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쉐량 BYD 아시아태평양 대표는 3일 “전기자동차는 이제 하나의 생활 플랫폼”이라며 “한국 소비자들은 전기차에 대한 이해도가 아주 높다”고 밝혔다. 류 대표는 이날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주관으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BYD는 올해 서울모빌리티쇼에 처음 참여해 국내 출시 두 번째 모델인 전기 세단 ‘실’을 공개했다. BYD가 지난 1월 사전 계약을 실시한 국내 출시 첫 모델인 ‘아토3’는 보조금 책정 지연으로 인도가 늦어져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류 대표는 이와 관련해 “어제 정부 보조금이 확정됐고 향후 며칠간 지방에서도 보조금이 확정될 것으로 본다”며 “한국 시장과 법규, 차주분들에게 의무와 책임이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을 맞춰나가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류 대표는 중국 브랜드와 관련한 국내 반감에 대해서는 “하나의 자동차 브랜드가 정착하려면 시간이 걸린다고 생각한다”며 “더 많이 소비자가 저희 제품을 알면서 인정하고 또 저희 제품으로 소비자의 주행이 편리해진다면 그것이 바로 정착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국 진출을 결정하게 된 이유에 대해선 “삼성과 LG는 아주 좋은 협력사
LG전자가 기아와 손잡고 고객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AI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을 선보였다. LG전자는 3일 경기도 고양시 소재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기아와 ‘PBV 기반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구현 비즈니스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LG전자 HS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 기아 국내사업본부장 정원정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업무 협약은 LG전자의 AI 공간 솔루션 역량과 기아의 PBV(Platform Beyond Vehicle) 기술력을 결합, 고객에게 차별화된 모빌리티 공간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공동의 목표 아래 이뤄졌다. 그 첫걸음으로 양사는 2025 서울모빌리티쇼 기아관에서 이번 업무 협약의 비전을 보여주는 콘셉트카 ‘슈필라움 스튜디오’와 ‘슈필라움 글로우캐빈’을 처음 공개했다. 독일어로 ‘놀이 공간’이라는 의미를 가진 ‘슈필라움’(Spielraum)은 기아 PV5에 LG전자의 맞춤형 가전을 접목한 AI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으로, 고객은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가전과 가구를 조합해 나만의 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이 가운데 1인 사업가를 위해 기획된 슈필라움 스튜디오는 모듈형 스타일러, 스마트
고객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한 모빌리티 경험 제공할 계획 LG전자가 기아와 손잡고 차량을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닌 개인 맞춤형 공간으로 확장하는 미래 모빌리티의 비전을 구체화했다. 양사는 3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현장에서 ‘PBV 기반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구현을 위한 비즈니스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첫 공동 결과물로 ‘슈필라움 스튜디오’와 ‘슈필라움 글로우캐빈’ 콘셉트카를 공개했다. 이번 협업은 LG전자의 인공지능 기반 공간 솔루션 역량과 기아의 PBV(Platform Beyond Vehicle) 기술력을 결합해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한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데 초점을 맞췄다. PBV는 단순한 차량을 넘어, 업무 공간, 휴식 공간, 엔터테인먼트 공간 등 다양한 용도로 진화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공개된 ‘슈필라움(Spielraum)’은 독일어로 ‘놀이 공간’을 의미하며, LG전자의 AI 가전이 탑재된 기아의 PV5 차량 기반 모빌리티 솔루션이다. 사용자들은 각자의 생활 방식에 맞춰 가전과 가구를 조합해 차량 내부를 자신만의 공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슈필라움 스튜디오’는 1인 창업자나 프리랜서
