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가 2024년 별도 및 연결 기준 실적에서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다. 한컴은 24일 발표한 2024년 내부 결산 기준 실적에서 별도 기준 매출액 1571억 원, 영업이익 497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24.2%, 20.6%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결 기준으로는 매출액 3048억 원, 영업이익 403억 원을 달성하며 각각 12.4%, 18.2%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러한 성장률은 한컴 클라우드 기반 SaaS 사업이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작용했다. 한컴은 웹 기반 제품을 중심으로 클라우드 SaaS 사업 확산을 추진해왔고 그 결과 별도 기준 클라우드 SaaS 사업 매출 비중이 2023년 9.3%에서 2024년 27%로 확대됐다. 매출액 기준으로는 전년 대비 258% 증가했다. 기존 주력 매출원인 설치형 소프트웨어 제품은 안정적인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며 SaaS 사업 성장을 뒷받침했다. AI 사업에서도 성과를 거뒀다. 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다수의 PoC를 수행하고 연구개발 및 TV 광고 캠페인 등에 투자하면서 별도 기준 영업이익률 31.2%를 기록해 높은 수익성을 유지했다. 또한, 연결 종속사인 한컴라이프케어는 개인용 소방·안전
셈페리스가 한국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 셈페리스의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APJ) 지역 총괄사장 제리 실라스는 17일부터 21일까지 한국을 방문해 한국 시장 전략 발표 및 현지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자리를 가졌다. 셈페리스는 하이브리드 AD 환경의 사이버 복원력을 제공하는 글로벌 사이버보안 기업으로 현재 사용자 계정 2억 개 이상을 보호하고 있다. 셈페리스는 국내 유일 총판 네오아이앤이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했다. 네오아이앤이는 AD 보안 시장을 개척해 다수의 고객사를 확보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셈페리스의 AD 보안 솔루션을 독점 공급함으로써 국내 AD 보안 선두업체로 자리 잡았다. 이번 제리 실라스 총괄사장의 방문을 통해 양사는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한국 기업에 최적화된 AD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전략을 논의했다. 셈페리스는 기업의 AD 및 Entra ID 환경을 외부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Directory Services Protector(DSP)와 침해된 AD의 신속한 복구를 지원하는 Active Directory Forest Recovery(ADFR) 솔루션을 제공한다. DSP는 하이브리드 AD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카카오모빌리티는 2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의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일환으로 구축한 인공지능(AI) 학습용 자율주행 데이터셋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해당 자료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공공포털에 공개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레벨4 자율주행 구현을 위한 해당 사업에 참여해 차량, 엣지인프라, 지능학습을 연계해 융합형 자율주행 데이터의 생성·관리·배포 자동화 기술 개발을 완료했다. 회사 측은 이번에 공개한 데이터셋은 국내 주요 도로변에 설치된 라이다(LIDAR)·카메라 센서 등 엣지 인프라와 자체적으로 운영한 자율 주행차를 통해 획득했으며, 비용 문제로 국내 데이터 직접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온 중소기업이나 학계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ETRI가 자율주행 차량에 해당 데이터셋을 학습해 실증한 결과, 사람과 차량, 자전거 등 3D 동적 객체 검출 AI 성능은 약 5~8%, 신호등 인식 AI 성능은 약 2%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는 등 데이터의 신뢰성이 검증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장은 “이번 데이터셋 공개가 국내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와 발전을 앞당기는 초석이 되길 기대
아마존웹서비스(이하 AWS)는 28일 캘리포니아공과대학의 AWS 양자 컴퓨팅 센터 팀이 개발한 새로운 양자 컴퓨팅 칩 오셀롯(Ocelot)을 발표했다. 이 칩은 기존 접근 방식 대비 양자 오류 정정 구현 비용을 최대 90%까지 줄일 수 있으며, 현존 컴퓨터로는 풀 수 없는 상업적·과학적으로 중요한 문제 해결을 위한 내결함성(fault-tolerant) 양자 컴퓨터 개발에 큰 진전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양자 컴퓨터의 오류 정정은 실용화를 위한 핵심 과제다. 양자 컴퓨터는 외부 환경의 작은 변화에도 민감해 진동, 열, 전자 기기의 신호 등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려면 여러 큐비트에 걸쳐 양자 오류를 정정하는 기술이 필요하지만 기존 방식은 큐비트를 대량으로 요구해 비용이 매우 높았다. 오셀롯은 기존 방식의 한계를 넘어 오류 정정에 필요한 자원을 크게 줄이는 방법을 제시한다. AWS는 오셀롯 아키텍처의 설계 단계서부터 오류 정정 기능을 내장하고 ‘고양이 큐비트(cat qubit)’를 활용하는 새로운 방식을 채택했다. ‘슈뢰딩거의 고양이’ 사고 실험에서 이름을 따 온 고양이 큐비트는 비트 반전 오류(bit-flip error)를 자체적으로 억
