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블럭스(u-blox)는 전 대역(all-band) 지원 GNSS 모듈 ‘ZED-X20P’를 출시한다고 19일 밝혔다. 센티미터 수준의 전 세계 위치추적 정밀도를 매스마켓에 제공하도록 설계된 이 제품은 기존 전 대역 지원 솔루션 대비 총소유비용을 최대 90%까지 줄여준다. ZED-X20P는 유블럭스가 GNSS 솔루션 분야에서 오랫동안 쌓아온 전문성을 통해 기술적, 비용적 장벽을 허문 제품으로, 보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센티미터 수준의 글로벌 커버리지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콤팩트하고 에너지 효율이 뛰어난 ZED-X20P 모듈의 주요 목표 시장은 스마트 건설, 측량, 정밀 농업, 철도, 해양, 광업 및 변형 모니터링 등을 포함하는 산업 분야다. 이 밖에 다른 잠재적 활용 사례에는 무인 항공기(UAV), 지상 로보틱스, 배달 로봇, 스마트 시티 및 가상 현실 등이 포함된다. 유블럭스 ZED-X20P는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활용을 위해 설계됐다. 이 제품은 4대 글로벌 GNSS 위성을 비롯해 SBAS, QZSS 및 NavIC 위성으로부터 L1, L2, L5 및 L6 대역의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ZED-X20P는 추가적인 하드웨어 없이 L-밴드를
베트남 스마트 시티·FA 분야 육성 및 로봇분야 ODA 상호 협력키로 한국로봇산업협회는 13일 서울 용산구 소재 협회 대회의실에서 베트남 호치민시 자동화 협회(HAuA)와 양 기관 로봇산업 분야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정보 및 인적 교류 확대 ▲전시회 및 세미나 분야 공동 협력 ▲기술 및 인재 개발 협력 ▲로봇 분야 ODA(공적개발원조) 협력 ▲스마트 시티 및 FA(공장 자동화) 분야 협력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김진오 회장은 “이번 협약식 체결을 통해 양 기관간 인적, 기술 교류를 강화해 우리 회원사의 베트남 시장 진출을 지원하겠다”며 “이를 통해 앞으로 양국 로봇산업 간 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CES 2025서 엔비디아와 비교 테스트로 AI 반도체 경쟁력 입증해 딥엑스가 글로벌 고객을 대상으로 샘플 칩을 출시한 이후 지속적인 평가 및 검증을 거쳐 본격적인 양산 칩 공급에 나선다.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마케팅을 강화하며 비즈니스 확장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딥엑스는 CES 2025에서 CTA(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로부터 ‘꼭 봐야 할 기업’으로 선정되며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았다. 이번 행사에서 약 1만6000여 명의 참관객이 부스를 방문했으며, 100건 이상의 양산 칩 샘플 요청이 접수돼 비즈니스 확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딥엑스는 스마트 시티, 스마트 팩토리, 로봇 등 다양한 엣지 디바이스부터 산업용 장비, 엣지 서버 등 실제 적용 사례를 공개하며 글로벌 기업들과 협업을 진행했다. 미국, 대만, 일본, 유럽 등 주요 고객 및 파트너사와의 데모 시연과 현장 상담을 통해 기술력을 알렸으며, 국내 대기업, 정부 기관장, 투자기관 등도 부스를 방문해 딥엑스의 기술을 직접 확인했다. 이번 전시에서 딥엑스는 현대자동차 로보틱스랩의 로봇용 AI 알고리즘, 대만 인벤텍의 산업용 AI 알고리즘, 포스코DX의 공장 및 물류
PLM·MDM 컨설팅 역량에 주목해...“제조 라이프사이클 통합 관리 가능할 것” 다쏘시스템이 피앤피어드바이저리와 제품수명주기관리(PLM)·기준정보관리체계(MDM) 컨설팅 관련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양사는 앞으로 자동차·방산·조선·전기전자 등 제조업 분야 기술 혁신을 노린다. 다쏘시스템은 피앤피어드바이저리의 PLM·MDM 컨설팅 역량을 자사 솔루션과 융합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기반 버추얼 트윈 제품수명관리, 모델 기반 시스템 엔지니어링, 스마트 제조, 스마트 시티 등 솔루션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양사는 그동안 연구개발(R&D), 제품 데이터 관리 등 분야에서 협력해왔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디지털 전환(DX)을 도모하는 고객사를 폭넓게 지원하게 됐다. 정운성 다쏘시스템코리아 대표이사는 “제품 개발, 검증, 생산, 마케팅 등 제조 전주기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이 중요한 시대”라며 “피앤피어드바이저리의 컨설팅 역량과 자사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결합해 제조 혁신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유영진 피앤피어드바이저리 CEO는 “자사 컨설팅 전문성을 바탕으로, 모델 기반 시스템 엔지니어링 체계를 확대하는 데 크게
