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현장에서 직면한 도전 과제 제조업체는 제품을 시장에 빠른 납기에 대응하는 동시에 비용을 낮추고 품질을 보장해야 합니다. 제조 현장에서는 이를 보장하기 위한 노동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데요. 다운타임과 유지보수를 최소화하면서,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한 생산 라인을 만드는 방법은 뭘까요? 기존의 전통적인 자동화만이 해답이 아닙니다. 유연하고, 스마트한 자동화가 필요합니다. 유연성과 사용 편리성은 'Pickit 3D Vision' 솔루션의 철학입니다. 3D 비전 및 로봇 공학의 지식을 활용하여 까다로운 생산 및 물류 프로세스에 탁월한 유연성과 지능을 추가합니다. 사용하기 쉬운 Pickit3D Vision 솔루션은 인증된 하드웨어, 개방형 기술 플랫폼 및 포괄적인 서비스 범위를 제공합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산업지식인에서는 실무자의 질문을 전문가가 자세하게 답변하는 내용을 다뤘습니다. 각 주제별로 진행된 MTV 웨비나에서 발표자와 질문자가 주고받았던 질의응답을 한 데 모았습니다. 비교적 보수적이라고 알려진 제조 산업에는 현재 새로운 혁신 기술이 속속 도입되고 있습니다. 특히 로봇 자동화 공정 및 애플리케이션, 빈피킹(Bin-picking), 디팔레타이징(Depalletizing), 로봇 가이던스(Robot Guidance), 샌딩((Sanding), 폴리싱(Polishing), 용접(Welding), 볼트 및 스크류 체결(Bolting·Screw Driving) 등 공정에서의 변화가 눈에 띕니다. 그 과정에서 로봇의 눈 역할을 하는 비전 기술이 발 빠르게 적용되고 있는데요, 이는 로봇만으로는 해결하지 못하는 공정 과정에 대한 솔루션으로 평가받습니다. 여기에 픽잇(Pick-it)은 로봇·3D 비전·3D 카메라·캘리브레이션을 융합한 ‘3D 로봇 비전’ 솔루션을 산업에 제시합니다. ‘제조 기술 혁신을 위한 3D 로봇 비전 솔루션 플랫폼 픽잇’ 웨비나에서는 3D 로봇 비전을 소개했습니다. 이번 산업지식인은 이에 대한 궁금증과 답변을 선별했습니다. Q & A Q.
앞 편에서 필자는 스마트 팩토리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유연성’을 꼽았다. 그리고 하나의 공정 라인에서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혼류생산’을 예로 들어 유연한 자동화 공정의 장점을 설명했다. 혼류생산의 핵심은 생산하는 제품이 바뀔 때마다 버튼 한 번만 누르면 전 공정이 자동으로 재구성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수많은 하드웨어 기계장치가 복합된 생산라인에서 이런 기능을 구현하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현재 유연한 생산 공정을 위해 도입한 수많은 로봇 시스템 또한 제품이 바뀔 때마다 오프라인으로 프로그램하여 경로를 수정할 수는 있지만 실시간으로 들어오는 제품에 따라 알아서 경로를 수정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로봇 비전’ 기술이 꼭 필요하다. 로봇 비전이란 ‘비전(vision)’은 ‘눈, 시력, 시각’을 뜻하는 용어로, ‘로봇 비전’이란 ‘로봇의 눈’을 의미한다. 보통 로봇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로봇의 움직임을 엔지니어가 일일이 미리 가르쳐 주어야 하는데, 이를 티칭(teaching) 작업이라고 한다. 하지만 로봇이 사람처럼 시각센서(카메라 또는 레이저)를 통해 환경이나 사물을 인식할 수 있게 되면, 작업 공
3D로봇 비전의 솔루션 리더로 주목 받고 있는 픽잇은 올해 스마트 팩토리 등대공장으로 선정된 LG전자 스마트시티에 픽잇의 3D비전 솔루션이 적용됐다고 밝혔다 22Kg이나 되는 냉장고 경첩에 조립하는 일은 사람이 하기에도 매우 힘들고, 작업 속도도 매우 느려진다. 그렇다고 냉장고를 고정하고 조립하는 일을 자동화하는 것도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 공정은 로봇과 3D비전을 통해 완전한 조립을 구현할 수 있었는데, 바로 픽잇의 조립 솔루션을 통해 로봇의 눈과 머리가 되어 대략적인 위치에 놓인 냉장고를 확인하고 조립할 수 있었다. 또한, △하나의 생산라인에서 다양한 제품 생산 △무거운 물체의 정렬과 조립 △다양한 제품의 로봇 티칭 △반복적인 근골력계 부담 작업 △0.5mm 이내 오차의 조립 정밀도 구현 △다품종 생산라인 구축 등의 도전 과제도 해결할 수 있었다. 픽잇의 김병호 지사장은 “로봇에 눈을 달아주고 스스로 판단하여 생산성을 높여주는 솔루션은 없었다”며 “픽잇의 3D비전 솔루션은 기존 공장에서 해보지 못한 자동화의 격을 한층 더 높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픽잇의 솔루션은 단순히 3D비전이 아니라, 3D비전(하드웨어)과 픽잇(소프트웨어)의 쉽고 운영이 편리한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아이반 탄 싱가포르 머신비전 플랫폼 비즈캠(VizCam) 대표가 지난 24일경 한국을 찾아 국내 주요 파트너사들과 회동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29일 비즈캠(VizCam)에 따르면 아이반 대표는 지난 24일경부터 현재까지 서울 모처에서 SI업체, 장비제작사, 로봇 가이던스 등 국내 주요 파트너사들을 만나기 위해 관련 일정을 조율 중이다. 비즈캠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아이반 대표가 한국 파트너사들 중심으로 회동을 추진했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방한이 어려웠다”며 “기회가 될 때마다 한국을 방문하여 파트너사들과 미팅 기회를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회동은 비즈캠 한국지사가 주관을 맡아 각 파트너사들의 일정 및 참석자를 조율 중이다.
[첨단 헬로티] 이스라(ISRA)의 빈피킹 솔루션(Bin Picking Solution)은 총 8년간 전 세계 250개소의 레퍼런스를 가진 검증된 3D 센서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로봇 가이던스( R o b o t Guidance) 기준으로는 총 20년 현장 오퍼레이션 경험이 있으며, 현재까지 1,000개소 이상의 현장 설치 및 어플리케이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생산 라인 자동화를 위한 최첨단 3D 센서 기존의 레이저 기반의 빈피킹 3D 센서는 전통적인 자동차 산업 및 기계 산업에만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신제품 3D 센서는 기존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새로운 하드웨어를 개발하여 애플리케이션 범위 및 산업 범위를 매우 광범위하게 넓혔다. 3D 센서는 LED 기반의 랜덤 스트럭처 라이팅(Random structure lighting)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종류의 표면 재질에 상관없이 3D 점군(Point Cloud) 정보를 추출 할수 있다. 기존 듀얼 카메라에서 쿼드 카메라로 확대되면서 복잡한 구조의 대상물에 정확한 표면 데이터를 추출할수 있고, 컨테이너의 어느 위치에 있는 대상물이든지 상관없이 컨테이너 마지막 부품까지 완벽하게 피킹할 수 있는 솔루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