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RAW, 글로벌 금융 산업 핵심 성장 동력으로 급부상

URL복사

RWA 2030년까지 최대 2조 달러 성장 예고

한국, RWA 시장의 전략적 요충지로 부상

 

실물자산 토큰화(RWA) 시장이 글로벌 금융 산업의 차세대 성장 엔진으로 부상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부동산, 채권, 금, 미술품 등 현실 세계의 자산을 디지털 토큰으로 전환하는 RWA는 2030년까지 최대 2조 달러(약 2경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전통 금융과 탈중앙화 금융(DeFi)을 연결하는 혁신적 금융 모델로,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의 중심에는 글로벌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의 행보가 있다. 블랙록은 최근 미 국채를 기반으로 한 토큰화 펀드를 출시하며 월가 금융기관들의 RWA 시장 진입을 촉발했다. 이에 따라 전 세계 주요 금융사와 테크 기업들이 블록체인 기반 자산운용으로 눈을 돌리고 있으며, 한국도 제도적·기술적 기반을 갖춘 유망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금융위원회가 추진 중인 토큰증권(ST, Security Token) 제도권 편입이 현실화되면, 국내 RWA 산업은 제도권 금융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기존의 규제 틀 안에서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면서도 자본시장 접근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국내 블록체인 기술 기업 ‘위블록’은 부동산 RWA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위블록은 국내 우량 부동산을 블록체인 기술로 디지털화해 소액 투자자들도 투명하게 임대 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는 구조를 구축했다. 특히 국내 부동산을 담보로 한 자체 스테이블코인 ‘USDR’ 발행을 준비하며, RWA 생태계 내 유동성 공급과 금융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위블록은 글로벌 레이어1 메인넷인 아발란체(AVAX) 등 주요 블록체인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시장 확장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한편, 실물 금을 기반으로 한 RWA 프로젝트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 금 투자 플랫폼 ‘골드스테이션(Gold Station)’을 운영하는 크레더는 금을 디지털 자산으로 전환해 투자자에게 새로운 포트폴리오 다각화 기회를 제공한다. 크레더는 갤럭시아메타버스 등과 협력해 생태계를 확장하며, 실물 자산과 디지털 금융의 융합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RWA는 자본 규모나 절차적 장벽으로 인해 접근이 어려웠던 전통 자산 시장을 열어 ‘금융 민주화’를 실현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정부의 제도적 지원과 민간 기업의 기술 혁신이 맞물린다면, 한국은 글로벌 RWA 시장에서 주도적 위치를 차지하며 K-금융의 새로운 성장 축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