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이사장 정용식)은 4월 1일부터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개방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데이터 개방은 민간이 교통카드 이용 정보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대중교통 정책 수립 및 서비스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통카드 데이터는 대중교통의 승·하차 시간, 장소, 이용 패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현재 공공기관에서는 이를 활용하여 신규 버스노선 도입 등 교통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그러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민간에는 가공된 형태로만 제공되고 있었다. 국토부는 이러한 규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모빌리티 규제샌드박스 실증 특례를 승인하였고, 이에 따라 4월 1일부터 보안이 갖춰진 ‘데이터 안심 구역’에서 민간에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개방한다.
데이터 안심 구역은 서울과 대전 두 곳에서 운영되며, 안전한 데이터 분석 환경을 제공한다. 이번에 제공되는 교통카드 빅데이터는 개인정보가 철저히 보호된 상태로 암호화되어 있으며, 사전 승인을 받은 경우에만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독립된 공간에서 분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는 반출이 가능하나,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는 가상 카드번호로 대체된다.
국토부는 이번 개방을 통해 민간 기업, 연구기관, 학계 등 다양한 주체가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연구와 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량이 많은 시간대 및 노선 정보를 파악하고, 수요응답형 대중교통 서비스와 공유 모빌리티 연계 서비스 개발에 활용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2026년 12월까지 데이터 안심 구역에서 개방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용자 만족도 조사 및 활용 사례 분석을 통해 필요시 대중교통법 개정도 검토할 계획이다. 데이터 안심 구역을 통한 교통카드 데이터 분석을 희망하는 경우, 신청 포털에서 회원가입 후 이용신청서를 작성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국토부 엄정희 교통물류실장은 “교통카드 데이터는 사람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통행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데이터로, 민간의 역량을 활용하여 대중교통 이용자가 원하는 지표에 대한 데이터 분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