버넥트는 2월 10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LEAP 2025 행사에서 네이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과 함께 사우디 디지털 생태계 확산을 위한 다자간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버넥트는 이번 협약을 통해 AI·XR 솔루션을 기반으로 사우디아라비아의 디지털 전환 가능성을 모색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디지털 트윈, 스마트 시티 등 사우디 산업 전반에서 디지털 혁신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며, 현지 기업 및 기관과의 협력 기회를 확대할 예정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스마트 시티, 인프라 디지털화, 산업 자동화 등 디지털 혁신이 빠르게 진행되는 시장이다. 버넥트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네이버와 협력하여 사우디 산업의 디지털화 과정에서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모색해 나갈 예정이다. 하태진 버넥트 대표는 “사우디아라비아는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시장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의 기회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네이버 및 여러 파트너들과 함께 협력 가능성을 적극 검토하고, 사우디 시장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버넥트는 앞으로도 사우디 및 중동 시장에서의 사업 기회를
에이수스 코리아는 엔비디아 젯슨 오린(NVIDIA Jetson Ori) 플랫폼으로 구동되는 에이수스 IoT 엣지 AI 컴퓨터가 새로운 슈퍼(Super) 모드를 지원, 업그레이드됐다고 21일 밝혔다. 슈퍼 모드를 통해 최대 1.7배 향상된 AI TOPS을 제공해 LLM(대규모 언어 모델), VLM(시각 언어 모델), ViT(비전 변환기)를 포함한 광범위한 AI 모델을 지원한다. 엔비디아 젯슨 오린을 통해 Hugging Face Transformers, Ollama, Ilama.cpp, vLLM, MLC, NVIDIA TensorRT-LLM 등 다양한 머신 러닝 프레임 워크를 지원해 엣지 애플리케이션, 로봇 공학 및 멀티 모달 시스템에 적합하다. 컴팩트한 사이즈, 다양한 연결성 및 확장성을 가진 엔비디아 젯슨 오린 기반의 에이수스 PE1102N, PE1101N, PE1100N은 AI 작업을 더 빠르게 향상된 데이터 처리 성능으로 스마트 시티, 스마트 교통, 주차 및 교통 분석과 같은 분야를 포함해 스마트 물류 시스템을 지원한다. 향상된 성능으로 TCO 절감 효과를 제공하는 ASUS IoT 엔비디아 젯슨 시리즈는 발열 성능을 극대화하는 견고한 외관으로 극한의 야외
밴티크(Vantiq)는 한국 시장에서의 입지 강화 및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할 리더로 이형근 한국 지사장을 선임했다고 8일 밝혔다. 미국 실리콘 밸리에 본사를 둔 밴티크는 생성형 AI와 실시간 데이터 기술을 결합해 복잡하고 중요한 문제 해결과 인간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한다. 그 외에도 밴티크의 플랫폼은 복잡한 IT 시스템과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개발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이며, 실시간 변화하는 환경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일본 소프트뱅크는 도쿄 다케시바 스마트 빌딩 프로젝트에서 밴티크 플랫폼을 활용해 건물 관리 시스템을 단기간에 성공적으로 구축했다. 이 프로젝트는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해 건물 내의 모든 시스템을 통합 관리하고, 생성형 AI를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사용자 경험을 혁신적으로 향상시켰다. 이 성공을 계기로 소프트뱅크는 밴티크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해 직접 투자를 단행했고, 이를 통해 밴티크는 글로벌 기술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강화했다. 밴티크 플랫폼은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 분석, 처리하며 생성형 AI를 활용해 기업이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기술
윈드리버는 클라우드-엣지 구축의 고유한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커머셜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제품인 엘렉사 프로(eLxr Pro)를 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엘렉사 프로는 최근 출시된 오픈소스 eLxr 프로젝트 배포판에 대한 장기적인 커머셜 지원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성능 엣지 및 엔터프라이즈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하는 조직은 엘렉사 프로를 통해 자율주행차, 국방, 항공, 에너지, 금융, 의료, 산업 자동화, 스마트 시티, 통신 등 다양한 신규 사용 사례에 대한 차세대 상용 배포의 엄격한 성능 및 운영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 원격 자동 업데이트,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 및 오케스트레이션, AI 추론, 머신 러닝, 자율 운영과 관련된 워크로드를 위해 데이터가 생성되는 곳과 더 가까운 위치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근거리 및 원거리 엣지 애플리케이션의 구축 및 최적화를 지원한다. 