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AI 반도체 밀수 의혹' 말레이시아, 中 향하는 엔비디아 칩 추적

URL복사

 

말레이시아 자프룰 아지즈 장관 "의혹에 대해 면밀한 조사 요청"

 

말레이시아 정부가 미국의 요청에 따라 엔비디아 첨단 반도체가 자국을 경유해 중국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단속을 강화하고, 데이터 센터 관련 규제도 엄격히 할 방침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4일 자프룰 아지즈 말레이시아 국제통상산업부 장관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자프룰 장관은 "미국 정부가 말레이시아를 거쳐 중국으로 엔비디아 첨단 반도체가 유입된다는 의혹에 대해 면밀히 조사하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은 모든 엔비디아 반도체 수입물량에 대한 추적을 요청했다"며 "엔비디아 반도체가 장착된 서버의 최종 목적지가 말레이시아 데이터 센터가 돼야 하고, 갑자기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기를 미국은 원했다"고 FT에 전했다.

 

이에 말레이시아 정부는 데이터 센터 산업 규제를 강화하기 위한 특별 태스크포스도 구성했다고 발표했다. 최근 수년간 말레이시아는 구글,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의 데이터 센터를 적극 유치하며 관련 시장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 중 하나로 주목받았다. 

이번 조치는 지난 1월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 고성능 인공지능(AI) 모델로 세계를 놀라게 한 이후, 미국산 첨단 반도체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아랍에미리트 등을 통해 중국으로 우회 유입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미국 정부는 딥시크 AI에 자국이 중국 수출을 금지한 첨단 반도체가 사용됐는지 여부를 조사 중이다. 특히 싱가포르 정부는 이달 초 엔비디아 반도체를 탑재한 것으로 추정되는 미국산 컴퓨터 서버가 자국을 거쳐 말레이시아로 수출된 정황에 대해 자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해당 서버의 최종 목적지가 실제로 말레이시아인지에 대해서는 판단을 유보했다.

앞서 싱가포르 당국은 지난달 반도체 통관 관련 단속을 실시해 9명을 체포하고, 이 중 3명을 서버 공급 업체 등에 대한 사기 혐의 등으로 기소했다. 이들은 2023년부터 2024년까지 수입한 서버의 최종 사용자가 신고 내용과 달랐고, 해당 장비를 다른 곳에 양도하지 않겠다는 자신들의 진술이 허위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말레이시아의 규제 강화 조치는 미국과 중국 간 첨단 기술 패권 경쟁이 동남아시아 국가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AI 개발에 필수적인 고성능 GPU 등 첨단 반도체를 둘러싼 통제가 강화될 전망이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