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가 산업단지 박람회에서 5G 특화망(Private 5G) 서비스를 소개했다. 제1회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 ‘KICEF 2025’가 10일부터 12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회는 ‘산업단지 기반의 수출 확대와 기술 혁신’이라는 취지를 살려 자동화·정밀·계측제어기계, Robot·자동화 시스템, 산업용 IT 설비, 반도체·전자 부품, 화학·바이오 소재, 건축자재 및 일반 생활용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국내외 중견기업 및 스타트업이 참여해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였다. 삼성 SDS는 5G 특화망 도입을 위한 컨설팅, 네트워크 설계, 구축, 유지보수까지 엔드투엔드(End to End)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프라이빗 5G 클라우드는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프라이빗 5G 코어, 엣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로, 고품질의 기업 전용 5G 코어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공하며, 안정적인 운영으로 서비스 가용성을 보장한다. 또한, 엣지 솔루션을 통해 기업 내부의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중요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한편, 이번 KICEF 2025 기간에는 ‘산업단지의 날’ 기
에스넷시스템이 ‘쌍용레미콘 통합정보시스템 클라우드 전환 구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약 22억 원 규모로 지난 4월 8일부터 11월 7일까지 약 7개월 간 진행됐다. 쌍용레미콘 법인이 쌍용C&E 그룹에서 분리 및 매각됨에 따라, 기존 쌍용C&E 시스템 내에서 운영 중이던 통합정보시스템과 IT 인프라를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환경으로 안정적으로 이전하고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에스넷시스템은 시스템 운영·전환 기술 노하우를 기반으로 ▲ERP ▲네트워크 ▲각 영업소 간 VPN을 분리했다. 리프트 앤 시프트(Lift & Shift) 방식을 통해 기존 시스템에서 클라우드 환경으로 데이터를 거의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옮겼다. 또한 ▲시스템 안전성 ▲서비스 연속성 ▲비용 효율성 ▲운영 효율성 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쌍용레미콘 IT 아키텍처를 구성하고 적용했다. 특히 안정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통해 보안성을 대폭 강화했다. 이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중요한 데이터와 시스템을 보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에스넷시스템은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중요 시스템에 Multi-AZ(다중 가용 영역) 기반의
삼성SDS의 3분기 매출이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운임 하락 등의 영향으로 1년 전에 비해 급감했다. 반면, 클라우드 사업은 큰 폭으로 성장했다. 삼성SDS는 지난 3분기 연결 기준으로 작년 3분기보다 4.3% 늘어난 1930억 원의 영업이익을 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6일 공시했다. 하지만 매출은 3조2081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3.6% 줄었고 순이익도 1766억 원으로 55.9% 급감했다. IT서비스 부문 매출은 1조5093억 원으로 지난해 3분기보다 1.5%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클라우드 사업 매출은 57.3% 급증한 4707억 원으로 분기 최고치를 경신하며 IT서비스 내 비중이 30%를 넘어섰다. 특히, 클라우드 사업 중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CSP) 사업 매출은 고성능 컴퓨팅(HPC) 서비스 증가와 클라우드 네트워크 신규 매출 등에 힘입어 49% 성장했고,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공급(MSP) 사업 매출은 금융 업종의 클라우드 전환·구축 사업 수주, 항공 업종의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등으로 91% 증가했다. 반면, 물류 부문 매출은 국제 운임 하락과 글로벌 경기 하락 탓에 37.3% 감소한 1조6988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