엘렉사 프로는 오픈 소스 데비안(Debian) 기반 eLxr 프로젝트를 근간으로 하는 제품으로 지능형 엣지, 원거리 엣지 디바이스, 근거리 엣지 서버, 리전 데이터 센터 및 퍼블릭 클라우드 시나리오를 모두 지원하는 엔터프라이즈급 배포판이다. 아비짓 신하 윈드리버 사장은 “시장에서는 특정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유블럭스(u-blox)의 IRIS-W10 모듈을 공급 중이라고 23일 밝혔다. IRIS-W10 모듈은 산업 자동화, 스마트 홈 및 빌딩, 스마트 시티, 의료 및 헬스케어 기기, 텔레매틱스, POS(point-of-sales) 애플리케이션에 보안과 안정성, 향상된 네트워크 효율성, 저전력 특성을 제공하는 와이파이 6 및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모듈 제품군이다. 유블럭스 IRIS-W10 모듈은 와이파이 6 기술, BLE 5.3, 802.15.4 저속 무선 네트워크, 스레드(Thread), 개방형 표준 매터 오버 와이파이 및 이더넷 연결을 지원하는 통합 트라이 라디오를 갖춘 NXP RW612 무선 마이크로 컨트롤러(MCU)를 탑재하고 있다. IRIS-W10은 기업용 및 가정용 에코시스템에서 제품을 안전하게 연결하는 데 이상적인 솔루션으로 PCB 및 외부 안테나 옵션을 모두 통합하고 있다. 개방형 CPU 구성에는 최대 260MHz 클럭의 Arm Cortex-M33 MCU가 내장돼 있으며 1.2MB SRAM과 8MB 또는 16MB 플래시가 탑재돼 있다. 다양한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UART, USB, SPI, SDIO, RMII, QVGA,
이에이트는 웨더아이와 업무협약(MOU)을 통해 기상 데이터, 미세먼지, 실내 공기질과 같은 환경 데이터를 시뮬레이션 기술에 융합해 보다 고도화된 스마트 날씨 서비스를 개발한다고 17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스마트 시티, ITS(지능형 교통체계), 스마트 팜 등 다양한 분야에 정밀한 기상 데이터와 시뮬레이션이 융합된 디지털 트윈 서비스 공동 개발과 날씨 예측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시뮬레이션 솔루션 공동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한다. 이에이트는 자사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NDX PRO에 웨더아이의 정밀 기상 데이터 및 기상 예측 모델을 융합해 도시·환경·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의 품질을 높여간다는 방침이다. 또한 양사는 이에이트의 시뮬레이션 솔루션 NFLOW를 활용해 집중 호우 등 이상 기상 현상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웨더아이의 기상 예측 기술을 고도화해 보다 신뢰성 있고 유용한 기상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웨더아이의 기상 정보와 NDX PRO의 연동을 통해 기존 NDX PRO이용자들은 웨더아이의 날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국지성 집중 호우 등 대규모 재산 피해를 초래하는 기상 현상
유블럭스(u-blox)는 잔디깎이 로봇(robotic lawnmower, RLM) 부문에서 다수의 주요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이 분야 주요 제조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주목할 만한 성과를 달성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 수주는 장기적으로 1억 달러 이상의 예상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성과로 유블럭스는 고정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기술 분야의 강자로 자리매김하고 잔디깎이 로봇의 미래를 그려 나가는 데 있어 자사의 전략적 입지와 영향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잔디깎이 로봇 시장은 커다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3년 ABI 보고서에 따르면 잔디깎이 로봇 시장은 2024년에 260만 대 규모를 달성하고, 향후 수년 간 약 18.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고정밀 GNSS 기술이 잔디깎이 로봇 시장에서 2020년대 말까지 약 33%의 보급률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제조, 물류, 인프라 모니터링, 스마트 시티, 기타 사물 인터넷(IoT) 분야 에서도 고정밀 GNSS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자율주행 로봇이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GNSS 기술의 발전, 특히 센티미터 수준의