인텔리빅스는 유영정보통신과 출입보안시스템 및 영상분석 AI 솔루션의 제공과 공동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비접촉 신원인증 출입시스템과 영상보안 AI 솔루션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며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예정이다. 이날 협약식은 27일 서울 서초구 인텔리빅스 본사에서 최은수 인텔리빅스 대표이사, 송원용 유영정보통신 SI사업본부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인텔리빅스는 자사의 안면인증 출입보안시스템과 영상분석 AI 솔루션을 유영정보통신이 추진하는 현대자동차 그룹을 포함한 다양한 보안 사업에 공급할 계획이다. 또한 LED 전광판 솔루션도 함께 제공해 각종 보안 사업에 필요한 포괄적인 AI 솔루션을 지원할 예정이다. 양사는 이번 협력으로 향후 AI 기반 보안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유영정보통신은 1995년에 설립된 기업으로 현대자동차 그룹을 비롯한 주요 고객에게 보안 관련 SI(시스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벤더사다. 인텔리빅스는 생성형 비전 AI 전문 기업으로, 얼굴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안면인증 출입보안시스템과 다양한 생체 인식 AI 솔루션을 통해 혁신적인 출입보안
바이브컴퍼니는 잠정 실적 발표를 통해 2024년 4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분기 영업이익 11억 원을 달성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2024년도 전체 매출액은 12.0% 감소한 264억 원을 기록한 반면, 영업손실은 35.8% 개선된 60억 원이다. 바이브컴퍼니는 2023년부터 수익성 개선을 목표로 AI 솔루션 사업 강화와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중심의 체질 개선, 그리고 비용 효율화 전략을 적극 추진해오고 있다. 이에 따라 사업 모델을 영업이익률이 높은 AI 솔루션 및 서비스 위주로 전환하며 꾸준한 영업손실 감소를 실현, 지난해 4분기 기준 분기 흑자전환이라는 성과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AI 솔루션 사업은 국회도서관, 외교부 등 주요 공공기관에 도입된 검색증강생성(RAG) 기반 AI 솔루션 ‘바이브 서치’를 시작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바이브컴퍼니는 지난해 초거대 AI 활용지원 사업에서 높은 만족도를 끌어낸 AI 리포트를 솔루션으로 구축했다. 새로운 VAIV AIR Report는 소셜 및 뉴스 데이터에서 주요 이슈 및 담론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AI 솔루션으로, 향후 분석 결과에 대한 설명까지 제공하는 추론 AI 성능을 강화할
KT가 AI 스타트업 래블업과 함께 GPU 구독 서비스(GPU-as-a-Service이하 GPUaaS) 사업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KT는 기술력을 가진 스타트업과 지속 협력해 AI 생태계를 확장하는 한편 실질적인 AI 서비스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양 사는 26일 KT 광화문 빌딩 East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AI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을 동반 추진하기로 했다. 협약식에는 KT 전략·사업컨설팅부문 송승호 SPA본부장과 래블업 신정규 CEO가 자리했다. 이번 협약으로 양 사는 GPUaaS 서비스를 공동 개발하고 사업을 추진한다. 다른 서비스와의 차별화를 위해 KT GPUaaS만의 기능과 기술도 선보인다. 최근 전세계적인 AX(AI Transformation) 수요 증가로 GPUaaS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것을 고려해 조속한 시일 내에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GPUaaS는 AI 모델 훈련과 같은 고성능 컴퓨팅이 필요한 기업에 GPU 자원을 빌려주는 서비스다. GPU를 직접 보유하지 않고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기 때문에 누구나 합리적인 비용으로 AI 개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래블업은 AI 인프라 운영 관리 플랫폼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GPU 자원
