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난테크놀로지가 개발한 범용 생성형 AI가 국내 공공기관 실무에 적용됐다. 한국남부발전과 협력해 완성한 사내 구축형 AI 플랫폼 ‘KEMI’가 그 주인공이다. 코난테크놀로지는 지난해 6월 남부발전의 ‘생성형 AI 구축 및 학습 용역’을 시작으로 1년여 간 개발과 검증을 거쳐 KEMI를 완성했으며, 지난 26일 남부발전 본사에서 열린 ‘AI 디지털 서비스 데이’를 통해 정식으로 개시했다. KEMI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모두 생성할 수 있는 다목적 AI 플랫폼이다. 보고서와 결재안 작성, 홍보문구 제작, 언론 기사 작성, 이메일 작성, 고객 응대, 데이터 분석, 문서 요약, 번역, 코딩, 이미지 생성 등 총 12개 핵심 사무 영역을 지원한다. 내부 시범 평가에서 평균 91점의 높은 생산성이 입증됐으며, 문서 작성 시간은 최대 40% 단축되고 반복 행정업무 효율은 연간 30% 이상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오는 9월부터는 전국 7개 사업소 2,500여 명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단계적 교육과 적용이 진행된다. 코난테크놀로지는 이번 플랫폼 개발에서 데이터 보안과 신뢰성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공공기관 내부 데이터를 외부로 유출하지 않고 안전하게 학습·활용할 수 있도록
사이냅소프트의 AI 기반 OCR 솔루션 ‘사이냅 OCR’이 누적 레퍼런스 200건을 돌파했다. 지난 3월 150건을 넘어선 이후 5개월 만에 50건 이상을 추가 확보하며 시장 수요와 성장세를 입증했다. 사이냅 OCR은 공공, 금융, 제조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며 높은 기술력과 안정성을 인정받았다. 99.3% 한글 인식률로 TTA 인증을 획득했으며 GS 인증을 기반으로 문서 자산 디지털화와 검색 효율성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RPA 연동으로 업무 자동화를 지원하고 ‘사이냅 도큐애널라이저’와 결합해 생성형 AI를 위한 지식 자산화를 구현하며 DX에서 AX로의 전환을 이끌고 있다. 최근에는 머신러닝(ML) 기반 학습과 비전-언어 모델(VLM)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을 적용해 생성형 AI의 한계로 지적되는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현상을 최소화했다. 이를 통해 문서 내 특정 키(Key)와 값(Value) 추출의 정확도를 높였으며 데이터 처리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강화했다. 전경헌 사이냅소프트 대표는 “200건 이상의 레퍼런스는 ‘사이냅 OCR’의 독보적인 기술력과 시장의 높은 신뢰를 증명하는 성과”라며 “최신 VLM기술을 적용해 데이터
밤볼(Bambol)이 디지털 청진 솔루션 ‘오디아(Audia)’를 2025년 9월 공식 출시했다. 오디아는 디지털 청진기와 연동해 흉부 소리를 수집하고 인공지능으로 패턴을 분석해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AI 기반 솔루션이다. 밤볼은 음성 기반 치매 선별 앱 ‘기억탐정(Memory Detective)’과 MRI 영상 분석 기술을 통해 AI 역량을 입증해 왔다. 이번 오디아 출시로 치매 조기진단에서 호흡기·심장 관리까지 영역을 확장하며 디지털 헬스케어 전반으로 사업을 넓히고 있다. 오디아는 호흡음과 심잡음을 구분하고 소리를 기반으로 건강 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하며 분석 결과를 그래픽과 음성으로 안내한다. 또한 기록 저장과 가족 공유 기능을 제공하며 온디바이스(On-device) AI 기반으로 인터넷 연결이 원활하지 않은 환경에서도 활용 가능성을 확보했다. 밤볼은 해외 시장 공략에도 적극적이다. 원격진료 제도가 활성화된 국가나 의료 인력 부족, 높은 의료비로 접근성이 떨어지는 선진국, 병원 이용이 어려운 저소득 국가에서 오디아는 일차적인 건강 점검 도구로 기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병원 방문 필요 여부를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의료 인프라
