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알앤디가 4월 6일인 오늘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해리알앤디는 이번 SF+AW 2022에서 응급복구용드럼, 방수 단자함, ODP 케이블 등을 전시한다. HR-RD-3/HR-RD-4는 응급복구로 사용되는 드럼으로, ODP 케이블 장착 후 이동성이 용이하기에 같이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ODP 케이블은 옥내외 관로 및 스틸배관, 덕트경유 시공 시 비교적 튼튼한 외장이 필요한 경우 혹은 현장 접속의 어려움이 있을 때 용이하다. 방수 단자함은 기본적으로 통용되는 단자함뿐 아니라 맞춤 제작품으로도 생산된다. 해리알앤디는 광통신 자재의 연구개발과 시공, 광통신 자재의 판매에 주력하고 있는 기업이다. 해리알앤디는 광통신이 일반화한 시점에서 광통신이 낯선 초보자나 기존의 통신망을 유지하는 운용자 등 많은 사용자 및 설계자 시공업계 종사자와 협업해왔다. 해리알앤디는 최고급의 자재부터 일반화된 자재까지 소비자와 설계자의 입장에 맞는 장비, 자재를 구비하고 주문 생산과 개발을 통해 적기에 제품을 공급하는 신속한 생산과 유통
오즈레이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오즈레이는 이번 SF+AW 2022에서 단파장 적외선 카메라(SWIR), 머신비전용 CMOS 카메라 등 카메라 제품을 전시할 예정이다. 단파장 적외선 카메라(SWIR)는 옅은 안개, 스모그, 반도체 웨이퍼 등 일부 매질을 투과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인간의 시력으로는 보이지 않는 영역대의 영상을 획득해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 가능하다. 머신비전용 CMOS 카메라는 CMOS 이미지 센서와 고속의 영상 획득으로 정밀한 영상처리 솔루션에 최고의 성능을 제공한다. 고품질의 이미지를 수집해 각종 검사에서 높은 효율을 보여주며, 탄탄한 내구성과 합리적인 비용을 자랑한다. 1984년에 설립한 오즈레이는 MATROX Frame Grabber를 비롯한 산업용 카메라를 국내 시장에 공급해오고 있으며, 급변하는 국내 머신비전 시장에서 한발 빠른 기술 지원과 고객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산업용 단파장 적외선 카메라(PAMINA 시리즈)를 직접 개발해
우성일렉트레이드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우성일렉트레이드는 이번 SF+AW 2022에서 레이저 엣지 감지 센서, 광택 측정 센서 시리즈, 컬러 센서 시리즈 등을 전시한다. 레이저 엣지 감지 센서 RED 시리즈에서는 높이 0.03mm에서 시작해 가장자리를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반사광 가장자리 탐지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시리즈의 감지기는 감지 거리와 감지 범위가 넓고 최대 스캔 주파수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포괄적인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통해 RED 시리즈는 터보차저 또는 팬과 같은 주파수 측정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RED 감지기는 케이블이 연선 기계에서 꼬일 때 전선 수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광택 측정 센서 시리즈의 센서는 온라인 광택도 측정에 사용된다. 광택 센서 시리즈는 비접촉식으로 감지한다. 두 가지 다른 방향(직접 반사 및 확산 반사)에서 물체를 동시에 측정하면 독립적인 강도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센서는 특정 표면에 '티칭'된 값 주위에 최대 31개의 to
지엔비(GnB)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지엔비는 이번 SF+AW 2022에서 전동실린더, 중공감속기, 액츄에이터 등을 전시한다. 지엔비가 자체 개발한 미니 전동 실린더는 알루미늄 소재를 채용, 소형/경량의 고 추진력 전동 실린더(Cylinder)다. 지엔비 전동실린더는 소형구조로 공간제약이 있는 장비에 적용할 수있는 이점을 지니고 있으며, 반복 정밀도 및 속도 변경과 가감속 구현에 용이한 구조로 설계됐다. 또한 Table 장착을 통한 소형 액츄에이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응용 범위가 증대됐다. 지엔비 중공감속기(GSR Series)는 지엔비 자체 기술로 개발한 중공감속기로 고강성, 고정밀도를 실현해 높은 신뢰성을 보인다. 고정도 위치결정을 비롯해 부하 관성 및 모멘트 하중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용도/조건에 적용 가능하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의료기기, 로봇 등의 광범위한 산업에 적용된다. 지엔비 액츄에이터(KGB Series)는 Ball Screw를 활용한 산업용 로봇(액츄에이터)으로,
