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조상록 기자 | 머신비전 전문기업 코그넥스가 머신비전 ‘비전프로(VisionPro) 딥러닝 2.0’을 출시한다. '비전프로 딥러닝'은 ViDi, 수아킷(SuaKIT), 그리고 비전프로의 장점만을 결합한 새로운 머신비전 소프트웨어로, 공장 자동화를 위해 설계된 딥러닝 기반 이미지 분석을 제공한다. 현장에서 테스트를 거친 알고리즘은 머신비전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성능 저하 없이 신경망 트레이닝을 간소화하는 GUI(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기존의 머신비전으로는 까다롭고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해결하고, 육안 검사로는 불가능한 일관성과 속도를 제공한다. 비전프로 딥러닝의 레드 분석(Red Analyze) 툴은 결함 감지와 세그먼테이션을 위한 기능이다. 비전프로 딥러닝 2.0은 '레드: 하이 디테일 모드'가 추가되어, 보다 정확한 결함 측정이 가능해졌다. 또한, 포커스 모드와 하이 디테일 모드 간 전환에서 추가적인 이미지 라벨링이 필요하지 않아 두 가지 딥러닝 아키텍처를 빠르게 비교하여 최적의 결과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비전프로 딥러닝 2.0의 레드: 하이 디테일 모드는 기존의 포커스 모드보다 5~25% 정도 더 정확한 결함 크기 및 형상 측정
[첨단 헬로티] SuaKIT은 인공지능 이미지 해석 기술을 기반으로, 태양광, 디스플레이, 반도체, PCB, 자동차 부품, 도장 검사, 섬유, 식음료 이물 검사, 패키징 외관 검사, 2차 전지, 철강, 비파괴 검사 등 기존 머신비전 기술로, 검사가 어려운 다양한 제조업 분야 제품 검사에 적용 가능하며, 머신비전 분야에 특화된 딥러닝 검사 소프트웨어이다. SuaKIT은 Developer와 Runtime 두 종류로 분류되어 있으며, Developer는 C++ 및 C# 지원과 GUI상에서 모델의 Train 및 Test가 가능하며 생성한 모델 추출도 가능합니다. Runtime은 생성한 모델을 실제 생산 라인에 적용하여 검사 가능하며, 기존 검사 장비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SuaKIT은 총 3가지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데, 첫번째로는 불량의 검출 및 영역을 표시해주는 Segmentation, 두번째로 양품과 불량을 분류하고 불량의 유형을 분류 시켜주는 Classification, 그리고 마지막으로 각 Class의 물체 개수 및 위치를 파악해주는 Detection이 있다. 언급한 3가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선 Train 즉, 이미지의 학습이 필요하다. SuaKIT
[첨단 헬로티] 딥러닝 머신비전 소프트웨어 ‘수아킷(SuaKIT)’을 생산하는 수아랩이 3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 공장 + 자동화 산업전(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19’에 참가한다. 수아랩은 이번 전시회에서 대표 제품 ‘수아킷(SuaKIT)’을 전시할 뿐만 아니라 시연 장비 및 영상을 통해 방문객들에게 보다 자세히 제품을 소개할 예정이다. 수아랩은 코엑스 3층 C홀 부스(H112)에서 대표제품인 ‘수아킷(SuaKIT)’을 전시해 소개할 예정이며, 방문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시연 장비와 영상도 준비한다. ‘수아킷(SuaKIT)’은 딥러닝 기반의 머신비전 불량 검사 소프트웨어로, 기존의 머신 비전 검사로는 검출하지 못했던 비정형·불규칙적인 불량을 딥러닝을 활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반도체·태양광 등 전기·전자 산업군 뿐만 아니라 자동차 및 식·음료 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군의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