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조업은 여전히 ‘규모’와 ‘속도’로 세계를 설득한다. 2023년 제조업 부가가치는 4163억 달러(약 591조 원)으로 평가된다. 이는 국내총생산(GDP) 내 24.31%의 비중이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상위권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들 통계는 모두 세계은행(World Bank) 분석에 근거한다. 이 구조는 우리나라를 전형적인 ‘제조 강국’으로 인식시켰고, 이제는 다음 과제로 생산성·효율성의 차세대 도약을 요구한다. 이와 동시에 우리 제조업은 글로벌 제조 트렌드에 발맞추기 위한 기반 마련에 한창이다. 이 가운데 국내 자동화 밀집도는 이미 글로벌 최상위권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국제로봇연맹(IFR)이 지난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제조업 종사자 1만 명당 산업용 로봇 1012대로 전 세계 1위를 유지했다. 이 지표는 최근 7년간 세계 평균을 두 배로 끌어올린 흐름과 맞물려 있다. 하지만 글로벌 평균 로봇 밀도가 같은 해 177대인 것을 감안하면, 우리나라 제조 현장에 얼마나 많은 로봇이 있는지 보여주는 항목이다. 그리고 이 양상은 우리나라가 글로벌 제조업 패권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한다. 로봇 외의 자동화 도입 지표의 상
삼성SDI — ESS Capa 확대와 보상금 반영 기대, 2026년 흑자 전환 구간 진입 한화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삼성SDI(006400)는 2025년 매출 12조 9,680억 원(-21.8% YoY), 영업적자 1조 6,570억 원(OPM -12.8%)으로 부진하겠지만, 2026년에는 매출 16조 5,050억 원(+27.3%)과 영업이익 328억 원(OPM 2.0%)으로 흑자 전환이 예상된다. 3분기 실적은 매출 3조 524억 원, 영업적자 5,193억 원으로 컨센서스를 하회했으며, EV 배터리 보상금 인식 지연과 ESS 관세 부담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보고서는 “4분기 보상금 반영과 미국 ESS 라인 양산이 실적 개선을 이끌 것”이라며 “2026년 미국 ESS Capa 30GWh 달성을 통해 북미 중심의 회복세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목표주가는 36만 원(상승 여력 +15%). 삼성물산 — 바이오 호조와 건설 반등 동시 확인, 원전 모멘텀 가세 한화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삼성물산(028260)은 2025년 매출 40조 5,050억 원(-3.8% YoY), 영업이익 3조 3,220억 원(+11.4% YoY, OPM 8.2%)으로 안정적 성
종합물류기업 한진이 2025 APEC 정상회의 참가자들의 수하물을 인천국제공항에서 경주 숙소까지 당일배송하는 서비스를 운영한다. 한진은 29일 “APEC 정상회의를 위해 인천공항으로 입국하는 각국 정상단 및 대표단의 수하물을 경주 숙소까지 당일 운송하는 전용 서비스를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외교부 APEC 정상회의 준비기획단이 공식 안내한 참가자용 전용 사이트를 통해 공지됐다. 서비스는 30일까지 운영되며, 인천국제공항 제1·2여객터미널 내 한진 인천공항택배영업소에서 오후 1시까지 접수된 수하물은 당일 오후 10시 이전까지 경주의 45개 지정 숙소로 배송된다. 이를 통해 회의 참석자들은 짐 운송의 번거로움 없이 이동에 집중할 수 있다. 한진은 공항 내 영업소에 전담 접수 창구를 마련하고, 안내 책자·홍보 배너를 설치해 현장 서비스 접근성을 높였다. 또한 수하물 접수부터 운송, 인도까지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물류 추적 시스템을 적용해 서비스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강화했다. 특히 이번 APEC 정상회의에는 지난 23일 공개된 한진의 신규 CI가 적용된 택배차량이 투입된다. 신규 CI 차량이 국제 행사에 공식 투입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글로벌 반도체·전자부품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가 전 세계 엔지니어와 혁신가들이 참여하는 글로벌 경연대회 ‘2025 미래를 여는 설계 콘테스트(Create the Future Design Contest)’의 결선 진출자를 공식 발표했다. ‘미래를 여는 설계 콘테스트’는 삶의 질 향상과 지속가능한 기술 발전을 목표로 2002년부터 매년 열리는 글로벌 혁신 경연대회다. 올해 대회에는 100여 개국에서 수천 명의 참가자가 출품한 설계 아이디어가 접수됐으며, 그중 7개 부문별 우수 혁신 기술이 최종 결선에 올랐다. 마우저는 10년 이상 이 콘테스트를 후원해왔으며, 올해는 인텔(Intel)과 아나로그디바이스(Analog Devices, ADI), 콤솔(COMSOL) 등이 공동 후원사로 참여했다. 주관은 SAE 인터내셔널의 계열사인 SAE 미디어 그룹과 테크 브리프(Tech Briefs) 매거진이 맡았다. 이번 결선에는 항공우주·전자·의료·로보틱스 등 폭넓은 분야의 혁신 아이디어들이 선정됐다. 주요 프로젝트는 ▲사일런트 센트리(Silent Sentry): 스텔스 탐지 및 전장 생존력 향상을 위한 수동 센서 ▲오디오 D/A 성능 1
