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이 26일 공시를 통해 올해 2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이날 현대제철의 발표에 따르면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3% 증가한 7조 3,810억원, 영업이익은 50.8% 증가한 8,221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 또한 지난해 같은 기간 9.7%에서 1.4%p 상승한 11.1%를 기록했다. 현대제철은 이 같은 실적에 대해 화물연대 파업에 따른 출하지연으로 전분기 대비 판매량은 소폭 감소했으나, 철강 원재료 상승에 따른 판매단가 인상으로 매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각 부문별 실적을 살펴보면 글로벌 자동차 강판 부문에서 해외 고객사 확대를 통한 공급물량을 늘려가고 있으며, 후판 부문은 국내 조선사의 수주잔량 증가와 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강세에 힘입어 안정적인 물량 확보를 이어가고 있다. 건설용 강재인 철근, 형강의 경우 내진용 강재 공급을 확대하며 관련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연구개발 부문에서 현대제철은 본격적인 전기차 시대의 도래에 대응하기 위해 고성능 특수강 및 고강도 열처리강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일환으로 독자 개발한 전기차용 특수강은 자동차 주행 정숙성 및 내구 수명 향상의 효과를 인정받아 지난
[첨단 헬로티] SSAB는 Strenx(R) 1100 Plus 열연 제품 출시를 발표했다. 이 신제품은 열간압연된 고장력강으로 독보적인 용접 속성을 지녀 붐, 프레임, 크레인, 기타 다른 리프팅 장비에 탁월한 용접 성능 및 절곡 성능을 제공한다. Strenx(R) 고기능성강의 1100 MPa 제품군에 속하는 Strenx(R) 1100 Plus 제품은 용접 심의 강도를 향상시켜 리프팅 분야에 이상적인 제품으로 개발했다. 이 제품은 고객과 최종 사용자의 장비를 훨씬 더 강하면서도 가볍게 만들어 도달 거리를 늘리고 적재하중을 증가시키며,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 SSAB 사의 Strenx(R) 1100 Plus Strenx(R) 1100 Plus는 전반적인 성능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됐다. 사실상 용접으로 인한 취약점이 제거됐다고 볼 수 있다. 기존에는 S1100과 S900과 같은 최고 등급의 구조용 강재 사용 시 용접부의 강도는 낮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Strenx(R) 1100 Plus는 용접 부위의 강도와 연신율, 충격 인성 등의 특성들이 모재의 최소 물성치 보장 요건을 만족할 수 있기에 이러한 용접으로 인한 취약점은 거의 제거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