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홍수·가뭄 막는 빗물…연간 4만 톤 재활용 성공 사례 공개

URL복사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한무영 교수가 기후위기와 자연재해 극복 방안으로 빗물의 가치를 강조했다. 한 교수는 최근 희망친구 기아대책과 LG화학이 공동 운영하는 교육사회공헌 프로그램 ‘라이크그린’의 ESG 유튜브 채널 ‘대담해’에 출연해 “산성비가 머리를 빠지게 만든다”는 잘못된 인식과 달리 빗물이야말로 깨끗하고 활용 가능한 자원임을 강조하며 빗물 관리의 중요성을 알렸다.

 

기후위기로 인한 폭우와 가뭄이 전 세계를 위협하는 가운데 한 교수는 “빗물은 강물보다 오염도가 낮아 수처리가 용이하며, 재활용하면 홍수·가뭄 같은 극단적 자연재해에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서울 광진구의 한 주상복합 건물은 3천 톤 규모의 빗물저장소를 설치해 연간 약 4만 톤의 빗물을 재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수돗물 사용량을 20% 줄였고 약 400만 원의 수도요금을 절감하는 동시에 홍수 예방 효과까지 거두고 있다는 사례를 소개했다.

 

한 교수는 빗물 활용을 제도와 문화로 확산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도 이어가고 있다. 그는 ‘세계 비의 날(World Rain Day)’ 제정을 UN에 제안했으며,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레인스쿨(Rain School) 운영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캄보디아 교육부와는 1,000개 학교에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하는 MOU를 체결해 학생들에게 빗물의 소중함을 체험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날 대담을 진행한 LG화학 Global CSR팀 이영준 팀장은 “빗물에 대한 인식 변화가 단순히 환경보호 차원을 넘어 실제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 해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대담해’ 채널이 ESG 문화를 확산시키는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시청자들의 반응도 긍정적이었다. “빗물이 기후변화 대응의 해답이 될 수 있다는 점이 새로웠다”, “평범한 자원인 줄 알았던 빗물이 기후위기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인상 깊었다”는 의견이 이어졌다.

 

한편, 희망친구 기아대책과 LG화학은 2021년부터 청소년 환경 교육 프로그램 ‘라이크그린(Like Green)’을 운영해왔다. 2023년에는 ESG를 쉽게 풀어내는 유튜브 채널 ‘대담해’를 개설, 환경·과학·사회 문제를 다루며 건강한 ESG 문화 조성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