국내 최대 규모의 모빌리티 산업 전시회인 ‘2025 서울모빌리티쇼’가 4∼13일 고양 킨텍스에서 열렸다. 올해 30주년인 2025 서울모빌리티쇼는 ‘모빌리티, 에브리웨어’(모빌리티, 모든 곳에)를 주제로 전 세계 12개국 451개 기업·기관이 참가한다. 전시회에서는 육(자동차), 해(선박) 공(UAM·도심항공교통) 등 다양한 이동 수단과 자율주행, 인공지능(AI), 로보틱스 등 미래 모빌리티 혁신 기술 콘텐츠가 전시된다. 세계 최초 5종, 아시아 최초 2종, 국내 최초 14종의 신차도 공개됐다.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은 개막식에서 “우리가 가진 기술력과 도전정신, 협력의 힘으로 통상 파고를 이겨내자”며 “정부도 자동차산업 긴급 지원대책을 마련하고, 위기 극복을 위해 우리 산업인 여러분과 끝까지 함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롯데이노베이트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 참가해 자율주행, 전기차 충전 등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선보인다. 서울모빌리티쇼는 2년마다 개최되는 국내 최대 모빌리티쇼로, 이번 달 4일 정식 개막해 13일까지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진행된다. 롯데이노베이트는 서울모빌리티쇼 롯데관에서 실제 운영하는 모델과 동일한 자율주행셔틀과 메타버스, 전기차 충전기를 전시한다. 자율주행차 체험존에서는 자율주행셔틀에 탑승해 대형 LED 스크린으로 가상 자율주행과 롯데의 메타버스 플랫폼인 칼리버스를 체험할 수 있다. 관람객들은 실제 자율주행차에 탑승한 것 같은 메타버스 풍경 속에서 세븐일레븐을 방문해 다양한 상품을 구경하고 구입한다. 메타버스에서 구매한 상품은 체험이 끝난 후 자율주행 배송로봇이 관람객에게 직접 전달하며 온오프라인이 연결된 롯데의 모빌리티 세상을 보여준다. 모빌리티 기술존에서는 롯데이노베이트의 자회사 EVSIS의 초급속 메가와트(MW) 전기차 충전기를 전시한다. 메가와트 충전기는 1000kW 이상의 전력 공급이 가능한 미래 충전기술로,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하는 전기버스와 대형 전기트럭, 선박, 도심항공모빌리티(UAM)를 위해 개
모빌리티 혁신 기업 트리즈(TREEZE, 대표 손성효)가 '2025 서울모빌리티쇼'를 통해 차세대 자율주행 기술과 특수목적형 모빌리티 라인업을 대규모로 공개한다. 4월 3일부터 13일까지 킨텍스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회에서 트리즈는 자율주행 로보버스 'ASTRA LEO P6'을 비롯해 총 6종의 ASTRA 시리즈를 최초 공개하며 기술력과 상용화 가능성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전시의 핵심은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한 미들마일 버스 'ASTRA LEO P6'이다. 15인승 규모의 이 차량은 도심 셔틀 서비스에 최적화된 설계로 실시간 경로 최적화와 군집 주행 기술을 탑재했다. 트리즈는 전시장에서 실제 주행 영상을 공개하며 "기존 로보버스의 한계를 뛰어넘은 파워와 지능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특히 스테레오 카메라 기반 HMI(Human-Machine Interface) 시스템을 적용해 운전자 없이도 안전한 승객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구현했다. ASTRA 시리즈는 다양한 산업 현장 적용을 고려한 라인업으로 구성됐다. 항만·물류창고용 야드 트랙터 'ASTRA Taurus', 모듈식 설계로 교육·물류 등 용도에 따라 변형 가능한 'ASTRA Chameleon', 연구개발용
