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오토메이션이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Volkmann GmbH사의 2차전지 전용 분말 이송장비를 전시했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서원오토메이션은 공압장비 공급을 시작으로, 현재 미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지의 20여 개 브랜드 국내 총판을 담당하고 있다. 주요 품목은 유공압장비 및 부품, 감속기, 에어모터, 에어컴프레셔, 유체처리펌프, 특화시장펌프, 진공시스템, 진공이송장비, 모션컨트롤 솔루션, 시스템 모니터링 등이 있다. 한편, 인터배터리 2025는 제14회 더배터리컨퍼런스(The Battery Conference 2025), Pitching Day 세미나, Global Connecting 세미나, 인터배터리 2025 연계 이차전지 수출상담회, 배터리 ESS 최신기술 글로벌 콘퍼런스, 글로벌 배터리 광물 세미나, 한-독 배터리 세미나 등 부대행사로 함께 기획돼 다양한 시각의 통
화신기계상사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자사가 유통하는 다양한 브랜드의 측정기 및 분무 건조기 제품군을 전시했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전시된 제품 중 하나인 Yamato Scientific의 분무 건조기는 액체 용액, 서스펜션, 에멀전 상태의 샘플을 안정적으로 건조하는 장비다. ADL311SA의 경우 액체 및 슬러리 시료를 분말로 손쉽게 건조하는 분무 건조기다. 휠을 이용해 이동성이 뛰어나 벤치탑 유닛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화신기계상사는 물리, 화학, 금속, 환경 등 모든 산업의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과학시험기기 공급과 원활한 사용을 위한 서비스에 집중해 왔다. 고객 요구에 적합한 기기 선정과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분석 문제 상담, 교육 세미나, 전문 A/S 요원에 의한 빠른 고장수리 등의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인터배터리 2025는 제14회 더배터리컨퍼런스(The Batt
MDS테크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플리어(FLIR)의 열화상 카메라 제품군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MDS테크가 전시회에서 선보인 제품 중 하나인 A400/A700 스마트 열화상 카메라는 자동화 솔루션에 최적화한 장비다. 발열 감시용, 위험물 모니터링, 제품 품질 검사, 화재감시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다중 측정, 알람, 분산처리, 카메라 레벨의 즉각적인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FLIR AX8은 열화상과 실화상이 합쳐진 소형 제품으로 빼어난 가성비를 자랑하는 제품이다. 전기 및 기계 시설물을 모니터링해 비주기로 발생하는 문제를 발견하는데 적합하다. 특징은 연속적 상태 감지와 안전 모니터링, 자동 분석 및 알람, Modbus·TCP·EtherNet/IP표준 호환성, 다양한 비디오 영상 등이 있다. MDS테크는 다채로운 기술 역량과 전문성을 기반으로 임베디드 솔루션을
엘림글로벌이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자사가 취급하는 측정 및 분석장비 제품군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전시회에서 소개한 제품 중 하나인 비표면적(BET)&기공분석기는 CIQTEK이 정체적법(Static Volumetric Method)을 이용한 분석 장비다. 비표면적 테스트 범위는 0.0005(m2/g) 이상이며, 기공 크기 범위는 0.35nm부터 2nm까지다. 2개 또는 4개의 분석 스테이션, 2개 또는 4개의 샘플을 동시 혹은 순차 테스트를 지원한다. 진밀도 분석기의 경우 CIQTEK이 독자 개발한 가스치환법을 채용한 고정밀 가스 비중병이다. 다중 시료 용기 설계로 고집적도, 컴팩트한 크기, 경량, 고가의 성능을 제공한다. 분말, 벌크 고체, 폼 등 다양한 재료의 실제 밀도와 다공성을 높은 테스트 효율성을 앞세워 정확하게 측정하며, 신속한 제품 품질 테스트를 위해 생산
오토센서코리아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자사의 누수 센서 및 모듈 등 관련 제품군을 전시했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오토센서코리아의 누수 센서(Leak Sensor)는 산업 시설 및 생산 현장에서 물과 화학 용액의 누액으로 인한대형 사고 위험성을 조기에 감지해 누액 상황에 따라 대응하도록 개선된 성능을 갖추고 있다. 사각지대 없이 필요한 위치에 완벽하게 설치가 가능한 Flexible Film Explosion Proof Type, Point Sensor Type의 신개념 누액 감지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누수 모듈(Leak Module)은 1채널·다채널, 유·무선 등 다양한 제품군이 개발됐으며 설치장소에 따라서 실내·외에 설치가 가능하다. 누수 센서로부터 감지된 누수와 균열 상태를 감지해 조기에 담당자에게 알림으로써 위험한 산업 재해를 미연에 방지한다. 오토센서코리아는 안전통합시스템(Sa
