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요금 인상에 소비자물가 상승세 확대…고용 증가세도 둔화 최근 수출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내수 회복세까지 꺾이면서 우리나라의 경기 둔화가 한층 심화하고 있다는 국책연구원의 분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7일 발간한 '경제동향 2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 감소 폭이 확대되고 내수 회복세도 약해지면서 경기둔화가 심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둔화 가능성을 언급했으나 올해부터는 경기 둔화가 가시화하고, 또 악화하면서 본격적인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부문별로 보면 글로벌 경기 부진이 이어지며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 감소세가 확대됐다고 KDI는 평가했다. 1월 수출은 작년 같은 달보다 16.6% 급감하며 전월(-9.6%)보다 감소 폭을 키웠고, 반도체(-44.5%), 철강(-25.9%), 석유화학(-25.0%) 등 대부분 품목에서 부진이 심화했다. 지역별로는 대중 수출(-31.4%) 감소 폭이 확대된 가운데 그간 양호한 흐름을 보이던 대미 수출(-6.1%)도 감소세로 돌아섰다. 12월 소비(소매판매)는 내구재를 중심으로 2.5% 감소해 전월(-2.1%)보다 감소 폭이
ⓒGetty imagesBank [헬로티] 12월 20일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 1주년을 맞았다. 지난 1년간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은 이전 1년에 비해 10.9% 감소했다. 하지만 한중 FTA 혜택품목 수출은 4.0% 감소하는데 그쳐 FTA가 대중 수출의 버팀목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수출 물량을 보면 전년 대비 11.4% 증가했으며, 한국산 제품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도 10.5%로 1위를 유지했다. 수산물과 소비재의 수출은 큰 폭으로 증가해 수산물의 경우 그 증가율이 24.9%에 달했고, 섬유제품 증가율도 17.1%였다. 농산물 수출 역시 2.8% 증가했다. FTA의 수출 활용률은 발효 초기 8.2%였으나 매월 꾸준히 상승해 올 11월에는 38.3%였다. 이는 한중 FTA와 교역 구조가 비슷한 아세안보다 빠른 것이다. 아세안은 5년차 활용률이 33.1%였다. 전자상거래를 통한 중국으로의 수출은 전년 대비 127% 증가한 1조2천억 원 규모였고, 수입은 1천90억원여서 전자상거래 무역수지 흑자 폭이 크게 증가했다. 올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년 대비 4.8% 감소했다. 특히 중국산 공산품 수입이 5.9% 감소한 것을 비롯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