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시스템기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디지털 압력 게이지 SMA(EX)모델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센서시스템기술이선보인 디지털 압력 게이지 SMA(EX)는 국내와 중국에서 비점화방폭 인증을 받은 제품으로 접액부가 STS31L로 되어 있어 부식성 매체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고 LED디스플레이와 아날로그 출력 1~5VDC, 2채널 NPN 오픈콜렉터 출력의 특징을 갖는 압력 게이지이다. 소형으로 압력센서와 인디게이터, 스위치가 하나로 통합되어 저가격화를 실현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센서솔루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고속회전에서 사용 가능한 브러쉬리스 타입의 다양한 토크센서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센서솔루션이 선보인 접촉식 회전형 토크센서 SNR series는 샤프트 타입의 회전형 비접촉식 디지털 토크센서로 Amplifer 내장형으로 mV/V출력형 센서에 비해 노이즈 영향을 최소화하고 CARRIER 주파수에 의한 간섭이 없다. 비접촉식 회전형 토크센서 SA series는 샤프트 타입의 회전형 접촉식 토크센서로 모터 부하테스트, 볼트체결력, 감속기, 자동차 부품등의 토크 측정이 가능하며 Foot mount와 고용량도 주문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비회전형 토크센서 NF series는 플랜지 타입의 비회전형 소형 토크센서로 컴팩트한 디자인에 설치가 간편하다. 20여 년의 실무 경험을 가진 계측기 전문 메이커 센서솔루션은 자동차 산업, 로봇 자동화 산업에 적용되는 토크센서, 로드셀, 변위센서, 인디케이터 등을 전문으로 제작
제이에스이컴퍼니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생산 및 물류포장 라인용 솔루션 ‘유니버셜 글리핑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제이에스이컴퍼니가 선보인 유니버셜 글리핑 시스템은 하나의 글리퍼로 다양한 형상물 취부가 가능하다. 글리핑 패드 내의 특수 입자 알갱이들로 채워진 FORMHAND 글리퍼는 자동으로 각기 다른 형태의 목표응 형상에 맞게 성형되어 취부한다. FORMHAND 제품은 자동화라인의 프로그래밍에 적합하게 모든 시스템에 쉽게 통합 적용할 수 있다. 또한 FORMHAND 글리핑 패드는 이송용 글리퍼 용도 뿐만 아니라 고정 지지용, 강력한 클램프 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링스판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일방향 캠클러치 ‘프리휠 클러치’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링스판코리아가 선보인 프리휠 클러치는 캠 클러치, 백스톱, 일방향 클러치라고 불리기도 하며 내륜과 외륜 사이에 스프라그 또는 롤러가 케이지와 함께 들어있는 구조를 갖는다. 스프라그의 고유한 형상 때문에 외륜과 내륜이 한 방향으로는 공회전(프리휠)하지만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스프라그가 외륜의 트랙에 마찰에 의해 끼이도록 되어있어서 토르크를 전달한다. 링스판코리아는 독일 RINGSPANN 그룹의 국내 현지법인으로 한국 내의 동력전달 기계 요소 고객들을 현지에서 직접 지원한다. RINGSPANN이 1944년 설립된 이후 축적해온 정밀 동력전달 부품의 설계 및 적용 노하우를 설계 및 디자인 엔지니어들과 함께 공유하며 상호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페스트펜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고도화된 산업 시스템에 최적화된 ‘FEST FENCE’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페스트펜스가 선보인 FEST FENCE는 독일의 바우하우스 디자인의 영감을 받아 제작 됐다. 고도화된 산업 시스템에 최적화된 FEST FENCE는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정확하고 신속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시스템 규격은 750, 1000, 1300, 1500, 1800, 2000, 2200mm이며 판넬과 포스트는 고객의 요청의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각종 기계, 설비에 맞는 구조변경이 가능하며 현장에 맞는 다양한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사전 현장 실측을 통해 시공 현장에서 바로 조립이 가능한 상태로 출고되어 정확하고 빠른 시공이 가능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
