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AI·로봇 업체 8개사와 ‘농업·필드 인공지능(AI) 로봇 산업 발전 협의체’ 발족 노동력 부족 등 농업 현장의 구조적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뉴로메카가 국내 농업 현장 고도화를 목표로 한 ‘농업·필드 AI 로봇 산업 발전 협의체’에 합류했다. 이번 ‘농업·필드 인공지능(AI) 로봇 산업 발전 협의체’는 뉴로메카·대동로보틱스·대동에이아이랩·뉴빌리티·에이딘로보틱스·코라스로보틱스·투모로로보틱스·티랩스 등 AI·로봇 분야 업체 총 8개사가 참여한다. 연합 멤버들은 AI 모델, 자율주행, 데이터 분석, 로봇 손·팔 등 각 사의 핵심 기술을 공유할 예정이다. 특히 다종·이기종 로봇 통합관제 시스템인 플릿 운영 관리(Fleet Operations Management) 등도 공동 연구와 사업화를 통해 개발·고도화된다. 뉴로메카는 협의체 참여에 앞서 자사 스마트팜 로봇 ‘모비애그리(Moby-Agri)’를 선보인 바 있다. 모비애그리는 뉴로메카와 농업 기술 스타트업 ‘아이오크롭스’가 함께 개발한 농업용 서비스 자동주행로봇(AMR)이다. 자율주행 기능으로 농업 현장을 누비며 농작물을 촬영한다. 또한 여기서 도출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AI로 분석해 작물 상태를 모니터링하
보쉬와 알리바바 그룹이 전략적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AI·클라우드·전자상거래 기반의 글로벌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한다. 양사는 클라우드 기반 기업 운영, AI 혁신, 전자상거래 확장을 중심으로 협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보쉬는 모빌리티, 산업기술, 소비재 분야의 전문성을, 알리바바는 클라우드·AI 역량과 전자상거래 시장 도달력을 결합해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창출할 계획이다. 탄야 뤼케르트 보쉬 경영이사회 멤버는 “AI는 보쉬의 사업 전반에서 혁신을 견인하는 핵심 촉매제”라며 “알리바바와의 협력으로 효율성과 혁신을 동시에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차이 알리바바 그룹 회장도 “보쉬와 함께 글로벌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협력은 보쉬의 ‘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러’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과 AI 기술 협력을 통해 자동차, 가전, 상용차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운영 효율과 제품 인텔리전스를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큐원 기반 멀티모달 모델을 적용해 차량 내 스마트 콕핏 경험을 개선하고, 자율주행 솔루션의 장면 인식 정확도 향상도 검토 중이다. 전자상거래 확대도 주요 축이다. 보쉬는 알리바바 플랫폼을 활용해 2025
셰플러와 비테스코 합병 후, 첫 IAA 모빌리티 전시회 참가 전동화·자율주행 통합 솔루션…글로벌 모빌리티 시장 공략 글로벌 모션 테크놀로지 기업 셰플러가 오는 9월 8일부터 12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IAA 모빌리티 2025’에 참가해 약 140종의 혁신 기술과 제품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와의 합병 이후 첫 공식 무대라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셰플러는 이번 전시에서 전동화 모듈형 부품과 통합 시스템(EMR4), 섀시 및 차체 솔루션,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솔루션을 중심으로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겨냥한 확장된 포트폴리오를 공개한다. 특히 EMR4는 전동 모터, 인버터, 감속기를 결합한 3-in-1 통합 구동 시스템으로, 경기도 이천의 셰플러코리아 사업장에서 직접 제조·공급되고 있다. 해당 제품은 구 비테스코의 전력전자 기술과 셰플러의 기계 기술이 결합된 대표적인 합병 시너지 사례로 평가된다. 마티아스 징크 셰플러 파워트레인 & 섀시 CEO는 “비테스코와의 합병으로 전장 및 소프트웨어 역량을 강화해 E-모빌리티 분야의 경쟁력을 한층 높였다”며 “통합된 시스템 솔루션 제공을 통해 자동차 기술 포트폴
주식·가상자산·부동산 아우르는 전략형 CEO 양성 과정 의료·세무·승계·멘탈 관리까지 포괄하는 종합적 커리큘럼 한양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경영교육원이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자산관리 교육 과정 ‘미래재테크 최고경영자과정’의 강사진을 공개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급변하는 금융 환경 속에서 AI와 데이터를 활용해 전략적 자산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미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최고경영자(CEO)형 리더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 과정은 한양대 공과대학의 기술력과 경영전문대학원의 실무 중심 교육을 결합해 기존 최고위 과정과 차별화를 꾀했다. 단순한 투자 지식 전달에서 벗어나, 주식·부동산·가상자산은 물론 AI 자동매매, 블록체인, 아트 투자까지 아우르는 미래형 대체투자 전략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점이 특징이다. 강사진 역시 업계 최전선에서 활약 중인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주식 분야에서는 실전 투자대회 5회 우승 경력을 가진 남석관 베스트인컴퍼니 대표와 대중에게 친숙한 이진우 3PROTV 부사장이 참여한다. 또한 AI를 접목한 주식투자 프로그램을 개발한 곽경일 강사가 합류해 이론과 실무를 균형 있게 전달한다. 가상자산 강의는 오태민 오태버스 대표가