싱가포르 재생에너지 기업 거린에너지(Gurīn Energy)가 스페인 재생에너지 개발사 EDP 리뉴어블스 아시아태평양(EDP Renewables APAC)의 국내 풍력·태양광 프로젝트 포트폴리오를 인수하며 한국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거린에너지는 지난 24일 EDP 리뉴어블스 APAC이 보유한 한국 내 풍력 및 태양광 프로젝트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를 통해 거린에너지는 국내 재생에너지 시장에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하게 됐다. 인수 대상 프로젝트의 총 발전용량은 303MW 규모로, 이번 인수 이후 거린에너지가 한국에서 개발 중인 전체 포트폴리오는 600MW 이상으로 확대됐다. 회사 측은 이러한 확장을 통해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확대와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할 계획이다. 거린에너지는 “이번 프로젝트들이 완공되면 정부의 2030년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과 탄소중립 로드맵 이행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망 구축을 위한 장기적 투자 확대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인수는 거린에너지가 한국 시장에 대한 전략적 의지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행보다. 거린에너지는 지난달 광주에 위치한 한국 본사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서
한국의 유망 스타트업들이 동남아와 글로벌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기 위해 싱가포르에서 열린 ‘커넥트 2025(CONNECT 2025)’에 참가했다. 이번 행사는 스타트업 전문 액셀러레이터 티비지파트너스(TBZ Partners)가 주최하는 글로벌 로드쇼로, 2022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28일 싱가포르 구오코 미드타운 네트워크 허브에서 열린 이번 포럼에는 바이오·헬스케어·딥테크 분야의 혁신 스타트업 14개사가 참가했다. 이들은 글로벌 대기업과 투자자, 연구기관, 정부 관계자 등과 함께 기술 설명회와 오픈 이노베이션 상담을 진행했다. 참가 기업에는 차세대 수술용 칼날을 개발하는 ‘크레센’, 정신과 치료 효율 향상 솔루션을 제공하는 ‘리소리우스’, 매출채권 기반 중소기업 자금조달 플랫폼 ‘276홀딩스’, 빌리루빈 기반 신약 개발사 ‘빌릭스’ 등 다양한 분야의 성장 기업이 포함됐다. 특히 크레센은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타트업 박람회인 ‘스위치(SWITCH) 2025’의 글로벌 경진대회 ‘슬링샷(Slingshot)’ 본선에 진출하며 현지 투자자들의 큰 주목을 받았다. 올해 커넥트 2025는 27일부터 4일간 진행됐으며, 바이오·헬스케어 포럼, 스타트업 IR 피
로지스올그룹이 일본 최대 파렛트 풀링 전문기업 JPR(Japan Pallet Rental)과 함께 진행한 ‘로지스올·JPR 인적교류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교류는 한·일 물류산업의 상호 발전과 글로벌 인재 역량 강화를 위한 실무형 프로그램으로, 양사 간 40년 이상 이어온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추진됐다. 프로그램은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3박 4일간 한국에서 진행됐다. 영업, 회수, 운송, 사업개발, 해외사업 등 JPR의 직무별 우수 직원 10명으로 구성된 방문단이 로지스올 본사 및 주요 계열사, 물류센터를 직접 방문해 선진 물류시스템과 기술력을 체험했다. JPR 방문단은 로지스올의 사업 구조와 운영 노하우를 공유받고, 로지스올 패키징 혁신센터와 MHE테크센터를 비롯해 주요 물류거점에서 운영 효율화 기술과 자동화 시스템을 견학했다. 마지막 일정에서는 로지스올 물류전문도서관 ‘The LogiSCM Library’에서 간담회를 열고, 한·일 물류 표준화와 글로벌 협력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양사는 이번 교류를 계기로 글로벌 물류 인재 양성과 물류 표준 기술 발전을 위한 협력 체계를 한층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oupang Logistics Services, CLS)가 경상남도 김해 지역의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경남도지사 표창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쿠팡의 AI 기반 스마트물류센터 투자가 지역 고용과 산업 생태계에 실질적 성과를 창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CLS는 29일 경상남도 투자 우수기업으로 선정돼 홍용준 대표이사가 도지사 표창을 받았다고 밝혔다. CLS는 경남에서 신규 고용 창출과 지역경제 기여도가 높은 10개 기업 중 하나로 선정됐다. 시상식은 28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5 경상남도 투자유치 설명회’에서 진행됐으며, 곽형주 상무가 홍 대표를 대신해 상을 수여받았다. 이번 수상은 지난 2월 쿠팡이 경상남도 및 김해시와 체결한 ‘AI 스마트물류센터 투자협약’의 성과를 바탕으로 했다. 총 1,930억 원 규모의 투자가 진행된 김해 스마트물류센터는 지하 1층, 지상 8층, 연면적 약 3만7,000평 규모로 건립되고 있으며, AI 기반 물류예측과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효율적인 배송 체계를 구현한다. 센터는 고객 주문 패턴을 예측해 인기 상품을 즉시 출하하는 ‘AI 수요예측 시스템’을 도입했으