드림텍LMS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고성능 모듈시스템인 FSL40 리니어 모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드림텍LMS가 선보인 FSL40 리니어 모듈은 FSL40 시리즈 리니어 모듈 제품이다. 개방형, 밀폐형, 반밀폐형 모듈로 구성돼 행정길이 1000mm까지 제작 가능하다. 정밀, 고성능, 체계적인 모듈시스템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작동이 가능하다. FSL40은 비용 대비 효율적인 스크류 선형 모듈이다. 개방형 구조로 가이드 레일 1개와 슬라이더 1개가 장착되어 있으며 스크류 로드의 양단은 베어링으로 고정되어 안정성을 높였다. 또한 중간 및 저부하 및 중간 속도 요구 사항에 적합하며 사용 환경이 안정적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양헌기공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CNC 로터리 테이블 SN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양헌기공이 선보인 CNC 로터리 테이블 SN 제품들은 구조상 흔들림이 없는 예압구조로 일정한 동작조건에서는 유·공압 클램프 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클램프 하지 않고 사용하기 때문에 위치제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SN 제품은 ISO 230-2 기준측정 10초 이하로 정도 및 효율이 높으며 장기간 사용해도 구조적인 변형이 없어 초기정도 유지가 가능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티에스아이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pick it 3d 비전 카메라를 선보인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티에스아이코리아는 반도체와 FPD 공정 검사 자동화를 위해 설비 설계 ,제어 ,머신비전 기술을 기반으로 공정검사 자동화 설비를 개발 공급하고 있으며, 최고의 성능을 목표로 기술 개발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이외에 3D 비전 업체인 피킷(pickit) 대리점이며, Binpicking, depalletIzing, palletIzing 등 여러 공정에 적용하는 로봇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티에스아이코리아가 이번에 선보인 피킷 M-HD은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으며 중소형 부품을 인식하는데 용이한 제품이다. 최소 10X10X5mm 크기의 물체부터 피킹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티에스아이코리아 피킷 L은 최소물체 크기가 50X50X10mm 물체부터 피킹이 가능한 제품이다. 3d 이미지 측정 방법으로는 적외선 방식으로 사용되며, 3d 이미지로 제품을
2012년 이탈리아 유람선 Costa Concordia호가 티레니아해의 질리오섬에서 바위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32명이 사망하고 4,000명 이상이 가까스로 구조됐다. 사고 조사 결과, 원인은 커뮤니케이션·대응·교육에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계기로 구명정 훈련, 교량 접근 제한 및 항로 계획 변경 요건과 아울러, 선박이 계획된 항로를 따르도록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이 의무화됐다. 해양 모니터링 기술은 선박 운영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위치 및 방향, 출력, 연료 사용, 화물 냉동 및 기타 판독 값을 추적해 운영자가 선박의 성능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위치 모니터링 기능이 있었다면, Concordia호의 승무원은 위험에 처해 있다는 경고를 받고 항로를 변경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 기술을 활용해 승무원들이 바다로 투입되기 전에 일반적인 시나리오와 비상 시나리오를 모두 시뮬레이션했다면 충돌 사고를 더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빠르게 대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VR, AR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화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인력 교육부터 유지보수까지 비용을 절감
투테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레이저 라벨 프린터, 레이저 라벨을 선보인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투테크는 세계 최초로 지워지지 않는 레이저 라벨 프린터를 개발한 회사다. 기존 열전사 프린터의 표면 인쇄 방식이 아닌, 레이저를 이용한 라벨 중간층 인쇄 기법으로 국내외 특허 및 레이저 라벨의 UL 인증도 취득했다. 투테크가 이번에 선보인 레이저 라벨 프린터 TTE-72FW는 투테크의 대형 레이저 라벨 프린터다. 투테크의 레이저 라벨 프린터는 라벨 중간층에 인쇄를 하므로 데이터가 절대 지워지지 않는 것이 큰 강점이다. 고해상도로 2000dpi까지 구현 가능하여 기존 열전사 프린터의 한계를 극복하였으며, 윈도우 드라이버 베이스(32,64비트)로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
앤비젼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머신비전 산업용 카메라, 렌즈, 조명, 스마트 카메라 등을 선보인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앤비젼은 인간의 눈을 대신하여 인지하고 판단하는 머신비전 솔루션을 제공하는 비전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핵심 제품과 엔지니어링 컨설팅, 기술지원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후아레이 X86 스마트카메라는 Windows 10이 탑재된 PC 개념의 스마트 카메라로 하나의 장치에서 PC와 카메라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 카메라로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Pattern matching, OCR, 치수 측정 등)을 Windows 10 환경에서 쉽고 간편한 Flow Chart 방식으로 수정하고, 현장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다. Falcon4 11M 600fps은 현존하는 카메라 중 가장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초고속 CMOS Area scan 카메라다. 압도적으로 높은 Full well cap