글로벌 액셀러레이션 프로그램 ‘HFX’ 최종 선정 파인더스에이아이가 일본 훗카이도에서 개최된 글로벌 액셀러레이션 프로그램 ‘홋카이도 F 빌리지 X(HFX)’에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올해부터 일본 진출을 본격화한 파인더스에이아이는 AI 자동 계산대 ‘Vision Check-Out’(이하 VCO)의 가능성과 역량을 인정받아, 세계 29개국 310개 기업이 지원한 이번 프로그램에서 약 28대 1의 경쟁률을 뚫고 11개의 선정 기업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HFX는 훗카이도에 위치한 인근 지역의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는 글로벌 프로그램으로, 스크럼벤처스와 스크럼스튜디오가 주관하며 거점은 홋카이도 기타히로시마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볼파크 F빌리지다. 스타트업·파트너 기업·지자체가 협력하며 주요 파트너사로 야마토홀딩스, JTB, 도큐부동산, 홋카이도 기타히로시마시 등이 참여한다. 일본 홋카이도는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인한 인력 부족이 심각한 지역으로 꼽힌다. KIET(산업연구원)에 따르면, 홋카이도는 일본 평균보다 약 10년 빠르게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일본 정부 역시 이에 대응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파인더스에이아이는 이러한 지역 사회의
원프레딕트가 ‘AI 팩토리 회사’라는 새로운 브랜드 태그라인을 내걸고 차세대 산업AI 플랫폼을 선보였다. 원프레딕트는 9월 3일부터 5일까지 코엑스 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1회 산업AI 엑스포’에 참가해 주력 솔루션과 산업AI 운영체제를 공개한다. 이번 전시는 자율제조AI 전문기업으로 공식 포지셔닝하는 첫 무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번 전시에서 공개된 핵심은 산업AI 운영체제 ‘AI 팩토리 OS’와 이를 구성하는 제조데이터 플랫폼 ‘cyclone’, 설비·공정 단위 성능 관리 플랫폼 ‘가디원 pdx’다. cyclone은 제조 현장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데이터를 수집·정제·관리하는 기반 플랫폼으로 데이터 자산화와 AI 모델 운영을 지원한다. 가디원 pdx는 설비와 공정 전반의 상태를 진단·예측하는 통합 플랫폼으로 예지보전(Predictive Maintenance)과 품질예측(Predictive Quality)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이미 검증된 바 있다. 원프레딕트는 AI 팩토리 OS를 통해 단일 장비 모니터링을 넘어 공장 전체를 아우르는 지능형 운영체제를 제공한다는 전략을 내세웠다. cyclone과 pdx가 이 플랫폼의 핵심
몽고DB(MongoDB)가 AI 시대를 맞아 데이터베이스 현대화 전략과 주요 고객 사례를 공개했다. 지난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몽고DB 닷로컬 서울(MongoDB.local Seoul)’ 행사와 함께 진행된 미디어 브리핑에서 몽고DB는 최신 기술 동향과 국내외 도입 사례를 공유하며 기업들의 비즈니스 현대화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이번 행사는 전 세계 21개 주요 도시에서 개최되는 몽고DB 연례 기술 교류의 일환으로 서울은 아시아 지역 핵심 무대로 꼽혔다. 기조연설을 맡은 톨스튼 발터(Thorsten Walther) 몽고DB CXO 어드바이저 매니징 디렉터는 AI가 불러올 산업 전반의 변화와 이에 대응한 데이터베이스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현재 AI는 모든 것을 바꾸고 있으며 특히 개발자에게 전례 없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 5만여 고객들이 공통으로 직면한 과제는 세 가지다. 더 빠른 개발, 복잡성 없는 애플리케이션 구축, 그리고 기술 부채를 청산하는 현대화의 시급성”이라며 “몽고DB는 이러한 과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발터 디렉터는 또한 레거시 시스템의 한계를 지적하며 “오라클에서 포스트그레
