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12일 부산신항 철송장에서 철도 물류 시설을 점검하고 컨테이너 화차 하역 작업 현장을 직접 확인했다. 이번 점검은 한문희 코레일 사장이 주도해 철송장 운영 현황을 보고받고 현장 작업 절차와 안전관리 상황을 면밀히 살피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부산신항 철송장은 국내 최대 수출항만인 부산신항의 국제 컨테이너 화물을 철도로 수도권·중부권 내륙 물류기지와 연결하는 핵심 거점이다. 연면적 14만 5천㎡ 규모에 총 12개의 선로를 갖추고 있으며 연간 약 476만 톤의 화물을 처리한다. 이 중 철도 운송이 차지하는 수출입 컨테이너 비중은 약 60%로 하루 평균 1,10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 규모의 물동량이 이곳을 거쳐간다. 하역 작업은 화차 도착 후 컨테이너 결박 해제,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을 이용한 차량·야적장 반출, 발송 컨테이너 상차, 결박, 열차 출발 순으로 이뤄진다. 코레일은 이 과정에서 하역 효율성을 높이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비 현대화와 작업 프로세스 개선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한문희 사장은 현장에서 “철도 수송은 탄소중립 시대의 핵심 물류 수단”이라며 “수송량 확
이업종 간 상호 보완 통한 경쟁력 강화…시장 경쟁심화와 차별화 요구 대응 CJ대한통운이 최근 글로벌 및 아시아권 전문 선사 4곳과 잇달아 업무협약을 체결해 이업종 간 상호 보완을 통한 글로벌 물류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CJ대한통운은 지난 6월 14일 대만 선사 에버그린과, 5월에는 동영해운과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지난해 11월에는 SM상선, 5월에는 남성해운과 각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경쟁력 있는 운임 제공, 공동영업을 통한 신규 물량 창출, 엔드 투 엔드(End to end) 일관수송 등 차별화된 서비스 공동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 CJ대한통운과 세계 6위 컨테이너 선사인 대만 에버그린은 컨테이너 화물 해상운송시 경쟁력 있는 운임을 제공하기로 했다. 아시아와 전세계 및 동남아 국가 간 운송되는 컨테이너 화물에 대한 공동영업으로 신규 운송물량을 확보하는데도 협력한다. 컨테이너 화물의 해상-육상 일관수송 서비스 개발도 공동 추진하고 있다. 국적 대형선사인 SM상선과는 한국과 미국을 잇는 복합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미국 물류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양사는 부산항과 미국 서해안 항구를 왕복하는 해운 노선과 온도조절이 가능한 냉동
CJ대한통운이 동영해운과 함께 아시아 3개국과 몽골을 잇는 복합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중국, 중앙아시아, 동유럽을 망라한 북방지역 물류영토 확장에 나선다. CJ대한통운은 동영해운과 ‘북방물류 공동개발 업무협약 체결식’을 가졌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동영해운이 운영 중인 한국-몽골 간 멀티모달 서비스를 활용해 아시아 3개국 고객사에게 몽골 수출화물 운송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멀티모달이란 해상, 육상 등 복수의 운송수단을 이용해 화물을 운송하는 것으로 복합운송이라고도 불린다. 양사는 CJ대한통운의 한국, 일본, 베트남 등 아시아 3개국 컨테이너 화물을 선박을 이용해 중국 신강항까지 해상운송한다. 이후 중국횡단철도과 몽골횡단철도를 이용해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까지 육상운송하게 된다. 여러 나라의 화물을 모아 규모화해 운송하는 만큼 더욱 경쟁력 있는 운임 제공이 가능할 전망이다. 향후 양사는 중국, 중앙아시아, 동유럽 등 유라시아 대륙 북방지역을 대상으로 추가 운송경로와 서비스 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화물 발송지에서 도착지까지의 운송과정 일체를 전담해주는 앤드 투 앤드 서비스와 그 외 부가적인 서비스도 개발하는 등 상생협력 관계를 지속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