엔닷라이트가 크라우드웍스와 손잡고 제조·로봇·피지컬 AI 데이터 파이프라인 공동 개발에 나선다. 엔닷라이트는 29일 AI 테크 기업 크라우드웍스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산업 현장의 데이터 부족과 고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AI 데이터 엔드투엔드 솔루션 개발을 추진한다. 이번 협약은 제조·로봇·국방 및 향후 피지컬 AI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제기돼 온 데이터 구축 비용 부담, 고품질 데이터 부족, 관리 플랫폼 부재 문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양사는 엔닷라이트의 AI 기반 3D CAD·합성 데이터 생성 기술 ‘트리닉스(TRINIX)’와 크라우드웍스의 데이터 구축 솔루션 ‘워크스테이지(Workstage)’ 및 LLM·비전 데이터 처리 역량을 결합한다. 이로써 데이터 생성부터 라벨링, 품질 검증, 전달까지 이어지는 엔드투엔드 체인을 구현해 고객에게 ‘완제품 데이터셋’을 공급하는 구조를 마련한다. 특히 이번 협력은 CAD 합성 데이터와 함께 텔레오퍼레이션(teleoperation) 행동 데이터, 센서 피드백,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통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행동+환경+센서+언어’를 결합한 차세대 로봇 학습용 멀티모달 데이터셋을 구축할 수 있으며 로봇
씨이랩이 수익성 중심의 사업 구조 전환을 본격화하고 하반기 기업용 AI 사업 확대와 피지컬 AI 로드맵을 가속화한다. 이에 지난 28일 온라인 기업설명회를 열고 상반기 주요 실적과 성장 전략을 공개했다. 씨이랩은 인프라-비전-디지털 트윈을 3대 축으로 사업을 재편했다. 상반기에는 고부가가치 AI 솔루션 중심 구조 전환과 판관비 효율화에 집중했다. 그 결과 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6% 증가한 7억 원, 상반기 누적 영업손실은 23억 원으로 39% 개선됐다. 2분기 말 수주잔고는 2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0% 증가했으며 3분기부터 실적인식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AI 인프라 사업에서는 GPU 클러스터 관리 솔루션 아스트라고(AstraGo)가 대기업 그룹사 및 계열사 전반으로 확대 적용되고 있으며 엔비디아 신제품 라인업(DGX B300, DGX Spark)과 결합한 AI 어플라이언스 패키지 판매로 시장 확대를 추진한다. 비전 AI 분야에서는 자체 개발한 비전언어모델(VLM)의 130개 모델 조합을 활용해 산업 데이터를 융합·분석하는 멀티모달 AI 솔루션을 제공한다. 온디바이스, 마이크로, 클라우드CCTV 분석 등 특화 제품 라인업으로 도입 장벽을
국내 제조 지능화 솔루션 전문기업 피아이이가 9월 3일부터 5일까지 코엑스 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1회 산업AI EXPO 2025’에 참가해 AIOps(제조 AI 운영 지능화) 솔루션을 공개한다. AIOps는 AI 모델을 개발·도입하는 단계를 넘어 운영 단계까지 확장하는 엔드 투 엔드(End-to-End) 체계로, 데이터 흐름 감시와 모델 상태 분석, 자동 대응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현장 인력이 직접 개입하지 않아도 이상 상황을 신속히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현재 산업 현장은 자동화 설비를 통해 생산 효율을 높이고 있지만, 장애 대응이나 모델 성능 관리 같은 핵심 운영은 여전히 수작업과 경험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피아이이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자회사 아하랩스와 협력, △데이터 운영(DataOps) △운영 지능화(AIOps) △AI Agent로 이어지는 3단계 통합 체계를 선보인다. DataOps는 현장 데이터를 자동 수집·분석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AIOps는 예지보전 및 이상탐지 모델을 상시 모니터링하며 성능 저하 시 자동 재학습으로 최적 상태를 유지한다. AI Agent는 오류 발생 시 상황을 자연어로
