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정부, ‘25년 상반기 도시재생 혁신 지구 3곳 신규 선정

URL복사

 

- 수원 영화동, 춘천 근화동, 천안 성환읍에 총 8,323억 원 투입, 17.8만㎡ 재생 및 1,151명 일자리 창출 목표-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제37차 도시재생 특별위원회 심의(8.20~26, 서면)를 거쳐 2025년 상반기 도시재생 혁신 지구로 3곳(수원시 장안구 영화동, 춘천시 근화동, 천안시 성환읍)을 신규 선정하고, 1곳(여주시 중앙동)을 후보지로 선정하였다.

 

도시재생 혁신 지구는 쇠퇴한 지역 내 유휴 부지 등을 활용하여 주거, 상업, 복지, 행정 등 도시 기능을 집적하고 산업 및 기업 유치 등을 통해 지역 활력을 회복하여 경제적 파급 효과를 도모하는 사업이다. 이번 공모에서는 대상지 여건, 사업의 타당성, 경제적 파급 효과 등을 중점 평가하여 완성도 높은 3곳을 선정하였으며, 각 지역의 세부 사업 계획은 다음과 같다.

 

수원시 장안구 영화동: 수원 화성과 인접한 원도심 권역으로, 지역 고유문화 자원을 활용한 관광, 상업, 문화 콘텐츠 등을 복합 지원하는 문화관광 거점을 조성할 계획이다. 20년 이상 노후 건축물이 전체의 약 77%를 차지하는 쇠퇴 지역인 만큼, 이번 혁신 지구 지정을 통해 관광 거점을 조성하여 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한다.

 

춘천시 근화동: 춘천역에 인접한 대규모 미군 부대 이전 부지로, 산·학·연 체계 구축을 통해 첨단 영상 산업을 육성하고 영상·문화 복합 거점을 조성할 계획이다. 지속적인 인구 감소와 노후화로 지역 쇠퇴가 진행되고 있었으나, 춘천역세권 개발 계획과 연계하여 시너지를 창출하고 도시 활력 제고가 기대되는 지역이다. 다만, 사업 부지의 용도 지역 변경(자연녹지 → 일반 상업 등)을 조건으로 선정되었다.

 

천안시 성환읍: 성환역과 인접하고 인근에 대학이 다수 분포한 지역으로, 지식·산업을 잇는 복합 거점을 조성하여 천안 북부 생활권의 부도심 기능을 회복하고 첨단 산업 전진 기지로 변화한다는 목표를 제시하였다. 혁신 지구 지정을 통해 대학 내 스타트업 지원 등 기업 성장을 유도하고, 인근 전통 시장 환경을 개선하는 등 지역 상권의 활력 및 도심 기능 회복을 기대한다. 사업 부지(사유지 45%)에 대한 권원 확보를 조건으로 선정되었다.

 

이와 함께, 사업 계획 수립에 어려움을 겪는 지방자치단체를 위한 종합 자문 제도인 혁신 지구 후보지(법적 지위는 없음)에는 여주시 중앙동 일원 1곳이 선정되었다. 여주시청 및 인근 부지를 활용하여 복합 상업 공간, 교육 문화 센터 등을 조성할 계획이며, 향후 계획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전문가 컨설팅 등이 지원될 예정이다.

 

이번 공모를 통해 선정된 도시재생 혁신 지구 신규 사업지 3곳에는 향후 국비 750억 원(지방비 501억 원)을 포함한 총 8,323억 원을 투입하여 쇠퇴 지역 약 17.8만㎡를 재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지역 내 주차장(2,276면), 공동 이용 시설(10곳), 업무 시설(12곳), 주거 시설(298호), 숙박 시설(148실) 등 생활 SOC를 조성하여 사업 기간 중 약 1,151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전망이다. 혁신 지구로 지정된 지역은 도시 혁신 구역 적용, 건축 규제(건폐율·용적률, 주차장 설치 기준, 건축물 높이 제한) 완화 등을 통해 거점 시설을 신속히 조성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김정화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과장은 “이번에 선정한 혁신 지구 3곳을 포함하여 그간 선정된 도시재생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성과 창출을 위해 지역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고 지자체와 지속적으로 소통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오는 하반기 도시재생사업(혁신 지구, 지역특화 재생, 인정 사업, 노후 주거지 정비 지원사업) 공모도 진행 중이니, 지역 특성에 맞는 사업 유형을 선택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린다”라고 전했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