인섹시큐리티가 오픈소스 공급망 공격의 심각성을 경고했다. 인섹시큐리티는 옵스왓(OPSWAT)의 최근 연구 결과를 인용하며 오픈소스 및 서드파티 소프트웨어 의존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공급망 보안 위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주요 인프라 보호 분야 글로벌 기업 옵스왓의 분석을 기반으로 한다.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은 npm, GitHub 같은 오픈소스 저장소에서 다수의 패키지를 가져와 조립하는 방식이 일반화됐다. 이러한 의존성이 늘어나면서 악성 코드가 삽입된 패키지를 통해 연쇄 피해가 발생하는 공급망 공격 위험이 확대되고 있다. 실제로 ESLint 관련 오픈소스 패키지인 eslint-config-prettier가 공격에 악용된 사례가 확인됐다. ESLint는 전 세계 개발자가 자바스크립트 코드 품질 검사를 위해 주간 3100만 회 이상 다운로드하는 도구다. 단 한 번의 피싱 공격이 수백만 프로젝트에 파급 효과를 일으킨 셈이다. 공격은 npm 공식 메일을 사칭한 피싱 이메일에서 시작됐다. 해커는 유지보수 관리자의 액세스 토큰을 탈취한 뒤 악성 버전(8.10.1, 9.1.1, 10.1.6, 10.1.7)을 npm 레지스트리에 배포했다. 동일 관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Hexagon Manufacturing Intelligence, 이하 헥사곤)는 지난 3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헥사곤 라이브 이노베이션 서밋 코리아 2025(Hexagon Live Innovation Summit Korea 2025)’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서밋에서 헥사곤은 ▲정밀 측정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지오매직 리버스 엔지니어링 및 품질 검사 솔루션 ▲CAD/CAM 소프트웨어 ▲라이카 지오시스템즈의 3D 스캐닝 기술을 선보이고, 포트폴리오 기반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해 디지털 혁신과 정밀 측정의 미래를 조명했다. 행사 기조연설은 림분춘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 아세안·태평양·인도 지역 사장이 맡아 정밀 측정과 스마트 디지털 트윈이 제조업 혁신을 견인하는 핵심 동력임을 강조했다. 그는 포레스터와 발간한 ‘2025 첨단 제조 산업 보고서’를 인용하며 디지털 트윈이 기업의 민첩성과 품질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투자 영역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어 헥사곤이 정밀 측정 기술과 데이터 기반 솔루션으로 이러한 산업 전환을 지원하며 제조업이 자율성과 경쟁력을 갖춘 미래로 나아가도록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한국딥러닝이 제조업 현장에 특화된 문서 자동화 솔루션 ‘딥 에이전트 for 제조’를 출시했다. 이번 솔루션은 견적서·주문서 ERP 연동, 다국어 혼합 수기 문서 구조화, 장문 점검 보고서 핵심 정보 추출 등 다양한 제조업 문서 자동화 사례를 기반으로 개발됐다. 작업 지시서, 공정 이상 보고서, 설비 점검표, 공정 검사기록표 등 비정형 문서를 사전 학습 없이 자동 인식하고 구조화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딥러닝이 4억 장 이상의 문서 데이터로 학습시킨 VLM(Vision-Language Model) 기술이 적용돼 이미지와 텍스트를 동시에 처리하고 문서 전체 구조와 의미를 이해한다. 이를 통해 특정 포맷에 의존하지 않고도 다양한 양식의 문서를 즉시 처리할 수 있다. 기존 OCR 솔루션은 포맷이 달라지면 별도 템플릿 구성과 반복 학습이 필요했으나, 이번 솔루션은 협력사별 상이한 양식이나 전산 미연동 종이 문서 처리에도 제약이 없다. 또한 제조업 현장의 특성을 반영해 공정별 용어·단위 사전이 탑재됐다. 사출공정의 ‘C/T’, ‘사출온도’, 검사공정의 ‘NG판정’, ‘편차’ 등 기존 OCR이 인식하기 어려웠던 전문 용어를 정확하게 인식한다. 수기 인식, 표 해석
델 테크놀로지스가 사이버 복원력 강화를 위해 올플래시 기반 백업 어플라이언스 신제품을 선보였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4일 파워프로텍트 데이터도메인 올플래시(Dell PowerProtect Data Domain All-Flash) 어플라이언스를 출시하고, 파워프로텍트 제품군 전반에 걸쳐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생성형 AI 확산으로 데이터 폭증이 예상되는 가운데, 88%의 기업이 데이터 증가를 우려하지만 이 중 65%는 절반 미만의 데이터를 백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는 단순한 혁신을 넘어 사이버 회복탄력성을 기반으로 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공격 표면 감소, 위협 탐지, 신속한 복구 지원을 핵심 전략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파워프로텍트 데이터도메인은 온프레미스와 멀티클라우드 환경 전반에서 강력한 사이버 복원력을 지원하며, 전 세계 1만5000개 이상의 고객이 활용하고 있다. 김경진 델 테크놀로지스 총괄사장은 “사이버 복원력은 단순 방어가 아니라 혁신을 위한 촉매제”라며 “중요 데이터를 보호하고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해 기업이 본연의 발전과 가치 제공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