인공지능팩토리가 소이랩엑스와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인공지능팩토리에서 진행됐으며 김태영 인공지능팩토리 대표, 최돈현 소이랩엑스 대표, 박호열 인공지능팩토리 PM, 김원호, 송주현 소이랩엑스 연구원이 참석했다. 소이랩엑스는 comfyUI 기반의 고품질 실용 콘텐츠 생성 기술을 제공해 인공지능팩토리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의 생성형 AI 추론 플랫폼 구축을 담당한다. 소이랩엑스는 comfyUI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 및 교육, 프로세스를 개발하는 기업으로 comfyUI는 Stable Diffusion 기반의 이미지 생성 모델을 보다 직관적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도구다. 노드 기반 인터페이스로 이미지 생성 과정을 시각적으로 조작하고 최적화한다. 이번 협약으로 인공지능팩토리는 국내 최초로 온프레미스 comfyUI 기반의 생성형 AI 플랫폼 서비스를 연내 출시할 계획이다. 현재 초기 플랫폼이 구축된 상태로 고도화를 위한 기술 협력을 지속하고 있다.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기능은 Text to Image, Upscale, Face Swap, Face Animation 등이 있으며 프롬프트 입력으로 이미지 생성과
한국레노버가 씽크패드 X1 시리즈 아우라 에디션 2종을 국내 공식 출시했다. 이번에 출시된 제품은 씽크패드 X1 카본 13세대 아우라 에디션과 씽크패드 X1 투인원 10세대 아우라 에디션으로, AI을 활용해 업무 생산성과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됐다. 새로운 씽크패드 X1 시리즈 아우라 에디션은 최신 인텔 코어 울트라 7 프로세서와 인텔 아크 그래픽을 탑재해 AI 컴퓨팅 성능을 제공한다. 인텔 AI 부스트 기능을 통해 AI 연산을 디바이스 내에서 직접 처리함으로써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고 전력 효율을 극대화해 배터리 수명을 향상시켰다. 코파일럿+ PC 기능을 지원해 대형언어모델(LLM) 및 머신러닝(ML)을 포함한 생성형 AI 기술을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씽크패드 X1 카본 13세대 아우라 에디션과 씽크패드 X1 투인원 10세대 아우라 에디션은 레노버가 인텔과 협업해 설계한 아우라 에디션 시리즈로, 사용자의 업무 스타일에 맞춰 최적화된 AI 기능을 제공한다. 스마트 모드를 통해 ▲보호 ▲파워 ▲집중 ▲웰니스 ▲협업 등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스마트 쉐어 기능을 활용하면 모바일 기기와 PC 간 이미지를 쉽게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인지도 상승 및 에이전틱 AI 솔루션 사업 기회 발굴 노려 크라우드웍스가 3월 3일부터 6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MWC 2025'에서 에이전틱 AI 종합 솔루션 'Alpy(알피)'를 처음으로 해외에 공개한다. 크라우드웍스는 이번 전시를 통해 글로벌 AI 시장에서 인지도를 높이고, 에이전틱 AI 솔루션을 중심으로 해외 사업 기회를 적극 발굴할 계획이다. 특히 2025년 글로벌 AI 시장의 핵심 트렌드인 에이전틱 AI 기술이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크라우드웍스 측은 이번 전시회 참여가 에이전틱 AI 시장을 선점하는 중요한 교두보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MWC 2025를 통해 해외 최초로 공개하는 Alpy는 데이터 전처리부터 Agentic RAG, 모델 성능평가까지 에이전틱 AI 도입의 전 과정을 지원하는 종합 솔루션이다. 누구나 손쉽게 에이전트 환경을 구축하는 Alpy Agent Studio(알피 에이전트 스튜디오)'와 서비스 사용량, 토큰 사용현황과 LLM 사용에 따른 비용을 모니터링하는 Alpy admin(알피 어드민) 등이 시장의 호평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크라우드웍스는 생성형 AI 시장에서 주목받는 기술 파트너로 자리
3·1운동 배경으로 창작적 요소 가미한 영상 총 19편 공개 패러닷이 3·1절을 맞아 독립운동가 삶과 업적을 재조명하는 AI 콘텐츠 기획전 ‘우리가 기억해야 할 그 날의 이야기, 다시 기억하는 3·1절’을 진행한다. 이번 기획전에서는 3·1운동을 소재로 역사적 사건과 애국선열 일대기에 창작적 요소를 가미한 영상 총 19편을 선보였다. 각 작품은 캐럿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에서 무료로 감상할 수 있다. 캐럿은 추천 작품으로 ‘시간여행자를 위한 3·1운동 공략집’ 등을 선정했다. 3·1운동 당시 상황을 시간 여행을 소재로 상상력을 발휘해 묘사했다. 시청자들이 독립 운동가들을 다시 한번 떠올리고 이들 입장에서 시대적 배경을 느껴볼 수 있도록 구성한 점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작가 하일광은 지난 광복절 ‘활짝 웃는 독립 운동가’로 화제를 모은 바 있다. 이번 기획전에는 전문 AI 크리에이터뿐 아니라 패러닷이 운영하는 ‘캐럿AI 크리에이터 프로그램’ 참가자가 다수 참여해 의미가 깊다. 해당 프로그램은 AI 콘텐츠 창작자를 양성하고, 이들이 콘텐츠 제작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크리에이터 생태계 조성이 목적이다. 패러닷 장진욱 대표는 “이번 기획전은 흥미로운 영상을
유통업계가 법·정책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지원 코딧은 지난 27일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코딧 사무실에서 한국체인스토어협회와 유통산업 관련 법·정책 대응 및 정보 교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급변하는 유통산업 환경에서 기업이 신속하게 정책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추진됐다. 양 기관은 협약을 통해 유통업계가 법·정책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협력하며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코딧과 한국체인스토어협회는 유통산업 관련 법·정책 데이터 공유, 유통 규제 대응을 위한 공동 연구 및 정책 제안, 유통 법규·제도 조사 및 개선안 건의 협력, 공동 세미나와 정책 간담회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협력 활동을 추진할 예정이다. 코딧은 협회 회원사에 자사의 AI 정책 모니터링 플랫폼 할인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유통업계가 최신 법·정책 동향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대응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정지은 코딧 대표는 "유통산업은 공급망 운영부터 유통 채널 관리, 대형마트 영업 규제까지 광범위한 법·정책적 영향을 받는 만큼 체계적인
