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지컬 AI 정책 세미나’ 성료...산업·국방 패러다임 전환 논의해 ‘한국피지컬AI협회’ 창립 선포 “클라우드 넘어 실현 가능한 대안 제시할 것” 수많은 산업의 핵심 기술로 떠오른 ‘움직이는 인공지능(AI)’ 피지컬 AI(Physical AI). 이 기술에 대한 논의가 국내에서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지난달 30일 피지컬 AI를 주제로 한 정책 세미나가 국회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산업 전반에 미치는 피지컬 AI의 영향과 AI 정책 방향’을 주제로 진행됐다. 국민대학교·강남대학교·(사)한국피지컬AI협회 창립준비위원회가 공동 주관했다. 이번 세미나는 현실 공간에서 직접 움직이는 피지컬AI의 산업적 파급력과 정책 방향을 조망하고자 마련됐다. 이 자리에는 산·학·정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열띤 논의와 협력 방안을 공유했다. 정구민 국민대학교 교수는 ‘Physical AI 글로벌 동향’을 주제로, 로봇·자율주행차·스마트공간 등 물리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AI 기술의 국제적 발전 흐름을 소개했다. 그는 엔비디아(NVIDIA),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 피규어AI(Figure AI) 등 글로벌 선두 기업들의 사례를 분석했다. 그러면서 “AI
이달 30일 행사서 민간 주도 첨단 전략 기술 및 연계 강조 산업·공장 자동화(FA), 스마트 국방 솔루션 등 ‘피지컬 AI’ 실제 적용 사례 및 미래 비전 제시 마음AI가 이달 30일 ‘피지컬 AI(Physical AI) 정책 세미나’에 참가한다. 이 자리에서 정책 제안, 산업 표준화, 수요 생태계 구축 등을 민간 주도로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펼칠 예정이다. 이번 세미나는 AI가 물리적 세계를 인식·이해하며 직접 행동하는 '피지컬 AI'를 대상으로 열린다. 주제는 ‘산업 전반에 미치는 Physical AI의 영향과 AI 정책 방향’이다. 산·학·연·관·정 이해관계가 한자리에 모여, 디지털 전환(DX)과 첨단 기술 융합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행사는 디지털병리학회·의료메타버스학회·첨단산업브릿지포럼·한국드론협회·한국로봇산업협회·인천테크노파크·(사)한국피지컬AI협회 등이 주관한다. 마음AI는 이번 세미나에서 (사)한국피지컬AI협회 초대 협회장사로 출범한다. 이 가운데 손병희 마음AI 연구소장은 이 자리에서 ‘Physical AI와 산업’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실제 공간에서 작동하는 인공지능(AI)이 제조·물류·의료·건설 등 다양한 산업 현장을
[헬로즈업 세줄요약] ㆍ어드밴텍, ADF 2025서 ‘Edge 3.0’ 시대 본격화 선언 ㆍ생성형·에이전틱·피지컬 AI로 산업 현장 자동화 고도화 ㆍ인텔·퀄컴 등 엣지 기반 실전 전략과 활용 사례 집중 공유 엣지 컴퓨팅과 AI가 산업 전반의 설계를 다시 쓰고 있다. 어드밴텍은 지난 19일 서울 엘타워에서 '2025 어드밴텍 임베디드 디자인-인 포럼(ADF)'을 개최해 엣지 AI 산업 적용 가능성과 기술적 진화를 집중 조명했다. ‘Everything Comes Back to Edge’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는 어드밴텍을 비롯해 퀄컴, 인텔, 엔비디아, AeiROBOT, 퓨리오사, 마크베이스 등 국내외 주요 반도체·AI 기업들이 대거 참석해 차세대 엣지 컴퓨팅의 실전 전략을 공유했다. 첫 번째 기조 발표에 나선 Steve Chang 어드밴텍 부사장은 엣지 기술 발전을 세 단계로 정리하며 현재를 ‘Edge 3.0’ 시대로 정의했다. 그는 “Edge 1.0은 단순한 기능 장비, Edge 2.0은 클라우드 중심 서비스였다면 이제는 ‘기기가 스스로 실시간 결정을 내리는’ 지능형 엣지, 즉 Edge 3.0이 도래했다”고 말했다. 