위너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자체 개발한 오픈 스크류 장축 정밀 직교로봇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위너가 선보인 직교로봇 빅이어는 특별한 오픈 스크류를 적용해 정밀한 반도체를 제조하고 민감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공하는데 사용된다. 빅이어는 길이가 10미터 이상으로 길어지게 구성돼 있으며, 이동속도가 무려 7배 이상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모터의 효율 높아짐에 따라 스크류의 위치정밀도도 높아지게 됐으며 소음이 적다. 위너는 샤프트와 롤러, 스크류 전문기업으로 열처리, 크롬도금, 정밀 연삭기술을 통해 직경 Ø4mm~Ø80mm까지 6000mm의 장축용 샤프트 및 다양한 종류의 트랙롤러 베어링을 생산하고 있다. 고속용 가이드인 speed Guide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타이밍벨트가 결합돼 경제적이면서 open 스크류 타입을 적용한 직교로봇을 최초로 발명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
센서리움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와이드스캔 및 레이저스캐너를 선보인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센서리움은 유럽의 선진 센서기술의 국내 도입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다. 다양한 스마트 센서 솔루션, 보행자용, 산업용 센서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편의와 안정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연구·개발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와이드스캔은 Time of flight 기술을 이용한 레이저 센서다. 각각의 다른 각도의 7개 레이저 커튼은 도어 정면에 넓은 감지 영역을 형성한다. 와이드스캔은 하나의 센서로 도어의 열림, 충돌 방지, 안전 등 3가지의 기능을 수행한다. 센서리움의 레이저스캐너의 Time of Flight 기술은 각각 4개의 레이저 신호를 평면으로 송신 및 스캔하여, 각 신호의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한다. 감지 뿐만 아니라, 물체의 속도, 길이, 위치 등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공장 시스템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리스광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웨이퍼 검사 시스템과 텔레센트릭 렌즈, 현미경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리스광시스템은 검사장비용 광학계를 국내 순수 기술력으로 자체 설계 제작하는 업체다. 모든 광학 시스템의 자체 설계와 최적의 시스템 구축을 위한 컨설팅을 제공하며, 각종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산업용, 의료, 레이저가공용, 조명용 광학계 설계와 제조를 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웨이퍼 검사 시스템은 시료에 따른 주문형 Optical 구성이 가능하며, 다양한 비전과 스테이지를 적용시켜 검사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샘플을 테스트할 수 있는 장비다. 또한, LLC(Linear Lens Changer)을 통해 광학계 배율 변화가 가능하고, 고객 요청에 따른 오토 스테이지 또는 메뉴얼 스테이지로 Customizing 가능하다. 주로 웨이퍼 셀 정보 비교 검증 및 양불 판정, PCB 및 회로 기판 검사, BARCODE & QR CO
HIK로봇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하이크로봇 머신 비전 및 모바일 로봇과 물류 비전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하이크로봇은 엄격한 EMC, 안전성 및 신뢰성 테스트를 통해 각 제품의 높은 정밀도, 높은 효율성, 높은 환경 성능을 보장한다. 머신비전 제품은 가전, 반도체, 물류 등의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위치 가이드, 측정, 품질 검사, 코드 리딩, OCR(문자 검사) 등의 어플리케이션의 일부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생산성, 정확성, 안정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Hikrobot은 저상형 모바일 로봇 (LMR), 컨베이어/대형 모바일 로봇 (CMR/HMR), 지게차 모바일 로봇 (FMR) 등 일련의 제품을 출시했다. 해당 제품들은 3C, 자동차, 제조, e-커머스 물류, 3PL, 식품 및 제약 등 산업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스마트 바코드 리더, 3D 카메라, 특수 설계된 광원과 자체 개발한 코드 판독 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