factory Expo),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로 구성했습니다. 해당 영상은 2월 24일(금), 2월 28일(화), 3월 3일(금) ①정책을 담다, ②신제품신기술을 담다 라는 주제로 총 3차례에 걸쳐 진행된 붐업 웨비나 내용입니다. 영상에서는 정책 및 산업 동향과 지난 전시회에서 주목했던 제품 및 동향을 다룹니다. Session 1 주제 : 영상 이상 감지(Video Anomaly Detection) 기반 공정 모니터링 솔루션 발표 : 김승현 R&D Lead _세이지리서치 Session 2 주제 : 비정형 불량 검출에 강한 오토 딥러닝 비전 검사 소프트웨어 발표 : 전정수 마케팅 팀장 _뉴로클 Session 3 주제 : 자율주행 로봇 고카트(GoCar
아시아 최대의 자동화 전시회이자, 국내 최고의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전시회인 ‘오토메이션월드 2023(AW 2023)’ 전시회가 지난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코엑스 A, B, C, D홀에서 개최했습니다.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건 이번 전시회는 스마트공장 엑스포(Smart Factory Expo),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로 구성했습니다. 해당 영상은 2월 24일(금), 2월 28일(화), 3월 3일(금) ①정책을 담다, ②신제품신기술을 담다 라는 주제로 총 3차례에 걸쳐 진행된 붐업 웨비나 내용입니다. 영상에서는 정책 및 산업 동향과 지난 전시회에서 주목했던 제품 및 동향을 다룹니다. Session 1 주제 : 프로세스 마이닝을 통한 혁신적인 자동화 솔루션 운영 발표 : 박성훈 대표 _DK G&C Session 2 주제 : AI를 활용한 제조 혁신 사례 발표 : 허영신 CBO _마키나락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산업디지털전환 해법은 무엇인가?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코로나19 팬데믹 등 환경 변화는 디지털 경제 활동의 빠른 확산을 가져왔으며, 산업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게임 체인저로서 글로벌 산업 경쟁을 주도할 것이며, 실제로 글로벌 선도 기업들은 데이터, AI 기반 디지털 전환을 통해 한 차원 높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 정부도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을 근간으로 △산업 데이터 공정한 거래 △산업내 또는 산업 간의 공유를 통한 활성화 효과, 그리고 △규제 개선 등 체계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중견, 중소기업의 현실을 보면 상황은 녹록치 않는 것 같습니다. 디지털 전환 역량이 여전히 미흡하고 디지털화 전략도 부재합니다.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 앞으로 우리는 어떤 전략과 정책이 필요한지, 전문가 세 분을 모시고 그 해법을 들어 봅니다. * 발표자 소개 권봉현 COO ( LS일렉트릭 자동화CIC ) 김태환 상근부회장 ( 사단법인 한국산업지능화협회 ) 박한구 前 단장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아시아 최대의 자동화 전시회이자, 국내 최고의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전시회인 ‘오토메이션월드 2023(AW 2023)’ 전시회가 지난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코엑스 A, B, C, D홀에서 개최했습니다.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건 이번 전시회는 스마트공장 엑스포(Smart Factory Expo),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로 구성했습니다. 해당 영상은 2월 24일(금), 2월 28일(화), 3월 3일(금) ①정책을 담다, ②신제품신기술을 담다 라는 주제로 총 3차례에 걸쳐 진행된 붐업 웨비나 내용입니다. 영상에서는 정책 및 산업 동향과 지난 전시회에서 주목했던 제품 및 동향을 다룹니다. Session 1 주제 : 초 연결 시대의 산업현장에서의 HW와 SW 통합 솔루션 구성 발표 : 최수혁 상무 _어드밴텍 Session 2 주제 : 비접촉/비파괴 초분광이미징 실시간 품질관리솔루션 발표 : 김지현 과장 _비케이인스트루먼트 Session 3 주제 : 인공지능을 이용한 검사 설비의 필요성과 산업별 인공지능 검사 설비 소개 발표 : 최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