이어 “공장, 병원, 물류, 운송 등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5(Smart Tech Korea 2025, STK 2025)가 13일 성황리에 폐막했다.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AI, 로봇, 빅데이터, 물류, 보안, 유통 등 6개 분야 400여 개 기업이 참여해 1500여 개 부스를 운영했다. 특히 AI와 데이터 기술을 집중 조명한 ‘AI & Big Data Show’ 전시관은 초경량 LLM, 생성형 AI 에이전트, 피지컬 AI 등 최신 기술이 산업과 일상에 적용되는 구체적인 방식들을 실감나게 전달하며 참관객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마음AI–AIden, 소라, iroi “사람처럼 듣고, 말하고, 움직이는 AI 로봇의 진화” 피지컬(Physical) AI 선도기업 마음AI는 이번 전시에서 AIden, 소라(SORA), iroi 등 온디바이스 기반 자율형 로봇들을 통해 산업과 일상 공간을 아우르는 실용적 AI의 범위를 보여줬다. 자율주행 AI 로봇 ‘AIden’은 LLM 기반 음성 대화 시스템과 자율 주행 기능이 통합된 로봇이다. 얼굴을 인식해 음성 대화를 시작하고 고객사 내부 정보를 바탕으로 맞춤형 안내를 제공한다. 대화의 맥락을 이해해 안내를 이어갈 수
‘로봇 기술 및 인공지능을 통한 무인화 솔루션 개발 공동 사업’ 업무협약 맺어 무인화 식음료 로봇 모델 개발에 가속도 뉴로메카와 마음AI가 무인화 솔루션 개발에 힘을 합친다. 이번 협약은 무인화 식음료(F&B) 로봇 개발이 골자다. 양사는 무인화 F&B 로봇 모델을 도출하기 위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융합하는 데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여기에 뉴로메카는 협동로봇 제조 기술을, 마음AI는 인공지능 기술을 제공한다. 우선 뉴로메카의 카페 자동화 솔루션과 마음AI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된 ‘AI 키오스크’를 개발하고, 시스템을 고도화해 카페 자동화 서비스를 내놓을 계획이다. 박종훈 뉴로메카 대표는 “뉴로메카의 로보틱스 기술과 마음AI의 인공지능 기술력이 시너지를 더해 K-푸드테크가 해외 확산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과기정통부·디지털플랫폼정부위, 20억 규모 초거대 AI 지원 사업 시작...도시철도 안전·민원 처리 보조 등 공공선도 사례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국내 초거대 인공지능(AI) 생태계 활성화를 목표로 민간 초거대 AI 활용지원 사업에 20억원을 투입한다고 3일 밝혔다. 우선, 중소기업,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등 AI 수요 기업과 기관 125곳을 선정해 초거대 AI 공급기업 4개 사가 제공하는 AI 플랫폼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나 개발도구·환경 등을 지원하고 전문 컨설팅과 교육을 진행한다. 초거대 AI 공급기업에는 '하이퍼클로바X' 개발사 네이버클라우드와 '믿:음'을 개발하는 KT, 바이브컴퍼니, 마음AI가 선정됐다. 수요 기업과 기관에는 법무부, 조달청, 관세청 등 7개 중앙행정기관과 한국관광공사, 한국전력공사 등 25개 공공기관 및 협회·단체, 대전 유성구청 등 지자체와 우주문방구, 포티투마루 등 81개 기업이 선정됐다. 공공기관과 지자체는 초거대 AI 주요 기능을 문서 요약·작성 등 업무에 접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중소·스타트업은 AI 모델, API, 개발도구 등을 활용해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할 계획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