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9일 ‘드론 기술 협력 파트너 세미나’ 연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에너자이·이와이엘 등 핵심 기술 파트너 대거 참여 “산·학 협력 기반 드론 산업 생태계 확장 모색” 프리뉴가 오는 8월 29일 무인항공기(드론) 산업의 기술 교류와 협력 강화를 위한 ‘드론 기술 협력 파트너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드론계 산학연 주요 관계자가 한데 모여, 미래 드론 기술 발전에 대한 로드맵을 공유하는 플랫폼이 될 예정이다. 세미나에는 국내 주요 드론 기술 기업과 연구기관 관계자가 연사로 참여해, 드론 산업의 혁신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를 펼친다. 이 가운데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은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용 글로벌 표준 기술 규격 ‘oneM2M’ 기반 방법론을 제안할 예정이다. 이때 해당 기관의 IoT 플랫폼 ‘모비우스(Mobius)’ 활용 및 응용 사례를 발표한다. 이와 함께, 드론 통합 관제 및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 고도화를 위한 프리뉴와의 협력 방안을 제시한다. 아울러 에지 AI(Edge AI) 기술 업체 에너자이도 드론 관련 기술을 공개한다. 드론에 최적화된 에지 AI 컴퓨팅(Edge AI Computing) 기술을
에너자이 정현우 CSO 인터뷰 빅테크 중심으로 AI 기술이 폭발적으로 진화하는 지금, 소프트웨어 최적화와 하드웨어 제약을 모두 고려한 AI 추론이 기술 경쟁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에너자이는 AI 추론 성능을 극대화하는 자체 엔진 ‘옵티미엄(Optimium)’으로 AI 기술의 실용성과 확장 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하며 주목받고 있다. 학습보다 추론이 중심이 되는 시대, 에너자이의 기술은 주요 반도체 팹리스·IP 기업과의 협업을 기반으로 빠르게 확장 중이다. 손 안에 AI, 최적화와 양자화 주목하다 AI 기술은 온디바이스 환경에서 성능을 구현하는 추론 영역을 주목한다. AI 추론은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처리해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이며, 추론의 속도와 효율은 제품 사용성과 직결된다. 특히 엣지 환경이나 온디바이스 구조에서는 고사양 GPU 없이 AI 기능을 구동해야 하기에 경량화와 최적화 기술이 필수적이다. 에너자이는 바로 이 지점에 주목해 옵티미엄을 중심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 최적화 전략을 내세웠다. 에너자이 정현우 CSO는 “AI 기술은 이제 연구실 밖으로 나왔다. 진짜 승부는 ‘현실 환경에서 얼마나 빠르고 가볍게 AI를 실행하는가’에 달렸
Optimium, 기술력 인정받아 ‘최우수 엣지 AI 개발 플랫폼’상 수상 에너자이가 미국 산타클라라에서 열린 ‘2025 임베디드 비전 서밋(Embedded Vision Summit)’에 참가해 차세대 AI 추론 최적화 엔진 ‘Optimium’을 선보였다. 이번 행사에서 에너자이는 ‘최우수 엣지 AI 개발 플랫폼’ 부문 ‘2025 올해의 제품상(The Product of the Year)’을 수상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임베디드 비전 서밋’은 컴퓨터 비전 및 엣지 AI 분야를 선도하는 글로벌 컨퍼런스로, 컴퓨터 비전과 인공지능 기술의 실제 적용 사례와 혁신 기술을 공유하는 자리다. 주요 반도체 및 시스템 온 칩(SoC) 업체를 비롯해 다양한 AI 기술 기업들이 참가해 산업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에너자이는 ‘모든 이들이 모든 사물을 통해 최고의 AI를 경험할 수 있도록’이라는 비전을 바탕으로 AI 기술 혁신에 주력해 왔다. 이번에 공개한 Optimium은 AI 모델의 정확도를 유지하면서도 추론 속도를 크게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Optimium은 엣지 AI와 비전 얼라이언스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아 ‘최우수 엣지 AI 개발 플랫폼’ 상을
에너자이가 3월 29일부터 31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보안 전문 전시회 ‘ISC West 2023’에 참가해 전시 부스에서 딥러닝 기반 Neural ISP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ISC West는 세계 3대 물리 보안 전시회 가운데 하나로 600곳이 넘는 업체가 참여 비디오 감시, 물체 탐지, 출입 통제 등을 수행하는 영상 보안기기 등을 선보인다. 에너자이는 고성능 AI 모델을 하드웨어 리소스가 제약된 에지 디바이스에서도 빠르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에지 AI 솔루션 회사로, 이번 전시회에서 딥러닝 기반 Neural ISP 솔루션을 주력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에너자이가 개발한 딥러닝 기반 Neural ISP 솔루션은 저조도, 악천후 등 가혹한 환경에서 디지털 이미징 시스템 내 보정 및 영상 처리 등 중추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이하 ISP)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를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해결하려는 제품이다. 이는 목적에 따라 크게 ‘For Viewing’과 ‘For Recognition’으로 구분된다. ‘For Viewing’은 취득되는 이미지 가시성 향상을 목표로 하며, CCTV와 블랙박스를 비롯한 다양한 에지
헬로티 김진희 기자 | SK어스온이 국내 중소기업과 손잡고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에 나선다. SK어스온과 AI 솔루션 개발업체인 에너자이는 석유개발 및 이산화탄소 포집·저장(이하 CCS) 사업 분야에서의 AI 기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SK어스온이 우수한 AI 기술을 갖추는 동시에 중소기업과 상생해 국내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SK어스온은 올 9월부터 석유개발·CCS 사업 관련 기술이나 AI 기술을 보유하고, SK어스온과의 시너지 창출이 기대되는 국내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협력 관계 구축을 모색해왔다. SK어스온과 에너자이는 이번 협약에 따라 ▲각 사가 보유한 석유개발·AI/DT 기술을 교류하고 ▲AI/DT 기술의 공동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검토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계획이다. 에너자이는 2019년 설립한 신생 기업으로, ‘엣지(Edge) AI 기술’을 독자 개발해 보유하고 있다. 이 기술은 별도 서버를 통한 대량의 데이터 전송 및 처리 과정 없이 석유시추 장비와 같은 다양한 디바이스 자체에서 실시간으로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문에 기존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라닉스와 에너자이는 사업 확대를 위해 각 사가 보유한 기술로 응용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12월 15일 라닉스 강남 본사에서 라닉스 제품에 에너자이의 딥러닝 경량화 모델을 탑재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MOU를 체결하고, 세부 협력 방안을 마련해가는 데 합의했다. 에너자이는 에너지 자원 산업을 위한 AI 솔루션 제공 업체로 시작해 업계 최대 규모의 학회·정부 및 주요 기업에서 기술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엣지에서 AI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저전력의 솔루션 탑재가 필수다. 에너자이만의 차별화한 경량화 기술은 고성능을 유지하면서 연산 능력, 지연 기간, 전력 소모, 보안, 운영 비용 절감 등의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 양사는 라닉스 제품에 에너자이의 경량화 모델을 탑재해 상용하는 솔루션을 공동으로 개발해 국내외 시장에 공동 대응함으로써 상호 윈윈의 긍정적 사업화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라닉스 최승욱 대표는 “이번 에너자이와 맺은 업무 협약을 통해 라닉스의 기술이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앞으로 꾸준히 기술 교류와 실증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술력 발전과 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