굿모닝계측기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굿모닝계측기는 이번 SF+AW 2022에서 데이터로거 모듈과 노점 습도계, 이더넷 장치 서버 시리즈 제품 등을 전시한다. 온습도 데이터 로거 모듈 DL-100 시리즈는 RS-485 통신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온도, 습도, 이슬점 및 모듈 ID 데이터를 표시하는 LCD 디스플레이가 포함돼 있다. 데이터 저장 메모리는 최대 4088개의 온도 및 습도 기록를 저장할 수 있으며, DL 유틸리티가 포함돼 있어 엑셀로 내보낼 수 있는 강력한 차트 형식의 데이터를 설치, 구성, 검색 및 표시할 수 있다. 시리얼-to-이더넷 장치 서버(Serial-to-Ethernet device servers) 시리즈 tDS-700은 모든 RS-232 및 RS-422/485 장치에 이더넷 및 인터넷 연결을 추가하기 위해서 설계됐고, 레거시 시리얼 통신의 케이블 길이 제한을 없앨 수 있다. VxComm 드라이버/유틸리티를 사용하면 tDS-700 시리즈의 내장 COM 포트를 Windows
힐스엔지니어링은 로봇 전문기업이다. UVC 기능과 약제 분사가 모두 가능하고, 에어서큘레이터로 200°C 고온 살균을 하는 방역로봇으로 CES 혁신상을 두 번이나 수상했다. 그런 이유로 이 기업을 방역로봇 전문기업으로 아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 힐스엔지니어링은 물류로봇을 주축으로 하는 기업이다. 박명규 힐스엔지니어링 대표는 "방역로봇은 코로나 위기가 만들어준 기회"였다고 말한다. Q. 방역로봇을 주로 만드는 기업으로 알고 있었다. A. 방역로봇도 주요 제품이기는 하지만 정확히 설명하면 물류로봇이 바탕이다. 방역로봇은 안내로봇, 도슨트 로봇 등 여러 로봇 라인업 중 하나다. 방역로봇은 코로나 시대에 기존 플랫폼을 응용해 개발한 제품이라고 보면 된다. CES 2020에 참가해 계약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담을 많이 했다. 그 중 3,000억 ~ 5,000억원 규모의 기업으로부터 프리 오더를 받게 됐다. 하지만 코로나가 시작되면서 모든 상담이 물거품 됐고, 어려운 상황을 직면하게 됐다. 그때 아이디어 전환이 왔다. 물류로봇만 고집할 필요가 있을까, 어차피 로봇 플랫폼의 활용성이 높기 때문에 다른 로봇도 만들 수 있는 상황이었고, 논의와 연구 끝에 방역로봇을 만들게
위너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위너는 이번 SF+AW 2022에서 자체 개발한 직교로봇을 선보인다. 위너는 특별한 오픈 스크류를 적용해 정밀한 반도체를 제조하고 민감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공하는데 사용되는 직교로봇 빅이어를 선보일 예정이다. 빅이어는 길이가 10미터 이상으로 길어지게 구성돼 있으며, 이동속도가 무려 7배 이상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모터의 효율 높아짐에 따라 스크류의 위치정밀도도 높아지게 되었고, 소음이 적다. 함께 전시될 세로(SERO)는 스피드 가이드의 신기술이 집적된 리니어 모듈이다. 유격조절이 쉽고, 고속 주행 시에도 정숙 주행을 보장한다. 또한 복열 트랙롤로 베어링과 초정밀 열처리 샤프트를 이용해 동급 대비 우수한 부하능력과 주행 정밀도를 지니며 자체적인 밀폐구조로 인해 방진성능이 우수하다. 위너는 샤프트와 롤러, 스크류 전문기업이다. 열처리, 크롬도금, 정밀 연삭기술을 통해 직경 Ø4mm~Ø80mm까지 6000mm의 장축용 샤프트 및 다양한 종류의 트랙롤러 베어링을
노바인스트루먼트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노바인스트루먼트는 이번 SF+AW 2022에서 데이터로거, 압력센서, 노점측정기 등 제품을 전시한다. 노바인스트루먼트는 Driesen + Kern의 데이터로거를 전시할 계획이다. 기본 8, 16채널 구성의 데이터로거는 온도, 습도, 풍속, 압력 등 다양한 센서와 연결해 사용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온도센서는 열전대 및 저항식 PT100센서의 연결이 가능하며, 특히 PT100센서의 경우 ± 0.3℃ 의 정확도를 가지고 있다. SD카드를 이용해 최대 1억개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다. Halstrup-Walcher의 다양한 차압센서 및 차압 교정장비도 전시된다. P26, P34 차압센서의 경우 최소 10 Pa 범위로 다양한 옵션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전류 및 전압 출력을 이용해 측정 값을 외부에 전달할 수 있으며 범위에 따라 정확도 0.2% F.S까지 구성할 수 있다. 센서 뿐만 아니라 KAL100, KAL200과 같은 차압컨트롤러를 이용해 다양