옵스나우가 인공지능(AI) 기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Cloud Management Platform, 이하 CMP) ‘옵스나우 프라임(OpsNow Prime)’을 올해 상반기 공식 출시할 예정이라고 28일 밝혔다. 이를 계기로 옵스나우는 퍼블릭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환경을 통합 관리하는 차세대 CMP 시장을 선도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더욱 속도를 낼 계획이다. 옵스나우 프라임은 퍼블릭·프라이빗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 환경을 단일 플랫폼에서 통합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개별 운영해야 했던 서로 다른 인프라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중앙 집중형 보안 정책과 체계적인 승인 절차를 통해 클라우드 자원 사용을 명확하게 통제할 수 있다. 또한 AI 기반 비용 최적화 기능을 제공해 자원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 환경에서의 비용을 자동 추적해 최적의 운영 방안을 제안한다. SaaS 버전에서 검증된 RunBook 및 PlayBook 자동화 기능도 옵스나우 프라임에 포함됐다. 문제 발생 시 사전 정의된 절차를 실행해 신속히 대응하고, 반복 작업을 자동화해 운영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높인다. 내부 데이터센터 환
슈프리마가 AI 기반 스마트학교 통합보안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슈프리마는 AI 기반 출입통제 및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해 방문자 사전 예약 시스템, 스마트 출입관리 시스템, 안전관리 시스템을 통합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학교 환경 조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외부인의 무단 침입사고 예방을 위해 지난해부터 시도별 교육청 주도로 학교 방문 사전 예약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지만 실질적인 도입률은 낮은 상황이다. 또한 출입통제나 지능형 영상관제 등의 보안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지 않아 학내 보안과 안전체계가 미흡한 상황으로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렵고 허위 기재 및 비인가자의 출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슈프리마의 스마트학교 통합보안솔루션은 단순 출입통제를 넘어 출입통제, 방문자 관리, 교실 출결 관리, 이상 행동 감지 등의 보안 기능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해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방문객 사전 예약 시스템을 통해 불필요한 출입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고, 스마트 출입관리 시스템으로 교실별 출결 관리를 자동화하며, AI 기반 안전관리 시스템으로 침입, 배회, 싸움은 물론 흉기 소지까지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의료·산업용 영상솔루션 전문기업 뷰웍스(대표 김후식)가 지난 26일부터 3월 2일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리는 유럽영상의학회 ‘ECR 2025’(European Congress of Radiology)에 참가해 엑스레이 디텍터와 AI 기반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의료영상 통합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 뷰웍스는 정지영상 및 동영상 엑스레이 디텍터 15종과 영상획득 전용 소프트웨어 및 AI 솔루션 7종 등 총 22종의 제품을 공개한다. 특히, ‘VXvue’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AI 기반 의료영상 후처리 기술을 시연하며 현지 의료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뷰웍스의 ‘VXvue’는 엑스레이 디텍터로 획득한 임상 이미지를 조정 및 관리하는 디지털 방사선영상처리 소프트웨어로 최근 AI 솔루션을 추가해 기능을 대폭 향상했다. 주요 AI 기능으로는 연조직 선명도를 높이는 ‘Bone-X AI’, 딥러닝 기반 노이즈 저감 기술 ‘Noise-X AI’, 수의과 의료 영상을 분석하는 ‘Vet AI’가 포함돼 있어 분야별 진단 보조 역할을 수행한다. 엑스레이 디텍터 부문에서는 주력 제품인 ‘VIVIX-S F 시리즈’와 북미 시장 진출을 확대 중인 장형·대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