3월 31일~4월 9일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서 개최 BMW, 벤츠 등 전 세계 10개국 160여 개 기업·기관 참가 “모빌리티 산업의 미래 청사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 2023 서울모빌리티쇼((Seoul Mobility Show 2023)가 성대한 막을 올렸다. BMW, 벤츠, 포르쉐, 현대자동차, 기아 등 완성차 기업이 총출동하는 2023 서울모빌리티쇼는 국내 최대 규모 모빌리티 산업 전시회로 3월 31일(금)부터 4월 9일(일)까지 열흘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린다. 지속 가능하고 지능화된 이동 혁명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전시회의 총 전시 규모는 5만 3541㎡로 지난 행사(2만6310㎡)보다 약 2배 이상 확대됐으며, 완성차 기업뿐 아니라 전 세계 10개국의 160여 개 기업·기관이 참가해 다양한 모빌리티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다. 31일 개막식에는 강남훈 서울모빌리티쇼조직위원회 위원장 겸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 윤관석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장, 이원욱 경기화성을 국회의원, 이용우 경기고양시 정 국회의원,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참가 업체 대표 및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강남훈 서울모빌리티쇼조직위원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 로보틱스 미래 제시한 현대차 대형 전동화 SUV 모델 EV9 최초 공개한 기아 첫 번째 전동화 모델 EVX로 반전 꾀하는 KG 모빌리티 현대자동차, 기아, KG 모빌리티(구 쌍용자동차) 등 국내 자동차 기업들이 전동화 및 자율주행 시대를 맞아 미래 청사진을 공개했다. ‘2023서울모빌리티쇼(Seoul Mobiliy Show 2023 이하 모빌리티쇼)’ 개막을 하루 앞두고 언론 공개 행사가 열렸다. 모빌리티쇼는 3월 31일부터 4월 9일까지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이번 모빌리티쇼에는 BMW, 포르쉐, 메르세데즈-벤츠 등 유럽 기업부터 현대자동차, 기아 등 국내 기업까지 다양한 완성차 기업이 참관객들을 만난다. 특히 국내 완성차 회사들은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빠른 변화에 발맞춘 로보틱스, 전기차 등 다양한 볼거리를 통해 회사의 미래 방향성과 비전을 소개한다.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과 배송 로봇 등을 시연하며 로보틱스의 미래를 제시했다. 현대차 로보틱스랩이 개발한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ACR, Automatic Charging Robot)은 기존 충전기보다 무거운 초고속 충전기를
‘프리미엄 수소차 시장 겨냥’ iX5 하이드로젠 프로토타입 공개한 BMW ‘제로백 3.5초’ 역대급 속도 고성능 순수 전기 세단 공개한 벤츠 브랜드 최초 스포츠카 포르쉐 356 오마주한 콘셉트카 공개한 포르쉐 유럽 자동차 회사들의 전동화 바람이 더욱 거세다. ‘2023서울모빌리티쇼(Seoul Mobiliy Show 2023 이하 모빌리티쇼)’ 개막을 하루 앞두고 언론 공개 행사가 열렸다. 모빌리티쇼는 3월 31일부터 4월 9일까지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이번 모빌리티쇼에는 BMW, 포르쉐, 메르세데스-벤츠 등 유럽 기업부터 현대자동차, 기아 등 국내 기업까지 다양한 완성차 기업이 참관객들을 만난다. 완성차 기업들은 다양한 전기차 모델을 선보이며 전동화 가속화를 예고했다. 유럽 완성차 기업들은 이날 행사에서 다양한 전기차 모델을 선보이며 미래 전동화 전략과 비전을 명확히 했다. 특히 다양한 프리미엄 럭셔리 차종의 전동화 모델을 선보이며 차별화 전략에 적극 나섰다. BMW BMW는 ‘BMW가 만드는 미래, 그 이상(Drive Beyond the Future)’을 테마로 iX5 하이드로젠 프로토타입을 비롯해 순수 전기 플래그시 세단인 뉴 i7, 첫
SK텔레콤은 '2023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자동차 전용 AI 플랫폼과 UAM 등 첨단 ICT 기술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SKT는 오는 31일부터 4월 9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 마련한 500㎡ 규모의 단독 전시관에서 관람객들을 위한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번 서울모빌리티쇼가 'Sustainable·Connected·Mobility'를 주제로 자율주행차와 항공 관련 미래 모빌리티까지 영역을 넓힌 만큼, SKT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In-Vehicle Infotainment)와 UAM 등 자사의 기술·서비스를 통해 이동수단의 진화 및 발전 방향을 알릴 예정이다. SKT는 자동차 전용 AI 플랫폼인 '누구 오토(NUGU auto)' 서비스가 탑재된 볼보 XC90, S90, C40리차지 차량을 전시해 관람객들이 음성만으로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며 안전하고 스마트한 주행을 즐기는 체험을 제공한다. 누구 오토를 활용하면 ▲TMAP의 길찾기/상호검색 ▲'플로'의 음악 재생 ▲에어컨이나 시트 열선을 조작하는 차량 기능 제어 ▲문자/전화 송수신 ▲차내 라디오/볼륨 제어 등을 음성 명령으로 조작할 수 있다
