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비전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뉴로클(대표 이홍석)이 자체 개발한 ‘AI 오토딥러닝(Auto Deep Learning)’ 기술로 자동차 제조 공정의 품질 검사를 혁신하고 있다. 기존 룰베이스(rule-based) 방식으로는 탐지하기 어려운 비정형 결함까지 실시간으로 포착해, 제조 현장의 품질 안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높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자동차는 수천 개의 부품과 수십 개의 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뉴로클은 프레스, 차체 조립, 도장, 의장 조립, 엔진 가공, 최종 검사 등 자동차 제조의 전 단계에 AI 오토딥러닝 비전기술을 적용했다. 용접부 균열, 실링(Sealing) 불량, 부품 조립 편차 등 미세한 이상을 자동으로 감지해 품질 불량을 조기에 차단한다. 특히 차체 실링 공정에서 뉴로클의 오토딥러닝 기술은 기존 룰베이스 검사 한계를 뛰어넘는 성과를 보였다. 과거 검사 시스템은 비정형 패턴 결함을 인식하지 못해 과검·미검이 빈번했고, 결함을 공정 중 실시간 수정하기 어려워 생산 효율이 낮았다. 뉴로클은 실링 도포와 검사를 통합한 실시간 AI 검사 시스템을 구축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다. 로봇팔에 장착된 카메라가 도포 작업과 동시에 접합부를 촬영하고, 촬
 
								
				서울TP·한국공학대, ‘AI·DX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 운영 AI 시대 스마트제조 실무자를 위한 현장 중심 실습형 강의 서울테크노파크(서울TP)와 한국공학대학교 미래인재개발센터가 오는 11월 6일부터 7일까지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구축 및 생산자동화전(SMATEC2025)’ 기간 중 스마트제조 분야 실무자를 위한 ‘AI·DX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의 기술 실무자와 관리자에게 인공지능 전환(AX)과 디지털 전환(DX) 실무 역량을 높일 수 있는 전문 교육으로 구성됐다. 첫째 날은 ‘AI 기반 제조혁신’을 주제로 스마트공장의 구조부터 AI 적용 사례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심화 교육이 진행된다. 강연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DX 멘토단 윤일철 전문위원이 맡으며, △스마트공장 기술 운영 동향 △자율제조 구현 전략 △제조 AI 적용 사례 △업무별 AI 활용 전략 △사업 추진 자료 작성 방법 등 실제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둘째 날은 AI 솔루션 전문기업 이미지데이의 이찬우 대표가 강연자로 나서 ‘ChatGPT와 AI를 활용한 디지털 전환(DX)’ 실무 교육을 진행한다. 이
 
								
				SMATEC2025 추진위원회가 스마트공장 도입을 준비 중이거나 운영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산업별 맞춤형 스마트공장 구축 컨설팅 상담회’ 참여기업 모집에 나섰다. 이번 상담회는 오는 11월 5일부터 7일까지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리며, 총 100개 기업이 전문가와 일대일 맞춤형 상담 기회를 제공받는다. 상담에는 스마트공장 구축 경험과 제조업 노하우를 갖춘 대기업 퇴직 인력 및 전문 컨설턴트가 참여해 업종 특성과 현장 상황에 맞춘 구체적인 솔루션을 제시한다. 상담 내용은 ▲스마트공장 도입 및 운영 전략 ▲생산 현장 개선 방안 ▲구축 과정에서의 애로 해결 ▲운영 실무 지도 등 실질적 지원에 초점이 맞춰진다. 참여 기업은 기계·장비, 금속 가공, 자동차 부품·수송, 반도체, 전기장비·전자부품, 화학 제품, 고무·플라스틱, 식료품, 섬유, 의료정밀기기 등 11개 산업군에서 모집한다. 이미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에는 운영 과정의 문제 해결과 효율 극대화 방안을 제시한다. 상담회 진행 전문가는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에 등록된 전문가 풀 소속으로, 각 지역 제조혁신센터(TP)의 승인을 받아 활동하는 기술 전문가들이다. 이들은 다년간의 현장