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반도체 시장의 업황이 개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는 올해 2분기 세계 반도체 매출이 1245억 달러(약 162조4000억 원)로 전 분기보다 4.7% 증가했다고 6일(현지시간) 밝혔다. 하지만 지난해 동기 대비로는 17.3% 감소한 것이다. 이와 함께 6월 한 달간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은 415억 달러(약 54조1000억 원)로 전월 대비 1.7% 늘어났다. 이는 4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3월과 4월은 각각 0.3% 늘어났으며, 이후 지난 5월과 지난달은 각각 1.7%가 증가하는 등 매출 확대 폭이 커지고 있다. 존 뉴퍼 SIA 회장은 "올해 들어 현재까지 글로벌 반도체 매출이 지난해 동기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6월 매출이 4개월 연속 증가했고, 분기 매출도 전 분기 대비 견조하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이 같은 흐름은 시장이 하반기에도 반등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갖게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별로는 미주(4.2%), 중국(3.2%), 일본(0.9%), 유럽(0.1%)지역이 전월 대비 매출이 늘었지만, 아시아·태평양/기타(-0.5%) 지역은 소폭 감소했다.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서는 유럽(7.6%)지역
지난해 한국 반도체 기업의 효율성이 글로벌 100대 기업의 평균보다 낮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9일 발표한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효율성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이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반도체 시장 매출은 전년 대비 4.4% 증가한 5801억달러에 달한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올해는 작년보다 4.1% 감소한 5566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기업들이 주력하고 있는 메모리 분야는 PC, TV 수요 감소에 따른 재고 증가로 작년에 이어 올해도 한파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지난해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 매출이 전년 대비 12.6% 감소한 1344억달러로 전망되고, 올해에는 여기에서 17%나 더 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메모리 반도체 분야가 부진하면서 지난해 한국 반도체 기업의 효율성 값도 글로벌 100대 반도체 기업의 평균보다 떨어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성 값은 총자산, 매출원가 등 투입 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등 산출의 상대적 가치를 나타내는 수치로, 0과 1 사이로 표시된다. 1에 가까울수록 효율성이
올해 반도체시장 성장률 16.3→13.9% 하향 조정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따른 경기 둔화와 수요 위축으로 인해 올해 글로벌 반도체 시장 성장률이 지난해의 절반 수준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력 제품인 메모리 반도체는 내년 성장률 '0%대'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됐다.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는 23일 올해 글로벌 반도체 시장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6.3%에서 13.9%로 하향 조정했다. WSTS는 올해 전 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를 작년보다 13.9% 증가한 6천330억달러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성장률(26.2%)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WSTS는 또 내년에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4.6% 성장하는 데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분야별로 보면 메모리반도체의 낙폭이 가장 컸다. WSTS는 올해 메모리반도체 시장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8.7%에서 8.2%로 하향 조정했다. 내년 메모리반도체 성장률 전망치는 0.6%로 제시했다. 지난해 메모리반도체 성장률은 30.9%를 기록했다. 앞서 대만의 시장조사 업체 트렌드포스는 공급 과잉과 재고 증가로 3분기 소비자용 D램 가격이 2분기보다 13∼18% 하락할 것으로