온프레미스와 보안 강화로 국내 기업 맞춤형 AI 자동화 제공 단순 자동화 넘어 생성형 AI와 지능형 워크플로우 지원 AX 솔루션 전문기업 코세나가 글로벌 AI 에이전트 자동화 플랫폼 기업 액티브피시즈와 한국 내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코세나는 액티브피시즈의 온프레미스 엔터프라이즈 버전을 국내 기업과 기관에 공급하고, 현지화된 기술지원과 유지보수를 제공할 계획이다. 액티브피시즈는 최근 전 세계에서 주목받는 AI 기반 워크플로우 자동화 플랫폼으로, 구글, 슬랙, 허브스팟, 오픈AI 등 300개 이상의 글로벌 서비스와 연동이 가능하다. 별도의 코드 작성 없이도 업무 프로세스를 손쉽게 자동화할 수 있으며, AI 기능이 플랫폼 전반에 내재화돼 단순 자동화를 넘어 생성형 AI 연계, 데이터 처리 고도화, AI 에이전트 운영까지 지원한다. 특히 엔터프라이즈 버전은 보안과 안정성을 핵심으로 설계됐다. 클라우드 SaaS 방식은 물론, 자체 서버 구축이 필요한 기업과 공공기관을 위해 온프레미스 배포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유출 위험을 최소화하며, 단일 로그인(SSO), 감사 로그, 권한 관리, 프라이빗 커넥터, AI 모델 연계 등 대규모 기업 환경에 최
글로벌 푸드테크 기업 먼슬리키친 먼키가 자영업자를 위한 새로운 성과형 마케팅 서비스를 선보였다. 이번에 공개된 ‘AI 매출업’ 서비스는 테이블오더 시스템과 결합해 업계 최초로 무(無)위험 성과 연동 구조를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성과가 없으면 비용 부담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외식업 자영업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서비스의 핵심은 매출 증가분에 대해서만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직전 3개월 평균 매출이 1,000만 원인 매장이 ‘AI 매출업’을 적용한 뒤 1,200만 원을 달성했다면, 증가분인 200만 원에 대해서만 수수료가 부과된다. 만약 매출 증가가 없을 경우 수수료뿐 아니라 쿠폰 할인, 발송 비용, 마케팅 비용까지 모두 본사가 부담한다.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자영업자의 마케팅 리스크를 근본적으로 제거한 사례”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성과 측정 방식은 데이터 기반이다. 고객 결제 이력과 주문 패턴을 AI로 분석해 최적의 시점에 맞춤형 쿠폰과 포인트를 제공한다. 기존에는 매장 운영자가 직접 기획해야 했던 마케팅 업무를 AI가 자동으로 수행하면서 불필요한 할인은 줄이고 충성 고객의 재방문율과 객단가를 동시에 높이는 구조를 만들었
사이냅소프트가 지난 27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7회 AI정부 혁신 콘퍼런스’에 참가해 공공 행정 혁신을 위한 문서 AI 전략을 제시했다. 이번 행사에서 사이냅소프트는 공공기관의 AI 활용이 단순 데이터 추출과 질의응답을 넘어 문서 작성과 실질적 활용으로 확장되는 흐름에 발맞춰 자사 기술을 선보였다. 사이냅소프트는 생성형 AI 기반 대화형 문서 검색 솔루션 ‘사이냅 어시스턴트’, 문서 구조 분석 및 데이터 변환 기술 ‘사이냅 도큐애널라이저’, 차세대 광학문자인식(OCR) 솔루션 ‘사이냅 OCR’ 등 3종의 AI 문서 솔루션을 전시했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이 보유한 방대한 문서 자산의 활용도를 높이고 업무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했다. 사이냅 어시스턴트는 기관 내부 문서를 대화형으로 검색·활용할 수 있는 생성형 AI 기반 솔루션이다. 보안 요구가 높은 공공기관 환경을 고려해 온프레미스(On-Premise)를 지원하며 현장에서는 개정 법률 문서 간 비교, 행정문서 초안 작성, 작성된 문서를 곧바로 한글(HWP) 파일로 내보내는 기능 등이 주목을 받았다. 사이냅 도큐애널라이저는 다양한 문서를 구조화된 데이터로 변환하는 엔진이다. 한글(HWP)
