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화 기술 도입은 사무직 고령 근로자의 퇴직위험을 3.62배 높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종우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 과장·이철희 서울대 교수는 20일 '기술도입이 고령자 퇴직위험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고서(BOK 경제연구)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초 기준 3033개 기업에 종사 중인 25∼69세 근로자 96만2404명을 대상으로 기업별 기술도입 후 3년간(2015∼2017년) 근로자의 고용상황을 추적조사한 결과, 기술도입은 사무직 근로자의 퇴직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동화 기술이 도입된 회사에서 사무직 고령 근로자는 자동화 기술이 도입되지 않은 회사의 사무직 고령 근로자와 비교해 퇴직 위험이 3.62배 높았다. 이는 젊은 근로자와 비교해서도 1.3배 높은 수치다. 정 과장은 "사무직 근로자의 경우 기술도입으로 모든 근로자의 퇴직위험이 커졌는데, 젊은 근로자보다도 고령 근로자에 대해 더 높아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규칙성을 갖춘 반복 노동이 기술로 대체된 것일 수 있고, 근로자들이 기술이 도입되면서 변경된 업무수행 방식에 적응해야 한다는 점도 퇴직위험에 영향을 줬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IT 관련 장비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산업용 로봇 도입이 제조업과 단순 반복 직무를 중심으로 노동 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한국은행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혜진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지난 15일 '로봇이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로봇 도입 증가는 로봇으로 대체하기 쉬운 업무 프로세스가 많은 업종 및 직종에서 노동수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은은 2010∼2019년 한국고용정보원 워크넷의 기업 구인정보 자료와 국제로봇협회의 산업용 로봇 도입 통계자료를 토대로 이 기간 로봇이 많이 늘어난 지역과 늘어나지 않은 지역의 노동수요 차이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이 기간 근로자 1천 명당 로봇 1대가 늘어난 지역은 로봇 대수 변화가 없는 지역보다 제조업의 구인 인원 증가율이 2.9%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단순 계측업무나 반복적 기계 조립·조작 등 단순 업무의 구인인원 증가율도 2.8%포인트 낮아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0∼2019년 중 근로자 1천명당 제조업의 로봇 대수는 평균 34대 늘었다. 특히 자동차와 전기·전자 업종의 로봇 도입이 활발해 두 업종에서 각 190대, 179대 증가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로봇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