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코헤시티 “사이버 공격이 기업 실적과 재무 전략까지 흔든다”

URL복사

 

코헤시티(Cohesity)가 발표한 글로벌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의 영향이 단순한 IT 운영 문제를 넘어 기업의 실적 전망, 재무 계획, 이사회 의사결정 전반에까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밴슨 본(Vanson Bourne)이 글로벌 3200명의 IT·보안 리더를 대상으로 수행했으며 국내에서는 약 200개 기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국내 응답 기업의 72%(글로벌 76%)가 사이버 공격으로 ‘실질적인 피해’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여기서 ‘실질적인 피해’는 측정 가능한 재정적, 평판적, 운영적 피해나 고객 이탈이 발생한 사건을 의미한다. 특히 국내 상장사 58%(글로벌 70%)는 사이버 공격 이후 실적 전망 또는 재무 가이던스를 수정했으며, 58%(글로벌 68%)는 주가 하락을 겪었다. 국내 비상장사 74%(글로벌 73%)는 혁신 및 성장 예산을 감축해 복구·보완 조치에 재배정했고, 95%(글로벌 92%)는 벌금·소송 등 규제 제재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산제이 푸넨 코헤시티 CEO는 “이번 조사 결과는 사이버 공격은 이제 조직의 모든 요소에 영향을 미치며 공격의 여파는 기술적으로 복구 가능한 수준 이상의 피해를 입히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이제 기업은 이러한 공격으로 인해 실적 전망을 재고하고 시장 반응을 반영하거나 예산을 재조정해야 하는 상황인 만큼 사이버 레질리언스는 이제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사업 및 재무 성과의 필수 요소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상훈 코헤시티코리아 지사장은 “사이버공격은 최근 몇 년 새 거대한 재난이 되었다. 기업들이 이러한 사이버 공격에서 비즈니스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레질리언스를 이해하고 성숙한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 코헤시티의 이번 연구를 보면 국내 많은 기업들이 여전히 개발 수준이거나 발전 단계에 머물러 있다. 철저한 복구·복원 프로세스와 함께 예방적인 위험 관리가 장기적으로 강력한 방어책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코헤시티는 이번 보고서에서 사이버 레질리언스가 새로운 재무 관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조사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 이후 실적 전망을 공식적으로 수정 공시한 기업은 일부에 불과하지만 응답자 대다수는 이러한 공격이 공시 범위를 넘어서는 재정적 압박과 운영상 손실을 초래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제한적인 공시 의무, 협소한 중대성(materiality) 기준, 그리고 브랜드 신뢰도·생산성 저하 등 무형 손실의 과소평가가 이러한 괴리를 낳는 주요 요인으로 지적됐다.

 

또한, 글로벌 기업들은 사이버 리스크를 재정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에서도 변화가 감지됐다. 단순한 예방·탐지를 넘어 얼마나 신속하게 대응·복구할 수 있는지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상했다. 국내 응답자의 49%(글로벌 47%)가 자사 레질리언스 전략을 “더 이상의 개선이 필요 없는 수준”이라 답했으나 여전히 재정적·운영적 피해는 계속 발생하고 있다.

 

조사는 생성형 AI의 확산이 새로운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국내 기업의 86%(글로벌 81%)는 “생성형 AI의 발전 속도가 자사 리스크 대응 능력을 앞서가고 있어 우려된다”고 답했으며, 동시에 AI가 탐지·대응·복구 역량 향상에 기여할 잠재력도 인식하고 있었다.

 

산제이 푸넨 CEO는 “조직들은 AI 발전과 보안 사이의 역설에 직면하고 있다”며 “AI는 비즈니스 운영의 거의 모든 측면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그러나 이번 조사 결과는 대부분의 IT 리더들이 AI 도입 속도가 자사의 위험 감내 수준을 앞서가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역설적 상황에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고 보호되며 레질리언스를 갖춘 AI 대응형 데이터(AI-ready data)가 근간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코헤시티는 사이버 레질리언스가 향후 기업 경쟁력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빠른 복구, 데이터 무결성 검증, 이해관계자 신뢰 유지 역량이 향후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재무 건전성을 좌우할 것으로 전망했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