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아크릴, 차세대 AgentOps 플랫폼 개발...의료 AI 혁신 추진

URL복사

 

아크릴이 성균관대학교와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5년 AI스타펠로우십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Human×AI 동반자적 협업을 위한 협력 지능형 에이전트 기술 개발’을 목표로 2025년 7월부터 2030년 12월까지 5년 6개월간 진행된다. 정부 지원금 110억 원을 포함해 총 115억 5000만 원이 투입된다.

 

아크릴은 이를 통해 LLMOps 플랫폼 ‘조나단(Jonathan)’을 헬스케어 분야 특화 AgentOps 플랫폼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모델 관리·배포 중심의 기존 서비스 체계를 넘어, 자율적 특성을 가진 에이전트의 구성·조율·협력을 빠르게 구현하는 ‘Synergistic AI Multi-Agent’ 기술을 적용한다.

 

아크릴 관계자는 “조나단은 고객사 개발 비용과 구축 시간을 70% 이상 줄이고, GPU 효율화를 통해 LLM 학습 속도를 53% 이상 높인 검증된 기술”이라며 “이를 AgentOps로 확장해 멀티 에이전트 워크플로우 구성과 운영 자동화를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크릴은 글로벌 의료 AI 플랫폼 ‘나디아(NADIA)’와 이번 사업에서 개발할 기술을 결합해 AI 헬스케어 서비스를 선보인다. 멀티 도메인 의료 플랫폼 활용, 휴머노이드 체화형 동반자 에이전트 개발, AI 시스템 간 연동 표준화 등을 추진하며, 진단·응답·모니터링 역할 분업 구조를 AgentOps 플랫폼에 통합해 병원 운영 효율화를 높일 계획이다.

 

아크릴은 지난해 NeurIPS, EMNLP 등에서 체화형 에이전트를 위한 LLM RAG 확장 기술과 계층적 태스크 계획 연구 결과를 발표했고, 한국어 대규모 언어모델 ‘아름(A-LLM)’은 W&B의 ‘호랑이 리더보드’ 오픈소스 부문 1위를 4개월간 유지했다.

 

아크릴 관계자는 “이번 사업으로 의료·헬스케어 분야의 실사용 중심 기술 경쟁력과 인재를 확보할 것”이라며 “Carevo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의 변화와 니즈에 맞춰 함께 성장하는 AI 헬스케어 패러다임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