국내 최초로 한국어로 추론 전 과정을 출력하는 모델로 평가받아 디노티시아가 한국어 논리 추론에 최적화한 대형언어모델(LLM) ‘DNA-R1’을 공개했다. DNA-R1은 한국어 특화 모델로, 140억(14B)개의 파라미터를 갖췄으며, 국내에서는 최초로 한국어로 추론 전 과정을 출력하는 모델이다. 특히, 한국어 AI 성능 평가 지표인 KMMLU(Measuring Massive Multitask Language Understanding in Korean) 벤치마크에서 59.9%를 기록하며, 기존 동급 모델(50.50%) 대비 약 18.6% 성능 향상을 입증했다. 디노티시아는 지난해 한국어·영어를 동시에 이해하는 고성능 LLM 파운데이션 모델 ‘DNA : Dnotitia AI’를 오픈소스로 공개한 바 있다. 이번 DNA-R1은 논리적 추론과 문제 해결 능력을 한층 강화한 모델로, 단순한 텍스트 생성에서 벗어나 고도화한 분석과 복합적 사고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기존 AI 모델이 문장 생성과 번역에 초점을 맞췄던 것과 달리, DNA-R1은 수학문제 해결, 코드 작성 및 디버깅, 논리적 사고 및 분석, 한국어 문맥 이해 등 고차원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특징
깊이 있는 분석과 논리적 사고 기반으로 심층 답변 지원 라이너가 웹에 존재하는 방대한 자료를 심층적으로 검색하고 논리적 추론을 통해 정교한 답변을 생성하는 ‘라이너 딥 리서치(Liner Deep Research)’를 출시했다고 6일 밝혔다. 라이너 딥 리서치는 기존 AI 검색 기능을 한 단계 발전시켜, 깊이 있는 분석과 논리적 사고를 기반으로 심층 답변을 지원한다. 사용자 질문의 핵심을 분석하고 세분화한 조사 계획을 수립해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라이너에서 검색 창 아래 ‘딥 리서치’ 버튼을 클릭한 뒤 쿼리를 입력하면 라이너 베이직, 라이너 프로 대비 더 많은 소스를 참조해 답변의 깊이와 논리성을 강화한 딥 리서치 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 또한 라이너 딥 리서치는 별도로 로그인하거나, 구독하지 않아도 일 10회까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어 서비스 접근성이 대폭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딥 리서치의 경쟁력은 풍부하게 제공되는 리서치 답변의 정확성에 있는데, 라이너는 정확성 측면에서도 객관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AI 사실 검증 정확도를 측정하는 심플큐에이 벤치마크에서 라이너는 압도적인 성과를 보였다. ‘라이너 프로’가 93.7점을 기록한 데 이어,
스타트업이 신속하게 정책 변화에 대응하도록 지원할 계획 밝혀 코딧과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이하 코스포)이 스타트업 정책 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5일 서울 마루360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양 기관은 스타트업의 정책 대응 역량 강화와 핵심 아젠다 공론화를 위한 협력 강화를 공식화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코딧과 코스포는 규제·정책 데이터 공유 및 분석, 규제 혁신을 위한 공동 연구, 정책 세미나·포럼 공동 개최, 정부·국회·전문가 네트워크 협력 등을 추진하며, 스타트업이 신속하게 정책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코딧은 코스포 회원사가 AI 맞춤형 정책 모니터링 플랫폼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스타트업은 온라인플랫폼법, 개인정보보호법, 근로기준법, AI 기본법, 전자상거래법 등 업계 주요 법안 및 자사 관련 법안을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규제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협약과 함께 정지은 코딧 대표는 코스포 대외정책분과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스타트업 정책 연구와 정부 및 국회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스타트업들이 겪는 법·제도적 어려움을 분석하고, 입법 및
