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지스올 그룹의 계열사인 한국풀네트웍(KPN)이 개발한 다회용 포장 솔루션 ‘수납도구’가 ‘제19회 대한민국 우수특허 대상’을 수상했다. KPN과 로지스올 기술연구소가 공동으로 개발한 이 기술은 생활용품 부문에서의 환경 혁신성과 경제적 효율성을 동시에 인정받으며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한민국 우수특허 대상’은 한국일보가 주최하고 한국특허정보원이 후원하는 시상식으로, 산업 전반에 걸쳐 기술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우수한 특허를 선별해 시상하는 행사다. KPN이 개발한 ‘수납도구’는 기존 물류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던 비닐랩, 골판지, 그물망 등 일회용 포장재를 대체하는 친환경 다회용 기기로 주목을 받았다. 이 수납도구는 플라스틱 골판지 재질로 제작돼 내구성과 재사용성이 뛰어나며 포장 후 회수·세척을 통해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다. 기업 간 물류기기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풀링(Pooling) 시스템과 연계되어 사용되며 이로 인해 포장재 구매 비용과 폐기물 처리 비용을 동시에 절감할 수 있다. 특히 파손된 수납도구는 분쇄 후 재생 원료로 재활용이 가능해 순환 경제 측면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았다. 기술적 설계도 실용성과 효율성을 겸비했다. 상단 개방 구조로
CJ대한통운이 생활밀착형 자원순환 활동 성과를 인정받아 환경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전국 물류망을 활용해 생활 속 폐기물을 회수하고 재활용하는 구조를 체계적으로 구축해온 공로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22일 경남 사천시 한려해상국립공원 사무소에서 열린 ‘자원순환활동 유공 시상식’에서 CJ대한통운은 환경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CJ대한통운은 국내 최대 물류 인프라를 바탕으로 폐자원의 회수·재활용 체계를 일상생활 속에 구축하고 민관 협업을 통해 이를 확장해왔다. CJ대한통운은 2023년부터 환경부, 국립공원공단, 포스코엠텍과 협력해 전국 22개 국립공원 내에서 버려진 알루미늄캔을 수거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은 올해 2028년까지 3년 연장되었으며 산림청과의 협약을 통해 산림휴양시설까지 수거지역을 넓히고 있다. 택배 물류망을 활용한 어린이집 종이팩 회수 사업도 대표 사례로 꼽힌다. 종이팩을 고급 펄프로 재활용하는 이 사업은 최근 일반 가정으로도 확장되며 일상 속 재활용 참여의 폭을 넓혔다. CJ대한통운은 이 같은 순환사업을 통해 2024년 한 해 동안 알루미늄캔, 종이팩, 폐휴대폰 부품 등 총 119톤의 폐자원을 수거해 재활용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환경부·국립공원공단·포스코엠텍과 업무협약…전국 22개 국립공원 알루미늄캔 수거∙재활용 2년간 알루미늄캔 40톤 철강원료로 재활용 예상 CJ대한통운이 통합배송솔루션 ‘오네’를 기반으로 국립공원에서 배출되는 알루미늄캔을 철강원료로 재활용하는 자원 선순환 시스템의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CJ대한통운은 덕유산 국립공원사무소에서 환경부·국립공원공단·포스코엠텍과 ‘알루미늄캔 자원순환 생태계 조성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대부분 산간지역에 위치해 안정적인 수거가 어려웠던 국립공원의 폐자원을 CJ대한통운의 물류망을 통해 효율적으로 회수하고 재활용하는 순환물류 모델을 구축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CJ대한통운은 8월부터 전국 22개 국립공원에서 선별·배출된 알루미늄캔을 회수해 포스코엠텍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맡는다. 국립공원공단은 일정량의 알루미늄캔이 모이면 CJ대한통운으로 수거 요청을 한다. CJ대한통운은 통합배송솔루션 ‘오네’를 활용해 포항의 포스코엠텍 공장으로 배송한다. 포스코엠텍은 회수한 알루미늄캔을 철강원료로 재활용하고, 수익금은 국립공원공단에 기부해 쾌적한 공원 환경 조성 등에 사용한다. 또 알루미늄캔 선별 작업에 장애인 인력을 고용해 취약
전국 호텔 폐페트병 19만 개 수거‧재활용 … 전국 물류 네트워크 활용해 배송·수거 동시 해결 CJ대한통운은 환경부 주관의 자원순환 프로젝트인 ‘세이브 더 플래닛 얼라이언스’ 캠페인에 동참하면서 서울 중구 CJ인재원에서 진행한 기부금 전달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전국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환경에 대한 인식개선과 제고를 위한 문예 창작 지원 사업 등에 해당 기부금을 활용할 예정이다. CJ대한통운은 지난해 12월부터 6개월간 환경부가 주관하는 플라스틱 자원 선순환 프로젝트를 통해 이 같은 제품의 생산에 참여했다. CJ대한통운은 웨스틴조선서울, 콘래드서울, 해슬리나인브릿지 등 8개 호텔에서 사용한 투명 페트병 19만여 개를 모았고, 이렇게 수거한 폐페트병은 지속가능한 뷰티&라이프 브랜드 아로마티카의 화장품 용기로 제작·판매했다. 우리나라는 생수 등 고품질의 투명 페트병 배출이 많은 편이지만 그동안 타 플라스틱과 혼합 배출되어 재활용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그러나 택배를 활용해 자원순환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폐페트병의 분리배출이 용이해지면서 재활용 제품을 선보일 수 있게 됐다. 기존에는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폐기물 수집‧운반 업체가 허가된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