세솔이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세솔은 이번 SF+AW 2022에서 엣지 컴퓨팅 시스템을 선보인다. 세솔의 엣지 컴퓨팅 시스템 TANK-880-Q370는 고성능 CPU와 풍부한 I/O를 갖추고 있으며, AI 추론 모델을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Mustang AI Accelerator 카드, POE 카드 등 애드온 카드용 확장 슬롯이 여러 개 포함돼 있어 클라우드에서 작업량을 줄이고 데이터를 보다 빠르게 정리하고 필터링할 수 있다. 세솔은 1992년 창립 이래 PC 아키텍쳐를 기반으로 한 각종 전용 컨트롤 모듈을 개발/생산해오고 있다. 모듈 설계에서부터 Device Driver Porting, O/S Porting, 기구 설계까지 전 과정에 이르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안정성, 호환성, 내구성이 뛰어난 제품을 공급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Smart Factory+AutomationWorld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코엑스1층과 3층 전관을 사용하는 국
데키스트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데키스트는 이번 SF+AW 2022에서 네트워크 계측기, 온도관리 데이터로거, 가스/공기질 데이터로거 등 계측기 라디오노드' 제품군을 전시한다. 라디오노드 네트워크 계측기 RN400는 와이파이를 내장한 환경 계측기다. 온도, 습도, 가스 등 다양한 센서를 지원한다. 기업용 와이파이 보안을 지원하고 고객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강화된 내구성으로 저온에서도 얼지 않는 OLED화면과 IP65 이상의 방수방진 설계가 특징이다. 라디오노드 온도관리 데이터로거는 고가의 약품, 구하기 어려운 백신, 중요한 검체 등의 소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측정한 데이터, 센서 값은 원하시는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때문에, 번거롭게 수기로 기록지를 더 이상 쓰지 않아도 되고, 언제 어디서든 보관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라디오노드 가스/공기질 모니터링 데이터로거는 미항공우주국 NASA에서도 사용 중이다. 원격으로 본사나 중앙 관리센터에서도 현장의 밀폐공간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스토브리코리아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스토브리코리아는 이번 SF+AW 2022에서 소형 MPS, CombiTac, TS2 등 다양한 로봇, 부품 들을 전시한다. 스토브리의 넓은 범위의 MPS 제품군은 모든 제조업체와 모든 가반하중 범위의 로봇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한다. MPS(ATC)는 자동화된 제조 프로세스에서 최대 생산성을 발휘한다. CombiTac은 신호,공압,데이터,광통신,전원,유압,동축 등 다양한 모듈을 고객의 원하는 사양에 맞추어 조립 가능한 고객맞춤형 제품으로, 수동 및 오토도킹타입 모두 사용 가능하며 각종 자동화검사, 로봇, 기계설비, 테스트장비 및 철도차량 등의 다양한 산업군에 사용 가능하다. 특히 당사 특허기술인 멀티램을 사용해 10만회 이상의 도킹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접촉 저항을 최소화해 전기적 성능을 보다 안전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Stäubli의 새로운 4축 SCARA 로봇 시리즈인TS2 모델은 모듈식으로 설계를 진행했으며, Stäubli 특허의 드라이브 기
