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티가 Unity 6의 두 번째 업데이트인 ‘Unity 6.2’ 정식 버전을 출시했다. 이번 업데이트는 데이터 중심 안정성 강화, AI 기반 생산성 개선, 최신 플랫폼 대응에 초점을 맞췄다. 새롭게 도입된 ‘개발자 데이터 프레임워크(Developer Data Framework)’는 프로젝트 내 데이터 활용 방식을 개발자가 투명하게 확인하고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충돌 및 ANR(Application Not Responding) 문제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향상된 진단 기능도 제공돼 프로젝트 안정성과 플레이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에디터에 통합된 ‘Unity AI’는 번거로운 작업 자동화와 에셋 생성, 디버깅을 지원한다. 개발자는 프로젝트 에셋을 프롬프트로 드래그해 즉시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콘솔 오류 디버그 기능을 통해 스크립트와 오류 메시지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현재 Unity AI는 베타 버전으로 제공된다. 안드로이드 XR 패키지는 검증 완료된 안정적인 기반을 제공하며, 핸드 메시 시각화, URP 후처리 효과 최적화, 디스플레이 주사율 동적 조정 기능 등을 지원한다. 이 밖에 ▲맞춤형 에디터 그래프 툴 제작을 위한 ‘그래프 툴
국산 오픈소스 AI 코딩 도구 ‘캐럿(Caret)’이 지난 7월 15일 첫 공개 기술 밋업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기업용 및 교육 시장을 겨냥한 기술 로드맵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프로젝트의 오픈소스 기여자 모집에도 본격 착수하며 개발자 커뮤니티의 참여 기반을 넓히고 있다. 캐럿은 글로벌 AI 코딩 도구 ‘커서(Cursor)’의 대안으로 주목받는 국내 오픈소스 프로젝트다. 특히 외산 툴의 높은 비용과 내부 소스 유출 우려로 도입을 망설이는 기업 환경을 고려해 안전한 AI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VS Code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으며, 실제 기업 현장과 교육기관을 위한 커스터마이징도 가능하다. 캐럿은 삼성전자도 도입한 AI 코딩 엔진 ‘클라인(Cline)’을 기반으로 안정성과 확장성을 확보했고, 자체 시스템 프롬프트 개선을 통해 성능을 끌어올린 동시에 비용을 낮췄다. 하드코딩 구조도 개선해 다국어 지원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특히, 펄스나인의 가상 아이돌 ‘이터니티’나 OS-Tan과 같은 캐릭터 페르소나를 코딩 에이전트에 적용한 기능은 코딩의 몰입도와 교육적 흥미를 동시에 확보하는 요소로 주목받았다. 이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