EV 9 비롯해 쏘나타 부분 변경모델, 디 올 뉴 코나 일렉트릭 등 다양한 전기차종 전시 현대자동차그룹와 기아가 오는 31일 경기도 킨텍스에서 개막하는 2023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쏘나타 부분변경모델과 대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EV9 실차를 처음으로 선보인다. 현대차는 27일인 오늘 서울모빌리티쇼에서 '현재의 삶에서 경험하는 모빌리티와 함께 우리의 삶에 한층 가까이 다가온 미래 모빌리티를 경험하는 공간'을 콘셉트로 2600㎡ 규모의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8세대 쏘나타 부분변경모델 쏘나타 디 엣지, 디 올 뉴 코나 일렉트릭, 아이오닉 6, 더 뉴 아반떼, 캐스퍼, 더 뉴 파비스와 콘셉트카 RN22e, N Vision 74 등 13대를 전시한다. '로봇 개'로 알려진 4족 보행 로봇 '스팟', 배송 로봇 등의 작동도 시연한다. 기아는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가 되기 위한 기아의 또 하나의 움직임'을 주제로 2400㎡ 규모의 부스를 운영한다. 기아는 자사 첫 대형 SUV인 EV9 실차를 세계 최초로 공개하고 EV6, 디 올 뉴 니로 EV, 니로 플러스 택시용 등 12대를 전시한다. 부스에는 EV9과 EV6 GT 주행 게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지난달 26일부터 10일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모빌리티의 무한한 변화 가능성을 선보인 '2021 서울모빌리티쇼'가 지난 5일 막을 내렸다. 서울모빌리티쇼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행사가 열린 전날까지 서울모빌리티쇼를 찾은 누적 관람객 수는 25만여명에 달했다. 기존의 명칭 '서울모터쇼'에서 내연기관차의 상징과도 같은 '모터'를 버리고 '서울모빌리티쇼'로 변경한 만큼 올해 서울모빌리티쇼는 전시 차량의 절반 이상이 전기차로 구성됐다. 전 세계 6개국의 100개 기업과 기관은 친환경·스마트·서비스로서의 모빌리티 등 다양한 모빌리티 신기술과 제품, 서비스를 출품했다. 이 중 완성차 브랜드는 총 10개사로, 모두 24종의 신차가 공개됐다. 기아는 '디 올 뉴 기아 니로'의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모델을 전 세계 최초로 공개했고, 메르세데스-벤츠와 제네시스는 모든 전시 차량을 전기차로 채웠다. 현대차는 모셔널과 공동 개발한 아이오닉 5 자율주행차,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를 비롯해 4족 보행 로봇인 '스팟'과 2족 직립행 로봇 등 각종 로보틱스 기술도 선보였다. SK텔레콤은 자동차 전용 인공지능(AI) 플랫폼 '누구 오토'가 탑재된 볼보 X
헬로티 서재창 기자 | SK텔레콤이 국내 최대 모터쇼 '2021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자동차 전용 AI 플랫폼 ‘누구 오토’를 선보인다. 국내 최대 모터쇼인 서울모빌리티쇼는 12월 5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다. 지속가능하고 지능화된 이동혁명을 주제로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제시한다. SKT는 '모빌리티'를 주제로 약 100㎡ 규모의 전시관을 열고 누구 오토가 탑재된 ‘볼보 XC60’을 전시, 관람객에게 스마트 모빌리티 디바이스로 진화한 카라이프 경험을 제공한다. 관람객은 별도 조작 없이 음성 명령을 통해 ‘TMAP’의 길찾기/상호검색, ‘플로’의 음악 재생 및 추천, 에어컨이나 시트 열선을 조작하는 차량 기능 제어, 문자/전화 송수신, 차내 라디오/볼륨 제어 등을 할 수 있다. 기존에는 스마트폰 등 기기에서 'TMAP'을 실행 후 음성 명령을 전달해야 했다. SKT는 티맵모빌리티, 볼보자동차와 협력해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 OS 기반 누구 오토를 개발, 차량에 직접 음성 명령을 전달하고 제어 가능하게 만들며 자동차를 스마트 디바이스로 진화시켰다. 또한, 차량 특화 기능 외에도 기존 누구 플랫폼이 제공하는 뉴스 및 날씨 검색, 누구백과, 감성대화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