부산벤처기업협회(BUVA)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과 손잡고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디지털 혁신 선도를 위한 ‘산업전문인력 AI 역량강화 지원사업’ 협약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이 협약은 기업 대표자와 임원, 그리고 재직자들에게 AI와 스마트시티에 관한 최신 동향을 제공하고, 실무 중심의 교육을 통해 디지털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된다. 이번 사업은 세 가지 주요 과정으로 구성된다. 대표자와 임원진을 위한 리더 과정, 산업 분야 재직자들을 대상으로 한 재직자 과정, 그리고 IT·SW 전문가들을 위한 AI 융합 전문가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총 300명의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600명을 대상으로 한 비대면 온라인 콘텐츠 과정도 운영할 예정이다. 부산벤처기업협회는 2021년부터 시작된 이 프로그램을 통해 총 1136명의 교육 수료생을 배출했으며, 지난해에는 목표를 초과 달성하며 주관 기관 중 1위를 기록했다. 올해는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캠틱종합기술원, 한국기술사업화진흥협회와의 컨소시엄을 통해 전국 산업체 재직자들에게 광범위한 교육을 제공할 계획이다. 교육과정에는 AI, 코딩 등
에이디링크 테크놀로지는 MXA-200 Arm 기반 5G IIoT 게이트웨이를 출시한다고 26일 밝혔다. MXA-200 5G IIoT 게이트웨이는 낮은 전력 소비로 고성능을 제공한다. 외부 힛싱크 옵션이 포함된 견고한 팬리스 패키지에 번들로 제공되고 Bluetooth, 무선 LAN, 4G 및 5G용 무선 옵션이 가능하다. MXA-200은 스마트 제조, 재생 에너지 및 스마트 시티 애플리케이션의 원격 엣지 네트워크에 이상적이라고 에이디링크 설명했다. 해당 제품은 4x Arm Cortex-A53 코어의 1.6GHz NXP i.MX 8M Plus 프로세서가 탑재돼 전력 소비를 최대한 낮게 유지하면서 고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NXP i.MX 8M은 10~15년의 제품 수명으로 AI, 그래픽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고성능 그래픽, 가상화 및 보안을 제공한다. 또한 64비트 Quad Cortex-A53을 사용한 고효율 컴퓨팅이 특징이며, 통합 NPU 2.3 TOPS로 AI를 지원하고 데이터 보안을 위해 TPM 2.0으로 보호된다. Taita Chou 에이디링크 엣지 컴퓨팅 플랫폼 BU 수석 제품 매니저는 "IIoT 게이트웨이는 현장에서 하드웨어 및 설정을
미국 법인을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할 계획 에이모가 지난 1월 공식 출범한 미국 법인을 통해 본격적인 미국 시장 진출에 나선다. 에이모는 미국이 전 세계 AI 혁신의 중심지로서 연구, 개발 등에서 선두를 다투는 다수의 기업이 모여 있는 것을 고려해 법인을 설립했다. 주요 산업, 파트너사, 관련 분야 최고 수준의 인재를 보유한 만큼 에이모의 시장 점유율 확대 등 매력적인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국 현지 법인을 통해 에이모는 다양한 산업에 AI 강점을 지닌 미국에서 자율주행뿐 아니라 스마트 시티,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헬스케어 등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계획이다. 또한 미국 시장에 맞춘 연구를 진행해 미국을 시작으로 글로벌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개발에 집중한다. 이번 미국 시장 진출은 에이모의 장기적 목표와 부합한다. 에이모는 고품질의 데이터셋으로 산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장점을 활용해 올해 미국 시장에서 주요 AI 데이터 기관으로 자리잡고 2025년도에는 글로벌로 확대할 계획이다. 에이모는 성공적인 미국 시장 진입을 위해 ‘CES 2024’ 기간 중 에이모 이벤트를 열고, AI 모델의 데이터 수집, 정제, 가공, 평가까지 가능한
산업 현장에서는 AI를 심기 위한 전방위적인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여기에 엔지니어링 기술을 기반으로 완성도를 갖춘 ‘연속공정’도 고도화를 위해 AI를 접목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장윤석 인이지 기술영업이사는 공정에 AI를 적용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 ‘데이터’를 강조했다. 그는 “현장 데이터의 품질이 생산성·효율성 등 공정의 수준을 판가름하는 척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에서는 인이지 솔루션이 어떤 차별점을 가지고 어떤 공정에서 활약하고 있는지 소개한다. 조명 받는 AI 기술 최근 산업 현장에서는 ‘인공지능(AI) 안착’이 핵심 키워드다. 현장에 효율적이고, 정확하며, 안전한 AI를 적용하겠다는 의지가 뜨거운데, 이에 AI 기반의 각종 솔루션 및 서비스가 우후죽순 출시되고 있다. 이 가운데 새롭게 조명 받는 AI 기술 중 하나가 ‘설명 가능한 AI(XAI)’다. XAI는 AI가 도출한 결과에 대해 근거 및 이유를 제시하는 기술이다. AI에 대한 무조건적인 신뢰를 방지하고, 정보의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데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이처럼 산업 안에서는 전 영역에 AI를 심기 위한 전방위적인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여기에 엔지니어링 기술을 기반으로 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