WSTS, 예상 성장률 상향…예상보다 작은 가격 하락폭 반영된 듯 전체 반도체 시장 성장률도 10%→16% 상향 올해 메모리반도체 시장이 업황 부진 우려를 깨고 지난해 대비 두 자릿수 수준의 견조한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올해 메모리반도체 시장이 작년보다 18.7%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WSTS는 지난 3월 보고서에서 올해 메모리 시장 성장률을 작년 대비 1.1% 수준으로 전망했는데 3개월 만에 대폭 상향 조정한 것이다. 국내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올해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 가격 하락 폭이 우려했던 것보다 나쁘지 않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진입에도 메모리 수요가 견조한 점을 반영한 성장률 조정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메모리반도체 시장 규모는 지난해 1,538억달러(약 193조1천억원) 규모였고, 올해는 1,827억달러(약 229조4천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WSTS는 전망했다. 내년 메모리반도체 시장 성장률은 3.4% 규모로 예상됐다. 메모리반도체 성장률 조정에 따라 올해 전체 반도체 시장 성장률도 기존 10.4%에서 16.3%로 상향 조정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메모리반도체 시황이 최근 하강 국면으로 돌아섰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글로벌 반도체 수급 동향 조사기관이 내년 메모리반도체 예상 성장률을 절반 이하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내년 메모리반도체 시장 성장률을 8.5%로 예상했다. WSTS는 앞서 지난 8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내년 메모리 반도체 시장 성장률을 18.4%로 예상했는데 4개월 만에 절반 이하로 낮춰 잡은 것이다. 내년 메모리반도체 예상 시장 규모도 기존 1천907억6천900만달러(약 227조151억원)에서 1천716억8천200만달러(약 204조3천15억원) 규모로 하향 조정했다. WSTS는 메모리반도체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구체적인 이유에 대해 밝히지 않았지만, 올해 초부터 시작된 메모리반도체 호황이 예상보다 빨리 꺾이고 올해 4분기부터 D램 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선 것을 고려한 것으로 관측된다. 메모리 반도체 성장률 조정의 영향으로 내년 전체 반도체 시장 예상 성장률은 기존 10.1%에서 8.8%로 축소됐다. WSTS는 내년 전 세계 반도체 예상 매출액을 6천14억9천만달러(약 715조7천억원) 규
[헬로티] WSTS 보고서…"코로나19 팬데믹, 연초 예상보다 반도체 시장 악영향 적어" 올해와 내년 전 세계 반도체 시장 매출이 기존 예상보다 더 크게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반도체 수급동향 조사기관 조사기관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는 전날 발간한 보고서에서 올해 반도체 시장 매출이 4천331억4천5백만 달러(약 479조3천억 원)로, 지난해보다 5.1%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올 6월 정기 보고서에서 제시한 전망치인 '3.3% 증가'에서 소폭 상향조정된 것이다. 내년도 매출 전망도 기존 6.2%에서 8.4% 성장으로 상향조정됐다. WSTS는 내년 전 세계 반도체 시장 매출이 4천694억3백만 달러(약 519조5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WSTS는 "광전자(Optoelectronics) 분야와 개별반도체(Discrete Semiconductor)를 제외한 대부분의 주요 반도체 제품들이 성장했다"며 "올해 12.2% 성장한 메모리 반도체와 7.4% 성장한 센서 제품이 가장 큰 성장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WSTS는 보고서에서 "세계 반도체 시장은 연초 예상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헬로티] 전세계 반도체 시장은 지난 몇달 동안 반등세를 보였다. 지난 10월은 2015년 3월 이후 가장 큰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대부분 지역 시장과 거의 모든 주요 반도체 제품 카테고리에서 지난달에 비해 매출이 증가했다. 이에따라 올해 초 비관적으로 전망했던 반도체 시장에 대한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세계반도체무역통계기구(World Semiconductor Trade Statistics, 이하 WSTS)는 올해 반도체 시장 규모가 2015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망하면서 올해 예측치를 수정했다. 수정 이유는 지난 10월 반도체 시장의 가파른 반등의 영향으로 지난 2015년 3월 이후 가장 커다란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지난 10월 반도체 칩 매출은 305억 달러로 9월에 비해 3% 늘었고, 2015년 10월 대비 5% 증가했다. 이는 중국, 일본을 비롯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의 매출 성장이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6월 반도체산업협회(SIA)는 WSTS의 전망에 따라 올해 반도체 산업 매출이 2015년 대비 2.4% 감소할 것으로 발표했다. 당시 SIA는 올해는 실망스러운 한해를 예측하는 IHS, 가트너, International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