에이디링크가 산업 현장에 최적화된 차세대 엣지 AI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나서고 있다. 에이디링크는 신뢰성 높은 하드웨어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통합한 구조로 스마트하고 안정적인 시스템을 빠르게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신재생에너지·공장 자동화·지능형 교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적용 가능하며 개발 기간 단축과 운영 효율성 향상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에이디링크는 Intel, NVIDIA, Arm 등 글로벌 기술 기업들과 협력해 엣지 플랫폼의 성능과 확장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협업을 통해 이기종 컴퓨팅 기반의 맞춤형 AI 솔루션을 제공하며 CPU·GPU·FPGA·ASIC을 통합한 구조로 복잡한 연산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고객은 애플리케이션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구성하면서도 투자 대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에이디링크는 독자 기술인 ‘AFM(Adaptive Function Module)’을 도입해 시스템 통합의 유연성을 높였다. I/O 확장, AI 가속 모듈, SSD, 메모리, 무선 통신 등 다양한 하드웨어를 조합해 고객 맞춤형 구성이 가능하며 산업 현장의 요구 변화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해양 빅데이터·디지털 트윈 전문기업 맵시(Mapsea, 공동대표 김지수·조홍래)가 2025년 코마린(KORMARINE 2025)에서 한국선급(KR)으로부터 자사의 ‘Digital Twin-Based Ship Operation Support Platform’에 대해 AIP(Approval in Principle)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인증은 맵시의 플랫폼 설계가 KR의 관련 지침과 규정을 충족함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다. 맵시는 전시회 기간동안 북극항로 운항에 최적화된 ICE Navigation 모듈과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한 mapsea NAVIGATION·mapsea CONNECT 솔루션을 공개하며 방문객의 높은 관심을 끌었다. 해당 플랫폼은 AIS·위성 기상·빙해 데이터 등 다중 소스를 통합해 실시간 위험구역을 탐지하고 디지털 트윈 기반으로 선박 운항 상태를 시뮬레이션·예측한다. 이를 통해 급변하는 해상 환경에서 항로 안전성과 운항 효율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됐다. 맵시는 이번 AIP 인증을 기술 신뢰성의 전환점으로 삼아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전시 현장에서는 인하대학교 씨그랜트센터와의 MOU 체결 및 다
세종, 2025년 10월 29일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가 주택공급 확대 방안(9월 7일)」의 후속 조치로 주택 사업자 자금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주택도시보증공사(이하 HUG)의 주택 건설 관련 보증 요건 및 한도 완화 등 제도 개선을 완료하고, 앞으로 연간 100조 원 규모의 공적 보증을 본격 공급한다고 밝혔다. 이는 주택 건설 관련 보증 규모를 기존 연 86조 원에서 100조 원으로 확대한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PF대출 보증 지원 범위 확대를 통해 최대 47.6만 호 규모의 정비사업 자금 조달을 지원하여 도심 내 주택공급을 크게 확대할 것으로 기대한다. PF 대출 보증 한도 상향 및 요건 완화먼저, PF 대출 보증 한도를 총사업비의 50%에서 70%로 상향 조정하고, 시공사의 시공 순위 제한을 폐지하는 등 보증 요건 완화 특례를 1년 연장한다. 이는 PF 시장 경색으로 인한 주택 사업자들의 자금 조달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분양률 저조나 공사비 인상 등으로 분양 대금을 통한 공사비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사업장에는 PF 대출 보증을 통해 공사비를 추가 지원(총사업비의 70% 한도)한다. 또한, PF 대출 보증으로 대환할 수 있는 브릿지론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한국철강협회 대회의실에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관련 간담회를 개최하고, 유럽연합(EU)과 영국의 제도 추진 동향을 공유하며 업계 의견을 수렴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정부와 철강업계가 해외 주요국의 탄소무역규제 강화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소통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EU는 탄소국경조정제도 시행 과정에서 산업계의 행정 부담과 비용을 완화하기 위해 지난 2월 기본법 개정안을 발표했다. 