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월 1일 민-관 합동 K-교통 얼라이언스 발족
국토교통부는 9월 1일 수도권과 지방 간 교통 격차 해소 및 미래 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해 민관 합동 K-교통 얼라이언스를 출범한다고 밝혔다. 이번 얼라이언스는 "이동의 권리를 국민 모두에게"라는 슬로건 아래,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교통 혁신을 추진하는 플랫폼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목표최근 교통 소외 지역 확대와 교통안전 문제 등이 사회적 이슈로 주목받으면서, 정부는 단순한 인프라 확충을 넘어 국민의 보편적 이동권 보장을 위한 정책 전환을 모색 중이다. 이에 따라 교통 기본법 제정을 통해 교통 약자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모빌리티 혁신 성장 전략을 수립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얼라이언스는 이러한 정책 방향에 맞춰 △교통 격차 해소, △교통안전 강화, △교통 데이터 협력 체계 구축, △미래 모빌리티 산업 육성 등 4대 전략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이번 얼라이언스에는 정부(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새만금청), 지자체(강원, 경기, 제주, 전북 등), 공공기관(교통연구원, 교통안전공단, 코레일, LH), 민간 기업(현대차, KT, 네이버 클라우드, 티맵 모빌리티, 현대카드, CJ대한통운 등)이 참여한다. 다양한 분야의 기업과 기관이 협력해 현장 중심의 실효성 있는 정책을 도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현대자동차, KT, 네이버 클라우드 등 첨단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참여해 AI, 빅데이터 기반의 혁신적 교통 설루션을 모색할 예정이다.
얼라이언스는 9월 1일 서울 워커힐 호텔에서 출범식을 갖고, 분야별 세부 과제를 논의한다. 또한 모빌리티 혁신 포럼(’23년 설립)과 연계해 산업 성장 전략을 구체화하고, 교통 데이터 공유 체계도 마련할 방침이다.국토교통부 강희업 제2차관은 "교통은 국민의 기본 권리이자 삶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라며, "민간의 창의성과 정부의 정책 역량을 결합해 모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