크레아폼 아미텍코리아(이하 크레아폼)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자사의 3D 스캐너 라인업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크레아폼의 휴대용 3D 스캐너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시리즈를 보유하고 있다. 계측 등급의 휴대용 3D 스캐너인 HandySCAN 3D블랙 시리즈를 비롯해 HandySCAN 3D실버 시리즈, Go!SCAN 3D, MetraSCAN 3D, HandySCAN 3D|MAX 시리즈 등이 있다. 이를 통해 크레아폼은 제품 개발 및 설계, 리버스 엔지니어링, 품질 관리 및 품질 보증, 유지보수, 수리 및 정비, 비파괴검사(NDT) 등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002년에 설립된 크레아폼 아미텍코리아는 3D 측정 기술 및 3D 엔지니어링 서비스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크레아폼은 휴대용 및 자동형 3D 스캐닝 솔루션을 개발, 제조, 판매하며, 75개국 이상의 수천 명의 고객이 제품을
동일한 사람을 명확하게 판별하는 데 어려움 겪는 기존 AI 모델 한계 분석해 메이아이가 세계 최고 권위의 AI 학술대회 중 하나인 표현학습국제학회(ICLR) 2025에서 자사 연구 논문이 ‘스포트라이트(Spotlight)’로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ICLR은 뉴립스(NeurIPS), 국제머신러닝학회(ICML)와 함께 글로벌 3대 AI 학술대회로 꼽히며, 매년 주요 연구기관과 기업이 참여해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한다.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논문 중 상위 5%에게만 부여되는 ‘스포트라이트’에 메이아이의 연구가 포함되면서, 기술력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메이아이는 ‘사람 재식별 AI 모델의 카메라 편향에 대한 연구(Exploring the Camera Bias of Person Re-identification, 송명서, 박진우, 이종석)’ 논문을 통해, 동일한 사람을 명확하게 판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기존 AI 모델의 한계를 분석했다. CCTV별 환경 차이로 인해 AI가 동일한 인물을 다르게 인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이아이는 카메라 편향을 줄이는 정규화 기법을 제시하고, 비지도 학습 기반 사람 재식별 모델을 개선했다. 이를 통해 AI 모델이 학
AI 기술 활용한 스마트 3D 생성 및 제조 자동화 솔루션 공동 개발 추진 리콘랩스와 나니아랩스가 AI 기반의 3D 디자인 및 제조 공정 혁신을 위해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으로 AI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3D 생성 및 제조 자동화 솔루션을 공동 개발할 계획이다. 나니아랩스는 제조업을 위한 생성형 AI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공학적 성능을 충족하면서도 제조 가능한 최적의 3D 설계안을 도출하는 AI 솔루션을 제공한다. 리콘랩스는 AI 기반 3D 생성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이미지, 스케치, 텍스트 등의 정보를 학습해 원하는 형태의 제품을 3D 모델로 구현하는 기술을 갖추고 있다. 양사는 디자이너가 만든 3D 모델을 제조 단계까지 원활하게 연계하는 AI 기반 디자인-제조 파이프라인 구축을 목표로 협력한다. AI가 디자이너의 의도를 학습해 최적의 3D 모델을 자동 생성하고, 이를 제조 공정에 직접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제품 개발 속도를 높이고, 디자인과 제조 간의 단절을 해소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는 AI를 활용한 제조 최적화 및 디자인 자동화 기술을 더욱 고도화할
AI 가속 기능을 내장해 기존 대비 AI RAN 성능을 최대 3.2배 향상 인공지능(AI)과 5G 기술이 통신 산업을 빠르게 변화시키는 가운데, 인텔이 'MWC 2025(모바일월드콩그레스 2025)'에서 AI 기반의 네트워크 혁신 솔루션을 공개했다. 이번 행사에서 인텔은 50곳 이상의 파트너 및 고객사와 함께 고성능·고효율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을 위한 다양한 기술을 선보였다. 특히, AI를 내장한 솔루션을 통해 별도의 고가 하드웨어 없이 최적화한 총소유비용(TCO)을 구현하도록 지원하며, 통신 사업자가 직면한 인프라 현대화, 보안, 레거시 시스템 통합 등의 문제 해결을 돕는다. 사친 카티 인텔 네트워크 및 엣지 그룹(NEG) 총괄은 “클라우드 기술과 파트너 협력을 바탕으로 5G 코어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가상화를 지원하고 있다”며, “인텔 제온 6 프로세서를 통해 AI 기반 네트워크의 미래를 실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인텔 제온 6 시스템온칩(SoC)은 AI 가속 기능을 내장해 기존 대비 AI RAN 성능을 최대 3.2배 향상시켰으며, 8개의 이더넷 포트와 200Gbps의 총 처리량을 지원해 네트워크 연결성과 성능을 극대화했다.