개정안에는 ▲2026년 한정 분기별 인증서 예치의무 면제 ▲인증서 거래요건 완화 ▲면제조건 변경 등이 포함됐다. 이는 그간 우리 정부가 EU 측에 지속적으로 건의해온 내용을 반영한 것으로, 개정법은 지난 10월 17일 유럽연합 관보에 게재되고 20일부터 발효됐다. 우리 철강업계는 이번 개정안 확정을 통해 제도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됐다고 평가했다. 다만 2026년 1월 본격 시행을 앞둔 만큼, 배출량 산정 방식, 탄소가격, 검증 절차 등 세부 하위규정 설계 과정에서 업계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속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또한 영국 정부가 2027년 1월부터 자체적인 탄소국경조정제도를 시행할 예정인 가운데, 업계는 지난 4월 발표된 기본법 초
금융위원회가 해외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반의 정보공유 플랫폼을 구축하고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금융위원회는 29일 경기도 용인시 금융보안원에서 ‘보이스피싱 정보공유·분석 AI 플랫폼(ASAP)’ 출범식을 개최하고, 보이스피싱 피해 현황과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ASAP은 ‘Anti-Scam AI Platform’의 약자로, 금융권 전반의 보이스피싱 관련 정보를 인공지능 기반으로 통합·분석해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체계다. 금융회사 간 신속한 정보 전달을 통해 국제 범죄조직의 자금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번 플랫폼에는 총 90개 항목(9개 유형)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된다. 주요 항목은 ▲피해자 계좌 관련 정보(14개) ▲범죄에 이용된 계좌 정보(18개) ▲해외 범죄조직의 해외계좌 정보(8개) ▲위조 신분증 정보 ▲경찰 수사 추정 피해자 정보(4개) 등이다. 예를 들어 특정 국가의 범죄조직이 보이스피싱에 이용한 해외계좌가 포착되면, 해당 정보가 ASAP을 통해 즉시 금융회사·수사기관 등에 전파돼 송금이나 이체가 즉시 차단된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출범식에서 “캄보디아 범죄단지 사건이 보여주듯 보이스피싱은 국제적이고
아마존웹서비스(이하 AWS)의 맷 가먼 CEO가 29일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기조연설에서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한 차세대 비즈니스 혁신 비전을 제시했다. 가먼 CEO는 생성형 AI가 기술 혁신의 새로운 물결을 이끌고 있으며, AI 에이전트가 이를 실질적 비즈니스 성과로 전환하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AI 에이전트는 단순한 대화형 도구를 넘어, 조직의 일원처럼 사고하고 행동하며 자율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AI 에이전트는 반복적이고 복잡한 업무를 자동화해 직원들이 보다 전략적이고 창의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가먼 CEO는 “AI 에이전트는 단순한 효율 개선을 넘어 기업 전체 생산성을 두 배 이상 높일 수 있다”며 “이 기술이 비즈니스의 운영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꿀 것”이라고 설명했다. AWS는 AI 에이전트의 대규모 확산을 지원하기 위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대한 클라우드 인프라 투자를 확대한다. 가먼 CEO는 “아마존은 2028년까지 APEC 14개 경제권에 4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싱가포르 재생에너지 기업 거린에너지(Gurīn Energy)가 EDP 리뉴어블스 아시아태평양(EDP Renewables APAC)의 한국 풍력 및 태양광 프로젝트 포트폴리오를 인수하며 국내 재생에너지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거린에너지는 24일 EDP 리뉴어블스 APAC가 보유한 국내 풍력·태양광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인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를 통해 거린에너지는 한국 내 사업 규모를 크게 확장하게 됐다. 인수 대상 프로젝트의 총 발전용량은 303MW로, 이번 거래로 거린에너지가 국내에서 개발 중인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의 총 규모는 600MW 이상으로 늘어났다. 해당 프로젝트들은 완공 시 정부의 2030년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과 국가 탄소중립 추진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발표는 거린에너지가 한국 에너지 시장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거린에너지는 지난달 광주 본사를 지원하기 위해 서울에 두 번째 사무소를 개소하며 한국 내 사업 기반을 강화한 바 있다. 염성오 거린에너지 한국 대표는 “EDP 리뉴어블스 APAC의 한국 포트폴리오 인수를 통해 국내 입지를 한층 강화하게 됐다”며 “이번 인수는 한국이 아시아 청정에너지 전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