세일즈포스가 글로벌 CFO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CFO들은 AI 에이전트 활용을 통해 비용 절감과 매출 성장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으며,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까지 혁신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일즈포스는 모닝컨설트와 함께 한국을 포함한 24개국의 CFO 26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78%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AI 활용을 확대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72%는 AI가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CFO들은 AI를 단순 반복 업무 자동화 도구가 아닌 전략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핵심 기술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 CFO들은 AI 예산의 약 25%를 에이전틱 AI에 투입하고 있으며, 74%는 AI 에이전트가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매출 성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64%는 AI 에이전트가 기업의 지출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AI 에이전트를 도입한 기업은 평균 매출이 약 2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CFO의 55%는 AI 에이전트가 단순 업무보다 전략적 업무를 더 많이 수행할 것이라고 예측
플래티어가 AWS 마켓플레이스에서 ‘CPPO(채널 파트너 프라이빗 오퍼)’ 자격을 획득하고 아틀라시안 전문 서비스 2건을 공식 등록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성과로 플래티어는 국내 기업 고객에게 AWS 예산을 활용한 합리적인 구매 방식과 한층 강화된 디지털 전환 지원 체계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AWS 마켓플레이스는 전 세계 기업들이 소프트웨어, 데이터, 전문 서비스를 간편하게 탐색·구매·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글로벌 디지털 카탈로그다. 이번 CPPO 자격 획득으로 플래티어는 고객과 직접 계약을 체결하고 맞춤형 가격 모델을 제안할 수 있는 권한을 확보했다. 또한 아틀라시안 전문 서비스 2건이 새롭게 등록됐다. 첫 번째는 ‘아틀라시안 엔터프라이즈 ITSM & 기술 지원’ 서비스로, 플래티어는 지라 서비스 매니지먼트(Jira Service Management) 기반 ITSM 전환 컨설팅, 아틀라시안 인증 엔지니어의 엔터프라이즈 기술 지원, 매니지드 서비스, 맞춤형 교육까지 폭넓게 제공한다. 두 번째 서비스는 ‘아틀라시안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으로, 데이터센터 버전 등 온프레미스 환경을 클라우드로 이전하도록 6단계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체계적 이전을
다원시스는 3일 ITER(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국제핵융합실험로)과 약 900억 원 규모의 전자사이클로트론(EC)용 고전압 전원장치(EC-HVPS) 개발 및 제작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ITER 프로젝트는 태양의 핵융합 원리를 지구에 구현해 무한 청정에너지 상용화를 목표로 추진되는 세계 최대 과학기술 프로젝트다. 유럽연합(EU), 미국, 중국, 러시아, 인도, 한국 등 7개 회원국이 참여하고 있으며 차세대 에너지 시장의 핵심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이번 계약으로 다원시스는 ITER 핵심 장비 운용에 필요한 고정밀·고신뢰 전원장치를 공급하게 됐다. 회사 측은 이번 성과가 수년간 축적한 고전압·대전류 전원장치 설계 및 제작 노하우가 글로벌 시장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ITER 프로젝트 완수를 통해 핵융합 발전 상용화에 기여하고 차세대 청정에너지와 스마트 전력 솔루션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다원시스는 이번 계약을 계기로 국제 대형 프로젝트를 완수할 수 있는 국내 유일 전력전자 전문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했다고 평가했다. 회사는 이번 성과를 발판으로 스마트그리드
코윈테크가 중국의 지능형 로봇기업 아이플러스모봇(IPLUSMOBOT)과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글로벌 협력을 통한 로보틱스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양사는 ▲차세대 자율주행로봇(AMR) 플랫폼 공동 기술 개발 ▲스마트팩토리 턴키 솔루션 협업 ▲AI 기반 자율 주행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 ▲유럽·북미 등 해외 네트워크 확장을 주요 협력 과제로 설정했다. 코윈테크와 아이플러스모봇은 각각 AMR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빠른 시너지 효과가 예상된다. 아이플러스모봇은 중국 산업용 물류 Natural Navigation(환경 인식 기반) AMR 점유율 1위 기업으로, 반도체·FPD·식품·제약 등 200여 개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으며 최근 지능형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도 나서고 있다. 코윈테크는 고정밀 도킹 기술 기반 AMR과 스마트팩토리 턴키 구축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아이플러스모봇의 3D 레이저 SLAM, Vision, IMU 등 퓨전 내비게이션 기술 및 대규모 로봇 납품 경험을 결합해 경쟁력을 높일 방침이다. 또한 AI 기반 소프트웨어로 고도화된 AMR을 개발해 산업 현장에서 안정적이고 유연한 공급 체제를 구축하고, 이차전지·반도체·자동차 등 제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