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겸 이사회 의장이 기조연설 나서 마이크로소프트가 오는 26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모두를 위한 AI, AI 혁신의 오늘과 내일(AI for Everyone, AI Innovation today and tomorrow)’을 주제로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 인 서울(Microsoft AI Tour in Seoul)’을 개최한다. 이 행사는 전 세계 60개 도시에서 진행되는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의 일환으로, 국내 개발자·엔지니어·비즈니스 리더·기술 전문가 등이 AI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혁신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다. 사전 신청을 통해 무료로 참가할 수 있으며, AI 기술 도입 및 활용 사례를 심층적으로 다룬다. 이번 행사의 키노트 연설에는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겸 이사회 의장이 연사로 나선다. 그는 토마스 돔케 깃허브 CEO, 조원우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대표와 함께 AI가 국내외 산업과 업무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조망할 예정이다. 특히, 국내 주요 기업의 AI 혁신 사례가 발표되며, AI를 활용해 실제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한 경험과 인사이트를 공유한다. AI 산업 혁신과 적용 사례를 다루는 브레
객체 ID 추적 기술 적용해 특정개체 고유식별 부여 및 지속 추적 설계 슈퍼브에이아이가 AI 기반 ‘슈퍼브 영상관제 솔루션’을 출시하며 스마트 영상 관제 시장 공략에 나선다. 이 솔루션은 AI를 활용해 다수의 영상을 실시간 분석하고, 화재 감지, 차량·얼굴 인식, 쓰러짐 및 이상 행동 탐지 등 다양한 관제 기능을 제공한다. 슈퍼브 영상관제 솔루션은 객체 ID 추적 기술을 통해 영상 속 특정 객체에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고, 환경 변화에도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객체가 일시적으로 가려지거나 변형돼도 동일한 객체로 인식하는 고급 AI 기술이 적용됐다. 이 솔루션은 멀티모달 AI 및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해 영상 캡셔닝 및 자연어 검색 기능을 구현했다. 사용자가 ‘빨간 모자 쓴 사람 찾아줘’와 같은 자연어 문장으로 검색하면, AI가 영상 콘텐츠를 분석해 해당 장면과 시간을 즉시 제공한다. 기존 시간·날짜·위치 기반 검색 방식을 넘어, 실제 영상 내용을 이해하고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슈퍼브 영상관제 솔루션은 기존 2D 영상 분석 방식에서 한 단계 나아가 3D 시각화(디지털 트윈) 기술을 제공한다. 일반 CCTV나 스마트폰
패브리넷 생산라인에 ‘레이저 솔더 범핑 장비(sLSMB)’ 공급하는 계약 체결 다원넥스뷰가 엔비디아에 장비를 본격 공급한다고 밝혔다. 업계에 따르면, 이번 공급 장비는 AI GPU 제품의 초고속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광통신 모듈 제조에 활용된다. 해당 모듈의 개발과 승인 과정은 엔비디아가 직접 담당했으며, 실제 양산은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된 패브리넷이 맡는다. 다원넥스뷰는 패브리넷의 생산라인에 ‘레이저 솔더 범핑 장비(sLSMB)’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오는 3월 말 첫 장비를 선적할 예정이다. 또한, 6월에도 추가 선적이 계획돼 있어 순차적으로 장비 공급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레이저 솔더 범핑 장비는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기술에 적용되는 ‘레이저 볼그레이드어레이 범프 마운터(Laser BGA Bump Mounter)’로,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GPU 부품 양산에 투입된다. 특히, AI GPU와 서버 간 초고속 광통신을 담당하는 핵심 부품의 제조에 활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다원넥스뷰가 공급하는 장비는 시간당 5만 발의 솔더볼을 처리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속도를 갖췄다. 이는 기존 유럽계 경쟁사를 제치고 엔비디아의 품질 검증을 통과하는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