로지브라더스가 지난 13일부터 15일까지 서울 코엑스 C홀에서 열린 ‘2025 에듀플러스위크’에 참가해 SW·AI 교육 플랫폼 ‘코드모스(CODMOS)’를 선보였다. 이번 전시회는 15개국 170여 개 기업이 참여한 국내 최대 규모 교육 행사로 교사와 교육 관계자들에게 최신 에듀테크 플랫폼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로지브라더스는 부스를 통해 1900여 개 학습 콘텐츠와 교사용 학습관리시스템(LMS)을 공개 시연했다. 프로그래밍 및 알고리즘, 컴퓨터 기초 역량, AI 리터러시, 데이터 활용 등으로 구성된 콘텐츠를 제공하며 교사에게는 학급 단위 진도 관리, 개별 학습 리포트, AI 기반 추천 커리큘럼 기능을 지원한다. 전시 기간 동안 약 500여 명의 교사들이 부스를 방문해 체험 계정을 통해 학습 콘텐츠와 LMS 기능을 직접 확인했다. 현장에서 디지털선도학교와 대형 기관 관계자들의 도입 문의가 이어지며 코드모스의 수업 활용성과 확산 가능성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 코드모스는 최근 EBS 초등 온라인 서비스 ‘초등온(ON)’에 공식 입점해 공교육 현장으로의 확산을 가속화하고 있다. 교사와 학생이 공신력 있는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역량 교육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
어드밴텍이 NVIDIA의 차세대 Jetson Thor 모듈을 탑재한 고성능 엣지 AI 플랫폼 MIC-743 시리즈를 공식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휴머노이드 로봇, VLM(Vision-Language Model) 등 고성능 산업 워크로드를 지원하는 차세대 엣지 AI 솔루션으로 사전 예약 이벤트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MIC-743은 최대 2,070 TFLOPS(FP4 기준)의 AI 연산 성능을 제공하며 최대 128GB LPDDR5X 메모리와 100GbE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고성능 연산이 요구되는 로보틱스, 영상 분석, 중장비 등 산업 현장에서 실시간 고연산 추론에 최적화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엣지 단에서 LLM(Large Language Model) 및 VLM 기반 추론을 수행할 수 있어 다양한 차세대 산업용 AI 애플리케이션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Jetson AGX Thor는 NVIDIA가 선보인 최신 ARM 기반 SoC(System-on-Chip)로, Transformer 기반 연산과 멀티모달 AI 추론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어드밴텍은 이 모듈을 기반으로 DGX급 성능을 구현하면서도 Holoscan 센서 브릿지, G
알리바바가 디지털 휴먼 영상 제작을 위한 오픈소스 모델 ‘Wan2.2-S2V(Speech-to-Video)’를 공개했다. 이 모델은 인물 사진과 음성 파일만으로 실제 같은 아바타 영상을 구현해, 대화·노래·연기까지 가능한 디지털 캐릭터 제작을 지원한다. ‘Wan2.2-S2V’는 알리바바의 영상 생성 시리즈 ‘Wan2.2’에 포함된 모델로, 단일 이미지 기반으로 고품질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얼굴 클로즈업뿐 아니라 상반신, 전신 구도의 영상까지 구현할 수 있으며 프롬프트 지시에 따라 동작과 배경을 자동으로 생성해 제작자가 의도한 스토리와 디자인을 정밀하게 반영한다. 이번 모델은 음성 기반 애니메이션 기술을 강화해 자연스러운 대화와 음악 공연까지 표현 가능하며 한 장면에서 여러 캐릭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음성 녹음을 사실적인 동작으로 변환할 수 있어 현실감 있는 캐릭터 연출이 가능하며 만화풍·동물·스타일화된 캐릭터까지 폭넓게 지원한다. 해상도는 480P와 720P를 지원해 전문 제작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소셜미디어 콘텐츠부터 프레젠테이션 영상까지 다양한 용도로 적용 가능하다. 기술적 혁신도 두드러진다. ‘Wan2.2-S2V’는 텍스트 기반