쎄텍이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쎄텍은 이번 SF+AW 2022에서 토크트랜스듀서, 너트런너를 선보인다. 토르크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 방식의 내부 비틀림을 신호처리해 직접적으로 아날로그 신호를이용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토르크를 측정, 제어하는 장치다. 나사체결기 STNR TYPE의NUTRUNNER는 소형경량으로 설치, 운전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구동 MOTOR는 AC SERVO를 채택해 BRUSH 교환이 필요 없고, SEQUENCE 제어가 용이하다. 토르크효율을 향상시켜 ±0.5%대의 고정밀도를 실현했으며 일정한 토크로 볼트 및너트를 체결하는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쎄텍은 스트레인 게이지 방식을 방식의 토르크 트랜스듀서, 로드셀, 너트런너, 인디게이터, 변위변환기와 디지털 인디게이터, 증폭기 등을 제조, 판매하는 종합계측기 메이커다. 회전형 토르크 트랜스듀서 및 너트런너를 국내 최초로 개발해 자동차 및 부품 관련메이커의 생산설비에 다수 채택되어 좋은 호평을 받아 왔다. 동남아시아,
키슬러코리아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키슬러코리아는 이번 SF+AW 2022에서 막시모, 키닥, 랩앰프 등 측정 장비를 전시한다. 막시모는 제조 및 조립 공정에서 검사 절차의 조기 수행으로, 불합격품의 발생율을 낮출 수 있도록 한다. 키닥은 압력, 포스, 가속도, 토크 등의 센서의 출력 신호를 DAQ에 입력하여, 실시간 신호 모니터링 및 원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센서 데이터 측정 장비다. 랩앰프는 키슬러에서 출시한 앰프 & DAQ 장비로 가속도센서(IEPE/ICP), 피에조쿼츠 센서, 전압출력 센서를 입력해 실시간으로 센서 신호를 모니터링하며, 센서의 원신호를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는 장치다. 키슬러코리아는 귀사의 개별 요구에 맞는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force sensor, Torque sensor, pressure sensor 등 여러 종류의 센서와 데이터 수집을 위한 고급 장치 및 품질 관리에 탁월한 모니터링 시스템 등 고품질 센서 기술의 전체 측정 체인을 제공한다. 한편,
이플랜코리아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이플랜코리아는 이번 SF+AW 2022에서 하네스케이블 2D/3D 설계 솔루션, 3D 제어반 및 배전반 설계 솔루션, 전기 설계 표준화 솔루션 등을 선보인다. 하네스케이블 2D/3D 설계 솔루션은 2D/3D 공간 안에서 케이블과 와이어 하네스 경로를 쉽게 정의한다. 또한 배선과 케이블을 완전 자동으로 배치하고, 케이블 스트레스 검사 및 케이블 오류 체크가 가능하다. 하네스 케이블 제작에 필요한 네일보드와 BOM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3D 제어반 및 배전반 설계 솔루션은, P8의 회로 설계를 3D 상에서 판넬에 배치하고 장치간의 배선을 자동으로 연결해 케이블의 연결 경로와 길이를 최적화한다. 또한, 장치간의 간섭체크, 케이블 덕트의 용적률 계산, 판넬의 Hole 가공과 같은 NC 데이터를 생성한다. 전기설계 표준화 솔루션 EPLAN Electric P8은 자동화 장비 및 설비의 전기 회로를 설계하고, 제작, 시운전, 유지보수에 필요한 각종 보고서를 자동으로
미키풀리코리아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미키풀리코리아는 이번 SF+AW 2022에서 유압식 파워락, 커플링, 전자 브레이크, 전자 클러치 등 제품을 전시한다. 유압식 파워락은 소형 및 경량으로 심플하고, 착탈이 간단하고, 위치 결정이 정확하고, 계산이 용이하며, 설계에서부터 조립, 조정, 유지보수까지의 작업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축과 축을 연결할 때 두 축의 중심을 완벽하게 맞추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다. 또한 기계장치 운전에 의한 축의 휨, 축의 열팽창, 장시간 사용 후 지지대의 뒤틀림, 축받이 마모 등으로 인해 중심 맞추기를 유지하기는 더욱 어려워진다. 미키풀리 커플링 제품군은 범용모터는 물론이고 초정밀 제어가 필요한 서보모터, 커다란 진동 및 충격이 발생하는 엔진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전자 클러치·브레이크는 이름 그대로 코일에 통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전자력으로 기계의 연결, 분리, 제동, 유지를 실행하는 장치다. 미키풀리 전자 클러치·브레이크 제품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