사이냅소프트가 자사의 ‘사이냅 에디터’를 케이조선과 포스텍 그룹웨어에 공급했다. 이번 도입은 기존 전자결재 시스템의 브라우저 종속성과 보안 취약점을 해소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됐다. 케이조선과 포스텍은 기존 전자결재 시스템에서 표 편집 기능의 불안정성, MS 오피스 문서와의 호환성 부족 등으로 결재 문서 작성 과정에 많은 시간을 소요해왔다. 그룹웨어 운영 관계자는 “사이냅 에디터는 모든 브라우저를 지원하면서도 MS Office 문서와의 완벽한 호환성, 안정적인 표 편집 기능이 가장 인상 깊었다”며 최종 도입 배경을 설명했다. 사이냅 에디터의 적용으로 두 기관은 결재 문서 기안 시간을 크게 단축하게 됐다. 특히 표 편집 및 오피스 문서 호환성 향상을 통해 작성 오류를 줄이고, 결재 프로세스 속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이냅 에디터는 AI 자동 문서 생성, 실시간 동시 편집, OCR 기반 이미지 텍스트 추출 등 고도화된 기능을 탑재한 차세대 웹 에디터다. MS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아래아한글 등 다양한 형식의 문서를 웹 환경에서 직접 편집할 수 있으며, GS 인증 1등급을 획득해 품질과 신뢰성을 확보했다. 현재 KT, 한화, 롯데,
센드버드가 차세대 음성 자동화 솔루션 ‘보이스 AI 에이전트’를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실제 대화에서 발생하는 변수와 복잡성을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엔터프라이즈급 음성 AI 솔루션으로 고객 상담 환경 전반의 품질을 혁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포레스터가 발간한 ‘The State of AI Agents, 2024’ 보고서에 따르면 대화형 AI 도입은 확대되고 있지만, 멀티 채널 환경에서 자연스럽고 일관된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솔루션은 아직 부족하다. 센드버드는 보이스 AI를 통해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웹사이트, 모바일 앱, 문자 메시지, 이메일 등 모든 접점에서 일관된 상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보이스 AI는 실시간 분석 및 대화 기록을 제공하는 인바운드 음성 상담 기능, 29개 언어 지원 음성 인식·합성 기술, 억양·언어·톤까지 고객 맞춤형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개발자 환경에서의 테스트와 AI 의사 결정 과정의 투명성을 강화해 엔터프라이즈 고객이 요구하는 신뢰성을 충족시킨다. 기술적 차별성도 부각된다. 평균 1초 이하의 응답 속도를 보장하고 잡음·사투리·억양까지 인식하는 능력을 갖췄다. 고객의 의도와 감정적 뉘
씨이랩은 AI 네이티브 기업으로 전환을 선언하고 전사 혁신 로드맵을 27일 발표했다. AI 네이티브는 단순한 AI 기술 도입을 넘어 기업의 문화, 업무, 프로세스 전반에 AI를 내재화해 조직 혁신을 추구하는 전략이다. 씨이랩은 이번 로드맵을 통해 연구개발에서 제품, 운영, 고객 가치 창출까지 이어지는 전주기 혁신 계획을 밝혔다. 씨이랩은 상반기부터 ▲AI코딩 ▲AI 운영 혁신 ▲지식-업무 자동화 ▲AI 인프라 등 네 가지 축을 중심으로 AI 네이티브 전략을 실행해 현장 데이터가 개발·검증·배포·운영으로 순환되는 체계를 구축했다. 개발 과정에서는 코드 작성, 테스트, 보안 점검 전 과정을 AI 코딩으로 자동화하고, 배포·복구 절차를 표준화했다. 이를 통해 코드 생산성이 도입 이전 대비 5배 이상 향상됐으며, 보다 안정적이고 신속한 제품 출시 기반을 마련했다. 운영 단계에서는 사내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AI 기반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실현했다. 내부 지식베이스에 검색증강생성(RAG) 기술을 적용해 챗봇과 언어모델을 연동, 방대한 자료 속에서도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탐색하고 정교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체계를 갖췄다. 또한 고객 데이터와 시장 피드백을 통합 분석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